<이인세의 골프 인문학>

불세출의 골퍼
아내 따라 영면하다

1875년 9월3일. 스코틀랜드의 노스윅골프장에 4명의 사나이가 등장했다. 올드 톰 모리스와 영 톰 모리스 부자팀, 윌리 파크와 멍고 파크 형제팀이었다. 당대 최고의 포섬으로 알려진 이들 4명이 한판 승부를 겨루기 위해 모인 것이다.
 

이날 경기는 12홀 코스를 세 번 도는 2인 1조의 36홀 매치 플레이 방식이었다. 무려 1만여명에 이르는 구경꾼들도 아침부터 골프장에 모여 진을 쳤다. 최고수들이 벌이는 매치플레이는 당시 스코틀랜드에서는 최대의 흥밋거리인 데다 내기도 꽤나 많이 걸린 터라 인기가 대단했다. 

라운딩 중 비보

사실 영은 세인트앤드루스 집에서 아내 마가렛이 아이를 낳는 산고를 치르고 있어 오늘의 대결을 내켜하지 않았다. 당시 스코틀랜드에서는 남편이 출산을 지키지 않는 풍습이 있어 덜 미안했지만, 그래도 체력이 약한 아내가 걱정됐다.

디 오픈에서 4차례나 우승한 상대팀의 윌리는 지난해도 올드 모리스를 이겼다. 그는 1860년 제1회 디 오픈에서도 모리스를 누르고 첫 우승을 차지했던 바 있는 강자였다. 15년 전 아버지 모리스의 캐디였던 9살 영은 아버지가 윌리에게 당하는 모습을 보면서 ‘훗날 아버지의 복수를 하리라’라고 다짐했다. 

1867년 영은 카누스티에서 윌리와 맞붙었다. 당시 16살의 영은 햇병아리라고 비아냥거렸던 윌리를 플레이오프에서 보기 좋게 눌러 아버지의 복수를 대신하기도 했다. 두 집안은 이렇게 골프에 관한한 양보할 수 없는 숙적 관계였다.


시작부터 양측은 팽팽한 시소전을 펼쳤다. 한 홀씩을 주고받으며 12홀 한 라운드가 끝났음에도 우열을 가릴 수 없는 무승부가 지속됐다. 영의 스윙이 단연 돋보였지만, 엎치락뒤치락하는 시소게임은 34홀까지 팽팽하게 이어졌고, 단 두 홀만 남겨놓은 상황. 이때였다. 긴장감이 흐르는 골프장으로 누군가가 끼어들어 적막을 깨뜨렸다. 
 

전보를 들고 온 우체부는 홀에 서있는 아버지 모리스의 손에 전보를 쥐어주고는 황급히 자리를 떠났다. 관중들 사이에서 웅성거리는 소리가 들렸다. 아버지 모리스는 급히 전보를 펴보았다. ‘며느리와 손자가 난산으로 사경을 헤매고 있다’는 짤막한 내용이었다. 아무 일도 없다는 듯 모리스는 슬그머니 종이를 주머니에 구겨넣었다.

영은 35홀 그린에서 버디를 눈앞에 두고 있어 전보에는 신경 쓸 여유가 없었다. 황금 같은 버디를 기록하면 하루 종일 팽팽하던 전세를 무너뜨릴 수 있었다. 마침내 영은 버디를 했고 모리스 부자는 한 홀을 리드했다. 마지막 36홀은 동점. 결국 모리스 부자는 파크 형제를 한 타차로 이겼다. 관중들은 환호했다. 그러나 기쁨도 잠시, 아버지가 내놓은 구겨진 전보를 본 영의 얼굴은 상기됐고 손이 떨리기 시작했다. 

최초로 구사한 백스핀
사람들은 ‘영의 발명품’

두 부자는 동시에 페어웨이를 가로질러 골프장과 반대쪽인 바닷가로 뛰었다. 세인트앤드루스까지 가는 기차가 끊긴 걸 알고 있었기 때문이다. 두 사람은 간신히 배를 타고 세인트앤드루스 항에 도착할 수 있었다. 모래사장을 가로질러 집으로 뛰어간 영의 눈앞에는 비극이 기다리고 있었다. 난산을 견디다 못해 산모와 아이가 함께 사망한 직후였던 것이다.

그날 이후 영은 넋을 놓고 먹지도 않은 채 지냈다. 석달 남짓 흐른 크리스마스이브, 깡마르고 초췌하기 이를 데 없는 영은 모든 것을 내려놓기로 했다. 1875년 12월25일 크리스마스 아침, 영은 24살의 짧은 생을 뒤로하고 영원히 잠들었다. 공식적인 사인은 심장마비였다. 애석하게 아들을 잃은 아버지 모리스는 그날 이후 남은 여생 동안 그 어떤 골프대회에도 참가하지 않고 은둔했다. 불세출의 골퍼를 잃은 스코틀랜드 사람들은 그의 묘지와 비석을 만들어 애도했다.
 

몇 해 전 세인트앤드루스 공동묘지를 방문했을 때다. 입구에 첫발을 디디는 순간, 100미터 정도 맞은편에 있는 시멘트벽이 눈길을 끌었다. 수백구의 묘지 중에서 벽면에 세워져 있는 유일한 흰색의 회벽 동상이다. 세인트앤드루스시는 유일하게 영의 묘지에만 흰색 바탕의 비석과 벽의 동상을 만들어 후세 사람들에게도 골프 영웅에 대한 경의를 표하게 한 것이었다.


디 오픈에서 우승한 영 모리스의 17세 메이저 최연소 우승 기록은 155년이 흐른 현재도 깨지지 않고 있다. 영은 1868~ 1870년 3연패를 기록하면서, 디 오픈 창설 10년 만에 최초의 메이저 트로피인 붉은 가죽 벨트를 영구 소장한다. 그 벨트가 한 사람에게 영구히 귀속되자 당황한 주최 측은 다음 해인 1871년 미처 트로피를 준비하지 못해 대회를 열지 못하는 해프닝까지 겪었다. 이듬해인 1872년 겨우 새 트로피를 만들어 대회를 개최할 수 있었다. 그 트로피가 바로 현재의 ‘클라렛 저그’이다. 이듬해 재개된 디 오픈에서 모리스는 또다시 우승해 최초의 클라렛 저그마저 차지한 골퍼가 됐다.

17세 메이저 최연소 우승 기록
155년 흐른 지금도 깨지지 않아

그의 스윙은 당대 최고였다. 170cm의 작고 다부진 몸이지만 손목의 근력은 타의 추종을 불허했다. 남다른 장타력에 모험을 두려워하지 않고 호쾌하게 드라이브를 날렸다. 그린 주위의 칩샷도 일품이었다. 당시 골퍼들은 어프로치샷에서 칩 앤 런(CHIP AND RUN)을 구사했지만, 그린 주위에서 볼을 높이 날린 뒤 백스핀으로 홀컵에 붙이는 모리스의 플랍 샷은 결코 흉내낼 수 없는 경지에 도달해 있었다. 당시 최초로 구사한 백스핀을 사람들은 ‘영의 발명품’이라고 했다. 

칩샷도 일품

특유의 퍼팅 자세 또한 일품이었다. 왼발을 오픈하고 볼이 오른발에 가깝게 위치하는 자세는 백발백중이었으며, 19세기 영국에서 퍼팅으로 그를 이기는 골퍼는 없을 정도였다. 신이 선물한 골퍼 중 한 명이었던 영은 짧은 생을 마감했지만 지금도 영국인들은 가슴 속 제일 깊은 곳에 그를 묻어두고 있다.



배너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단독> ‘2조 물먹은’ 한양 수상한 계열사와 의문의 돈거래

[단독] ‘2조 물먹은’ 한양 수상한 계열사와 의문의 돈거래

[일요시사 취재1팀] 장지선 기자 = 광주 노른자위 땅을 개발하는 사업이 건설사 간의 갈등으로 몸살을 앓고 있다. 총사업비 2조여원의 초대형 프로젝트가 양측이 제기한 고소·고발로 표류하는 모양새다. 갈등의 본질은 사업을 좌지우지하는 특수목적법인(SPC)의 최대주주 지위가 누구에게 있는지다. 최근 지분확보를 위한 소송 과정서 의문의 돈거래가 포착됐다. 2020년 7월1일 헌법재판소의 결정에 따라 도시계획시설서 도시공원으로 지정해놓은 개인 소유의 땅에 20년간 공원 조성을 하지 않을 경우 땅 주민의 재산권 보호를 위해 도시공원서 해제하는 제도인 ‘도시공원 일몰제’가 시행됐다. 도시공원 일몰제의 도입으로 민간공원 특례사업이 주목받기 시작했다. 민관 합작 윈윈 사업 민간공원 특례사업은 민간에 사업시행권을 주고 공원을 조성해 지자체에 기부채납하도록 하는 제도다. 민간 사업시행자는 공원부지 30% 범위서 아파트 건설 등 비공원사업을 진행해 수익을 챙길 수 있다. 정부나 지자체는 민간 자본으로 공원을 조성할 수 있다는 점에서, 민간 사업시행자는 주택 공급 사업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서로 이득 볼 수 있는 구조다. 현재 전국 각지서 진행하고 있는 민간공원 특례사업 중 ‘중앙공원 1지구 민간공원 특례사업’의 규모가 가장 크다. 광주시 서구 금호동과 화정동, 풍암동 일대 243만5027㎡에 공원시설과 비공원시설을 건축하는 초대형 프로젝트다. 비공원시설 부지에는 지하 3층~지상 28층, 39개동 총 2772세대 규모의 아파트가 들어설 예정이다. 총사업비가 2조2000억원에 달한다. 2020년 1월 사업시행사인 특수목적법인(SPC) 빛고을중앙공원개발(이하 빛고을)이 설립되면서 추진되기 시작한 사업은 최근 시행사 지위와 시공권 등을 두고 고소·고발이 난무하고 있다. SPC 설립 시점부터 컨소시엄에 참여한 한양과 이후 시공자로 들어온 롯데건설, 지분 다툼을 벌이고 있는 우빈산업, 케이앤지스틸 등이 갈등의 주체다. SPC 빛고을 설립 초기 한양이 30%로 최대주주, 우빈산업(25%), 케이앤지스틸(24%), 파크엠(21%) 등이 주주로 참여했다. 한양이 우빈산업과 케이앤지스틸의 SPC 빛고을 참여를 위한 초기자본 49억원을 댔다. 한양이 우빈산업에 49억원을 빌려주고 우빈산업이 다시 케이앤지스틸에 24억원을 대여해 지분을 분배했다. 이때 우빈산업은 케이앤지스틸에 24억원을 빌려주면서 ‘콜옵션’ 계약을 맺은 것으로 보인다. 콜옵션은 특정한 기초자산을 만기일이나 만기일 이전에 미리 정한 행사가격으로 살 수 있는 권리를 뜻한다. 다시 말해 우빈산업은 언제든지 원할 때 케이앤지스틸의 지분을 회수할 수 있는 조건을 걸어둔 것이다. ‘초대형’ 중앙공원 1지구 사업의 이면 한양-케이앤지스틸 모종의 관계 의혹 SPC 빛고을 주주구성에 변화가 생긴 시점은 컨소시엄 구성 당시 한양이 맡기로 한 시공권이 롯데건설로 넘어가면서부터다. 우빈산업은 케이앤지스틸의 지분 24%를 위임받아 주주권을 행사해 롯데건설과 중앙공원 1지구 아파트 신축 도급 약정을 체결했다. 이 과정서 30% 지분의 한양은 배제됐다. 롯데건설을 시공자로 선정할 당시 우빈산업에 지분을 위임했던 케이앤지스틸의 태도가 변한 시기는 2022년 5월경으로 추정된다. SPC 빛고을 관계자에 따르면, 당시 케이앤지스틸은 우빈산업에 25억3000만원(대여금 24억원+이자)을 송금한 뒤 주주권을 주장하고 나섰다. SPC 빛고을 설립 과정서 빌린 돈을 갚았으니 24% 지분만큼 주주권을 행사하겠다는 것이다. 그러자 우빈산업은 케이앤지스틸에 24억원을 빌려주면서 맺었던 콜옵션을 행사하고 49%의 지분을 확보해 SPC 빛고을 최대주주로 올라섰다. 이후 우빈산업 내부 사정이 변하면서 한 차례 더 지분구조에 변화가 생겼다. 우빈산업은 대출금 100억원에 대해 채무불이행을 선언하고 부도 처리됐다. 지급보증을 섰던 롯데건설은 우빈산업이 보유하고 있던 지분을 넘겨 받으면서 49%를 확보했다. 지분양도는 롯데건설이 근질권(담보물에 대한 권리)을 행사해 채무를 대신 갚아주는 방식으로 이뤄졌다. 우빈산업이 빠진 자리에 롯데건설이 들어오면서 현재 기준 빛고을 SPC 지분구조는 한양 30%, 롯데건설 29.5%, ㈜파크엠 21%, 허브자산운용 19.5%로 재편된 상태다. 허브자산운용이 보유한 19.5%는 롯데건설로부터 양도받은 것이다. SPC 빛고을 내에서 롯데건설의 발언권이 커졌다는 것을 의미한다. 나뉜 지분 콜옵션으로? 사업시행권과 시공권을 두고 롯데건설과 우빈산업, 한양과 케이앤지스틸이 궤를 같이 하면서 분쟁이 이어지고 있다. 쟁점은 우빈산업과 케이앤지스틸이 가진 지분이 최종적으로 누구의 소유냐는 것이다. 두 회사의 지분이 어느 쪽으로 움직이느냐에 따라 SPC 빛고을의 최대주주가 바뀔 수 있다. 케이앤지스틸은 우빈산업에 주금 대여금을 갚았으니 24%에 대한 주주권이 자사에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한양은 SPC 빛고을 설립 과정서 우빈산업에 49억원의 출자금을 대여하면서 맺은 특별약정을 내세웠다. 해당 약정에 한양이 중앙공원 1지구 사업의 비공원시설 시공권을 전부 갖는데 우빈산업이 의결권을 행사한다는 항목이 존재한다고 주장했다. 우빈산업이 주도해 롯데건설로 시공사를 바꾼 것은 특별약정에 어긋난다는 설명이다. 광주지방법원은 케이앤지스틸과 한양이 각각 우빈산업을 상대로 제기한 소송서 모두 원고의 손을 들어줬다. 케이앤지스틸 관계자는 “주주권 확인 소송서 승소 판결을 받았다. 우리가 SPC 주식을 실제로 소유한 주주라는 뜻”이라고 강조했다. 한양 관계자도 “1심 법원은 우빈산업이 한양에게 49억원의 손해배상금을 지급하고 보유 주식 25% 전량을 양도하라는 판결을 내렸다”고 말했다. 반면 롯데건설은 소송 판결 한 달 전, 우빈산업의 지분을 인수했다고 설명했다. 우빈산업이 한양에 양도할 주식이 남아 있지 않다는 것이다. 이 과정서 한양은 우빈산업의 ‘고의 부도’를 의심하고 있다. 한양은 1심 법원 판결을 근거로 자사가 지분 55%(한양 30%+우빈산업 25%)의 SPC 빛고을 최대주주라고 주장하고 있다. 다만 대법원서 한양에 ‘시공권이 없다’는 취지의 판결을 내놓으면서 시공자 지위는 잃게 됐다. 소송 이겨도 지위 잃었다 최근 SPC 빛고을 지분 갈등서 케이앤지스틸의 역할이 관심사로 떠올랐다. 케이앤지스틸은 상하수도 설비공사 업체로 2003년에 설립됐다. SPC 빛고을에 우빈산업과 함께 참여했다가 현재는 빠진 상태다. 케이앤지스틸 관계자는 “전 대표가 우빈산업과 친분이 있어서 (SPC 빛고을에)참여한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현 사태서 롯데건설과 우빈산업은 이른바 ‘비한양파’로 묶여있다. 두 업체의 지분 이동도 비교적 명확히 드러나 있는 상황이다. 반면 케이앤지스틸과 한양은 두 업체 모두 우빈산업과 소송을 진행하면서도 서로 명확하게 선을 그었다. 한양 관계자는 “적(우빈산업)이 같을 뿐 특별히 관계가 있는 업체는 아니다”라고 말했다. 하지만 한양의 모기업인 보성그룹 계열사에 속한 ‘앤유’라는 업체가 케이앤지스틸에 2022년 4월, 2억원을 빌려줬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앤유는 이기승 보성그룹 회장의 동생인 이점식씨가 지분 83.6%를 가지고 있는 친족회사다. 전기 조명장치 제조업체로 2007년에 설립됐다. 2022년 기준 매출은 28억2900만원, 영업이익은 3억300만원으로 확인된다. 한양과의 거래를 통해 27억7900만원의 매출을 올렸다. 앤유는 케이지앤지스틸에 2억원을 빌려주는 과정서 1주일짜리 주식근질권을 설정했다. 1주일 뒤 케이앤지스틸이 2억원을 갚지 못하면서 케이앤지스틸의 주식이 전부 앤유로 넘어온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또 1주일 뒤 케이앤지스틸의 대표이사를 비롯해 사내이사 3명 등 4명이 등기이사로 이름을 올렸다. 이 가운데 1명은 앤유 대표인 정모씨의 아내로 추정된다. 케이앤지스틸 수뇌부가 물갈이된 것이다. 당시 케이앤지스틸의 채무가 수십억원에 이를 정도로 적자가 누적된 상태였다고 해도 2억원을 갚지 못해 회사의 지배권을 넘겨준 것을 두고 석연찮은 의문이 일었다. 1주일이라는 짧은 주식 근질권 설정도 의문으로 떠올랐다. 보성그룹에 기생하는 ‘앤유’ 푼돈 주고 1주 만 회사 꿀꺽? 더 흥미로운 대목은 같은 해 5월 케이앤지스틸이 우빈산업에 주금 대여금 25억3000만원을 송금한 뒤 주주권을 주장하기 시작했다는 의혹이 동시에 불거진 점이다. 다시 말해 2억원을 갚지 못해 회사의 지분 100%를 앤유에 넘겨주고 한 달 만에 20억원이 넘는 돈을 융통해 SPC 빛고을 지분을 확보하려 했다는 의혹이다. 여기에 우빈산업을 상대로 한 주주권 확인 소송 등에 김앤장을 변호인으로 선임하면서 수임료에 대한 의혹이 추가로 제기됐다. 일각에서는 케이앤지스틸이 지분확보를 위해 사용한 자금 출처가 한양이라는 주장이 나왔다. 한양 입장서 케이앤지스틸이 가지고 있는 지분을 확보하면 54%로 SPC 빛고을의 최대주주가 될 수 있다. 그렇게 되면 대법원 판결로 시공자 지위는 상실했지만 롯데건설에 넘어가 있는 시공권을 흔들 수 있는 상황이 생길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지분 갈등 구조가 롯데건설과 우빈산업, 한양과 케이앤지스틸로 정리되는 셈이다. 하지만 한양과 케이앤지스틸 모두 두 업체 간 모종의 관계 의혹에 대해서는 단호하게 선을 그었다. 한양 관계자는 “앤유라는 계열사가 있는지도 잘 몰랐다. 앤유서 케이앤지스틸에 2억원을 빌려줬다거나 주금 대여금을 대줬다는 의혹은 전혀 사실무근이다. 우빈산업서 (1심)소송에 져서 계속 근거 없는 의혹을 제기하고 있는 듯하다. 대응 가치를 느끼지 못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보다 광주시가 우빈산업과 결탁해 여러 가지로 유리하게 상황을 봐주고 있다고 판단해 광주시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했다. 광주시는 사업시행자이자 감독관청으로서 해야 할 일이 참 많은데 그런 일을 하지 않아 공모 제도가 다 무너졌다. 마땅히 해야 할 일을 하지 않은 광주시의 행정행위에 대해 소송을 제기해 재판이 진행 중”이라고 덧붙였다. 석연찮은 자금 출처 케이앤지스틸 관계자는 한양이 주금 대여금을 대줬다는 의혹에 대해 “우빈산업서 하는 얘기”라고 일축했다. 그러면서 “새로운 주주가 들어와 투자가 이뤄지면서 주금 대여금을 갚은 것이다. 우빈산업에서는 (우리가)한양의 위장계열사 아니냐, 대표이사 선임 과정이 의심스럽다, 자금 출처가 어디냐 같은 의혹을 제기하는데 그건 주주권 확인 소송서 져서 그러는 것이다. 한양이랑 우리랑은 큰 관계가 없는데 자꾸 엮어서 흠집을 내려 한다”고 주장했다. 2022년 4월 회사가 어려운 시기에 케이앤지스틸 대표로 오게 된 이유에 대해서는 “이 사업이 잘 마무리되면 우리 회사에 300억원 정도의 수익이 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시행이익을 1100억원으로 계산했을 때 우리 회사 지분이 24% 정도니까 그렇게 계산한 것이다. 수익성이 있다고 생각해서 회사를 맡게 됐고, 새로운 주주들도 그 사업성을 보고 투자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jsjang@ilyosis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