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인세의 골프 인문학<9>

해가 지지 않는 대영제국 골프를 전파하라

15세기 최초로 올드코스가 생긴 이후 스코틀랜드 동쪽 해안 지대를 기준으로 북으로는 몬트로즈(MONTROSE)에서 서쪽의 퍼스(PERTH)까지 곳곳에 골프코스가 만들어졌다. 심지어 스코틀랜드 최북단인 오크니섬(ORKNEY ISLAND)에도 골프장이 생겼다.

교회의 뒷마당과 뜰은 모두 골프코스라 해도 과언이 아니었다. 잉글랜드에는 1608년 런던에서 15㎞ 떨어진 교외인 블랙히스(BLACK HEITH)에 7홀 짜리 코스가 만들어진 이후 17세기 중순부터 영국 전역에 골프장이 유행처럼 세워지기 시작한다. 

동우회

18세기 무렵에는 100여군데가 넘었고, 골프 동우회만도 1000여개를 헤아릴 정도였다. 골프장 건설은 당시 영국의 시대 상황과 무관하지 않았다. 1602년 스코틀랜드와 잉글랜드는 통일을 이루었다. 스코틀랜드의 메리여왕이 외아들로 스코틀랜드 제임스6세를 두었는데, 마침 잉글랜드의 엘리자베스1세는 독신으로 자녀가 없었다. 이에 두 나라는 제임스6세를 통일 영국의 제임스 1세로 칭했고 그는 두 나라를 동시에 다스렸던 것이다.

엘리자베스여왕은 메리여왕을 죽였지만 메리의 아들을 후계자로 인정하면서 수백 년 분단의 종지부를 찍는 업적을 이루었다. 제임스1세도 골프를 장려했고, 전쟁의 걱정에서 사라진 국민들도 앞다투어 골프에 눈을 돌렸다.

“국가와 결혼했다”라는 유명한 말을 남긴 엘리자베스 1세의 시대에 이미 최강의 해상국가가 된 대영제국은 세계 각국에 식민지를 건설할 수 있는 기반을 충분히 지니고 있었다. 골프는 시대 상황에 동승할 수 있는 가장 적합한 스포츠로, 세계로 뻗어 나갈 채비를 하기 시작했다.


사면이 바다로 둘러싸인
섬나라 영국 내 스포츠

영국인들은 바다를 누비면서 이제는 식민지마다 골프장을 세우기 시작했다. 그중 역사적인 최대의 공헌은 미국으로 향한 노력이었다. 17세기부터 신대륙 미국으로의 이주가 시작되면서 골프도 함께 이주됐다. 골프가 미국으로 이동한 것과 기타 제3국으로 이동한 것과는 차이가 있었다. 제3국의 골프장 건설은 식민지에 국한된 것이었던 반면, 미국으로의 이동은 골프의 무대를 영국에서 미국으로 이주시키는 ‘골프 역사에서의 대륙 이동’이었다.

19세기 후반에 들어서면서부터 생겨난 프로들은 대다수가 클럽과 골프볼 제조업자들 그리고 캐디 출신들이었다. 이들은 선두에서 골프를 이끌어 나갔고, 골퍼는 아마추어와 프로로 나뉘기 시작했다. 왕족과 귀족 등 상류층 골퍼들은 아마추어로 분류됐다. 영국 사람들은 그저 골프를 치는 수준에서 벗어나 선수들의 프로필을 교환하고, 골프에 대한 지식들을 넓혀가면서 골프 근대화의 기틀을 마련하기 시작했다. 

근대 골프의 선구자로 추앙받는 해리 바든은 19세기 말과 20세기 초의 문턱에서 영국과 미국을 넘나들면서 골프 외교의 선구적 역할을 했다. 위대한 영국 3인방 중 다른 2명인 제임스 블레이드와 존 타일러 역시 골프가 미국에 정착하는 데 많은 공헌을 한 장본인들이었다.

영국은 5대양 6대주에 발만 붙이면 골프장을 건설했다. 식민지 정책을 위해 부임한 영국관리 등에 의해 골프장이 자연스럽게 세워진 것이다. 이유는 당연했다. 해외에서 유일한 놀이였던 골프를 치기 위해 세계 곳곳에 골프장을 직접 짓기 시작한 것이었다. 빅토리아 왕조 당시 전 세계의 대륙 중 4분의 1이 영국령이었으니, 세계 도처에 골프장이 건설 될 수 있었던 것은 당연했다. 

1829년 최초의 해외 골프장이 인도에 세워졌다. 인도 남부의 콜카타(KOLKATA)지역에 세워진 로얄 캘커타 골프코스에 이어 1942년 봄베이에 로얄 봄베이(ROYAL BOMBAY)골프장이 지어졌다. 1939년에는 호주 대륙남단의 타스마니아 섬에 6홀짜리 보스웰(BOSWELL) 클럽이 세워졌다. 뉴질랜드에는 1869년 오타고(OTAGO) 골프클럽이 만들어졌으며 인도네시아에는 1872년에 자카르타(JAKARTA) 골프장이 세워졌다.

500년 전통 섬 스포츠
어떻게 세계로 보급했나


1873년에는 북미 대륙 최초로 캐나다에 로얄 몬트리올(ROYAL MONTREAL) 클럽이 만들어졌다. 1885년에는 말레이지아에 타이펭 골프코스가 생겼으며 1889년에는 스리랑카와 홍콩에도 골프장이 생겼다. 

영국은 아프리카 대륙에도 발을 뻗었다. 1885년 남아프리카공화국에 로얄 케이프(ROYAL CAPE)클럽이 세워졌다. 짐바브웨를 비롯한 10여곳의 아프리카 내륙 국가에도 역시 골프장이 들어섰다. 

영국의 해상 진출은 극동 지역에도 미쳤다. 한국도 예외일 순 없었다. 그들은 1899년 원산 항구내 세관 구역에다 6홀 짜리 골프장을 지었다. 한국 역사상 최초의 골프장이었다. 일본은 이보다 한해 늦은 1900년에 세워졌다.

해상국가

500년 가까운 세월 동안 영국은 종주국으로서 그 임무를 충실히 수행했다. 특히 1887년 대서양을 가로 질러 미국으로의 대륙이동은 골프 역사의 중대 전환점이었다.

미국에서 20세기를 넘어 21세기까지 이르는 150여 년간의 중흥기를 맞이할 준비 작업이었기 때문이었다. 섬나라에만 존재했던 골프가 어떻게 해서 전 세계로 퍼져 나갈 수 있었는지의 물음에 대한 답은 강력한 해상 국가였던 영국이 바다를 통해 전 세계로 전파했기 때문이었다.



배너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단독> 보이스피싱 총책 ‘김미영 팀장’ 탈옥했다

[단독] 보이스피싱 총책 ‘김미영 팀장’ 탈옥했다

[일요시사 취재1팀] 김성민 기자 = 보이스피싱 총책 ‘김미영 팀장’ 박모씨와 조직원 3명이 필리핀 현지 수용소서 탈옥한 것으로 확인됐다. 8일 <일요시사> 취재를 종합하면, 박씨와 함께 보이스피싱 등의 범행을 함께한 조직원 포함 총 4명은 최근 필리핀 루손섬 남동부 지방 비콜 교도소로 이감됐던 것으로 확인된다. 이후 지난 4월 말, 현지서 열린 재판에 출석한 박씨와 일당은 교도소로 이송되는 과정서 도주했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한 수사 당국 관계자는 “박씨와 일당 3명이 교도소로 이송되는 과정서 도주한 것으로 추정된다”며 “구체적인 탈출 방식 등 자세한 내용을 확인해줄 수 없다”고 말했다. 박씨는 서울경찰청 사이버수사대 출신의 전직 경찰로 알려져 충격을 안겼던 바 있다. 2008년 수뢰 혐의로 해임된 그는 경찰 조직을 떠난 뒤 2011년부터 10년간 보이스피싱계의 정점으로 군림해왔다. 특히, 박씨는 조직원들에게 은행 등에서 사용하는 용어들로 구성된 대본을 작성하게 할 정도로 치밀했다. 경찰 출신인 만큼, 관련 범죄에선 전문가로 통했다는 후문이다. 박씨는 필리핀을 거점으로 지난 2012년 콜센터를 개설해 수백억원을 편취했다. 10년 가까이 지속된 그의 범죄는 2021년 10월4일에 끝이 났다. 국정원은 수년간 파악한 정보를 종합해 필리핀 현지에 파견된 경찰에 “박씨가 마닐라서 400km 떨어진 시골 마을에 거주한다”는 정보를 넘겼다. 필리핀 루손섬 비콜교도소 수감 보이스피싱 이어 마약 유통까지 검거 당시 박씨의 경호원은 모두 17명으로 총기가 허용되는 필리핀의 특성상 대부분 중무장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박씨가 위치한 곳까지 접근한 필리핀 이민국 수사관과 현지 경찰 특공대도 무장 경호원들에 맞서 중무장했다. 2023년 초까지만 해도 박씨가 곧 송환될 것이라는 보도가 쏟아져 나왔다. 하지만 박씨는 일부러 고소당하는 등의 방법으로 여죄를 만들어 한국으로 송환되지 않으려 범죄를 계획한 것으로도 알려졌다. 또, 박씨는 새로운 마약왕으로 떠오르고 있는 송모씨와 함께 비콜 교도소로 이감된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1월 비쿠탄 교도소에 수감돼있는 한 제보자에 따르면 “박씨의 텔레그램방에 있는 인원이 10명이 넘는다. 대부분 보이스피싱과 마약 전과가 있는 인물들로 한국인만 있는 것도 아니다”고 주장했다. 이어 “박씨는 본래 마약과는 거리가 멀었던 인물이다. 송씨와 안면을 트면서 보이스피싱보다는 쉽게 돈을 벌 수 있는 마약 사업에 빠지기 시작한 것”이라고 말했다. 이들이 교도소 내에서 마약 사업을 이어왔다는 정황이 드러나면서 경찰 안팎에서는 “새로운 조직을 꾸리려는 것 아니냐”는 의혹도 제기됐다. 당시 일각에서는 이들이 비콜 교도소서 탈옥을 계획 중이라는 주장도 제기됐다. 비쿠탄 교도소 관계자는 “필리핀 남부 민다나오서 약 100만페소(한화 약 2330만원) 정도면 인도네시아로 밀항이 가능하다. 비콜 지역 교도소는 비쿠탄보다 탈옥이 쉬운 곳”이라고 증언한 바 있다. 한편, 지난 7일 외교부와 주필리핀 대한민국 대사관 측은 정확한 탈출 방식이나 사건 발생 일자에 대해 “확인해줄 수 없다”고 일축했다. <smk1@ilyosis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