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트&아트인> ‘여섯 개의 공간’ 박정기

정원을 산책하다

[일요시사 취재1팀] 장지선 기자 = 대구미술관이 박정기 작가의 개인전 ‘걷다 쉬다’ 전을 오는 8월19일까지 개최한다. 박정기는 정원이 가진 공간적 특성에 착안한 50여점의 작품을 선보인다. 관람객들에게는 현대인의 내면과 시대상을 자연스럽게 마주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으로 보인다.
 

대구미술관은 2012년부터 ‘Y 아티스트 프로젝트’를 추진 중이다. Y 아티스트 프로젝트는 역량 있는 신진 작가의 발굴·양성을 위해 만 39세 이하 젊은 작가의 전시를 지원하는 프로그램이다. 이와 함께 만 40∼49세 지역작가를 대상으로 한 ‘Y+ 아티스트 프로젝트’도 운영 중이다. 박정기 작가는 Y+ 아티스트 프로젝트의 3번째 작가로 선정됐다.

의식과 무의식

박정기는 이번 전시를 통해 설치, 퍼포먼스, 영상, 드로잉 등 현대인들의 내면과 이 시대의 사회 병리적 현상을 날카롭게 풍자하는 50여점의 작품을 소개한다. 작품의 소재가 된 정원은 예부터 동양에선 ‘자신과 대면하고 수신하는 공간’으로, 서양에선 ‘지위나 취향을 드러내는 공간’으로 중요하게 인식돼왔다. 

또 안견의 ‘몽유도원도’ 히에로니무스 보스의 ‘쾌락의 정원’ 등에서처럼 시대와 사상, 종교의 흐름을 읽을 수 있는 공간으로 다뤄졌다.

이번 전시는 ‘정원을 산책한다’는 은유로 작가가 설정한 여섯 공간을 소개한다. 관람객들은 여섯 개의 각기 다른 주제로 연결된 유기적 공간을 따라 산책하듯 작품을 감상할 수 있다.


세 번째 Y+ 아티스트 선정
현대인의 내면 들여다보기

첫 번째는 산업화를 이끈 시대정신을 현재 시점서 다룬 작품이다. 현장 퍼포먼스와 그 기록, 아카이브가 함께 전시된다. 두 번째는 이상한 영상과 소리, 현대인들을 의미하는 동물 인형탈 등을 설치한 대나무 정원이다. 

신 자유주의시대 노동의 의미를 주제로 구성했다. 세 번째는 언어세계를 넘어 직관적인 의미의 전달을 실험한 영상 작업이다.

이외에도 상상의 정원을 위한 작가의 개념이 담겨있는 소형 모델작업과 드로잉을 소개하고, ‘에덴동산에서 추방’이라는 사건을 소재로 물적 욕망으로 가득한 자본주의 시대를 의미하는 현대판 사과나무 동산을 재현한다. 

또 말레비치의 검은 사각형을 3차원으로 확장시켜 시각적 인지를 넘어 방향을 내면으로 전환한 직관적 인지에 대한 실험도 선보인다.
 

박정기는 “관람객들이 여섯 공간을 산책하면서 산업화를 거쳐 신자유주의와 4차 산업화가 개인의 의식과 무의식에 어떻게 투영되는지 현대인들의 내면 풍경을 바라보길 바란다”고 전했다.

여섯 개의 공간을 좀 더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가까운 먼’ 작품서 작가는 우리의 사고방식에 의식·무의식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는 산업화 과정에 참여한 두 시대정신을 상징적으로 다룬다. 작가는 그들의 현재 활동에 주목했다. 남성적인 문화와 여성적인 문화이기도 한 두 개의 다른 에너지를 한 공간에 마주하게 하며 입체적으로 시대정신을 읽으려 했다.


각기 다른 주제의 공간
인형탈=익명의 노동자

‘알바천국Ⅱ’는 겉으로 보기엔 대나무로 이뤄진 휴식공간처럼 보이지만, 소꼬리가 흔들리는 영상과 소리 그리고 이곳저곳에 걸린 동물의 탈이 낯섦을 선사한다. 동물 인형탈은 익명의 노동자로 살아가기를 강요당하는 현대인들을 상징한다. 

관람객들은 이 공간 안에서 쉼과 명상의 공간인 정원서조차 자신이 부정되는 현재 우리의 모습과 마주한다.

‘말 같잖은 소리’ 작품을 통해서는 의사소통을 위한 수단이지만 실재를 왜곡할 수밖에 없는 한계를 가진 언어를 조명한다. 사물을 왜곡하지 않고 의미를 직관적이고 직접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방법을 실험한 작품이다. ‘모델의 방’에는 작가가 구상한 아이디어가 모형의 형태로 모여 있다.
 

에덴서의 추방을 소재로 한 ‘첫 번째 정원’은 이상적인 공간인 에덴서 인간의 근본적인 욕망이 현대의 소비·소유의 물적 욕구로 확장되면서 인간과 자연 그리고 스스로에 대한 착취와 자기 부정을 보여주는 작업이다. 

‘말레비치 보기 20초’서 관람객들은 검은 사각형 그림에 다가가면 불이 꺼지면서 암흑을 경험할 수 있다. 2차원적인 공간을 3차원으로 확장시킨 작품이다.

시대정신 조명

이번 전시를 기획한 강세윤 대구미술관 학예연구사는 “박정기 작가의 ‘걷다 쉬다’ 전을 통해 사회의 경제 시스템들이 의식·무의식에 어떻게 투영되는지를 현대인들의 내면 풍경을 통해 다각적으로 보여주고자 한다”며 “사회와 우리들의 심리를 진단하고 이해하는 시간이 되기를 희망한다”고 전했다.
 

<jsjang@ilyosisa.co.kr>

 

[박정기는?]

▲학력

영남대학교 미술학부 한국회화과 졸업
독일 뮌스터 예술대학 석사, 독일


▲개인전

‘달콤함의 무게_ Weight of Sweetness’ KAIST 경영대학 Research & Art Gallery(2016)
‘Theater_ Kein Theater’ Project Hafenweg 22(2013)
‘How to explain pictures to dead Beuys’ 쿤스트 아카데미 뮌스터(2010)
‘Museum for Museum’ 베베어카 파빌리온(2009)

▲단체전

‘Hello Comtemporary Art’ 봉산문화회관(2017)
‘봄, 쉼표하나, 여가의 시작’ 고양아람누리 아람미술관(2017)
‘봄의 제전’ poma 포항 시립미술관 Pohang Museumof Steel Art(2017)
‘구사구용’ 서울시립 북서울미술관(2016)
‘은밀하게 황홀하게’ 문화역 서울284(2015)
‘태화강 국제설치미술제’ 울산(2015)
‘청색증’ 세마 난지 전시실(2015)

 



배너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단독> ‘또다시 나타난 그때 그 사기꾼’ 케이삼흥은 왜 서울시 팔았나

[단독] ‘또다시 나타난 그때 그 사기꾼’ 케이삼흥은 왜 서울시 팔았나

[일요시사 취재1팀] 장지선 기자 = 케이삼흥 사태가 대국민 사기극으로 번질 조짐을 보이고 있다. 피해자가 최소 1000여명, 피해액은 수천억원에 이르는 등 실체가 드러날수록 피해가 눈덩이처럼 커지는 상황이다. 피해자들은 무엇에 홀려 돈을 넣었을까? 무엇이 그들에게 절대적인 믿음을 안겨줬을까? “징조도 없었어요. 2월까지는 돈이 잘 들어왔거든요. 3월25일하고 27일에 원금하고 배당금이 안 들어오면서 난리가 난 거죠.” <일요시사>와 연락이 닿은 한 케이삼흥 투자 피해자는 여전히 정신이 없는 듯했다. 이 피해자는 가족과 지인에게도 투자를 권유했다고 한다. 현재 원망 그 이상의 감정을 받고 있다고 토로했다. 2월까진 괜찮았다 최근 케이삼흥 사태가 일파만파로 번지고 있다. 2021년 설립된 부동산 투자플랫폼업체 케이삼흥은 월 최소 2% 수익을 보장하겠다며 투자자를 끌어모았다. 연 단위로 따지면 24%의 고수익 투자상품인 셈이다. 피해자는 ‘정부’ ‘지방자치단체’ ‘공공기관’ 등의 말에 현혹된 것으로 보인다. 케이삼흥은 정부나 지방자치단체가 개발 예정인 토지를 매입한 뒤 개발사업이 확정되면 소유권을 넘겨 보상금을 받는 방식으로 수익을 만들 수 있다고 홍보했다. ‘토지 보상 투자’라는 용어가 나왔다. 직급에 따라 수익금을 차등 지급하는 다단계 방식으로 업체를 운영해 전형적인 ‘다단계금융 사기’라는 의혹도 제기됐다. 이번 사태서 의문이 제기된 부분은 횡령 등의 혐의로 복역한 경험이 있는 김현재 케이삼흥 회장이 어떻게 또다시 수천명에 이르는 투자자를 끌어모았는지다. 김 회장은 ‘기획부동산’의 창시자로 불린다. 토지를 싼 가격에 사들인 뒤 개발 호재 등이 있다고 소문내 이를 쪼개 파는 방식으로 사기를 저질렀다. 이 과정서 투자금 200억원을 횡령한 혐의 등으로 2006년 징역 3년형을 선고받았다. 20여년이 지난 2021년 김 회장은 ‘케이삼흥’이라는 회사를 만들었다. 서울 등 전국에 7개 지점을 둔 케이삼흥은 언론 광고 등 공격적인 마케팅을 통해 투자자를 모았다. 한 케이삼흥 직원에 따르면, 7개 지점서 일하는 직원은 300~350명가량이었다. 직원들은 이른바 가족·지인 영업을 통해 투자자를 모집했다. 월 2% 수익 약속에 수천명 투자 20년 전과 과정도 결과도 같다? 대부분의 직원은 중·장년층으로 인터넷 기사 등을 통해 공개된 김 회장의 과거를 잘 알지 못했던 것으로 보인다. 김 회장의 사기 전과를 알고 있던 피해자 역시 “원래 무죄였다”거나 전직 대통령을 거론하는 김 회장의 말솜씨에 넘어갔다고 한다. 훈장, 공적비, 기부 기사 등은 김 회장의 주장에 힘을 실었다. 따박따박 통장에 찍히는 배당금은 김 회장에 대한 신뢰를 굳건하게 만들었다. 투자금의 1.5~2%에 이르는 배당금이 매달 입금되고 계약에 따라 만기가 되면 원금이 들어오는 구조였다. 예를 들어 1000만원을 투자하고 3개월 만기로 계약을 맺었다면 1060만원을 돌려받게 되는 셈이다. 요즘 같은 저금리 시대에 파격적인 수준이었다. 김 회장은 본인의 사재를 털어 부족한 부분을 메꾸고 있다고 직원들에게 말한 것으로 전해진다. 그러면서 직원들에게 더 열심히 일하라고(투자자를 모집하라고) 했다는 것이다. 피해자들에 따르면, 김 회장은 자신의 재산이 1조원에 달한다고 주장했다. 수익이 나기 전까지 자신의 돈으로 원금과 배당금을 일부 주고 있다고 여러 차례 강조했다고 덧붙였다. 꾸준히 원금과 배당금을 받은 대부분의 피해자는 더 많은 돈을 재투자했다. 피해액이 천문학적인 수준으로 불어난 이유다. 하지만 ‘윗돌 빼서 아랫돌 괴는’ 방식의 사업구조는 자금 순환이 막히면서 결국 무너져 버렸다. 피해자는 지난 2월까지 원금과 배당금을 정상적으로 받았기에 케이삼흥 사태를 예측하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피해자 중장년층↑ 하지만 경고음은 분명히 존재했다. 회계법인은 케이삼흥에 대해 ‘감사 의견 거절’을 냈다. 감사 의견 거절은 ▲감사인이 감사보고서를 만드는 데 필요한 증거를 얻지 못해 재무제표 전체에 대한 의견 표명이 불가능할 때 ▲기업의 존립에 의문이 들 때 ▲감사인의 독립성 결여 등으로 회계 감사가 불가능한 상황에 제시한다. 기업 내부 사정이 심상찮다는 소리다. 케이삼흥의 경우 ‘회계연도의 현금흐름표 및 재무제표에 대한 주석을 받지 못했다’가 감사 의견 거절의 근거가 됐다. 그럼에도 수많은 피해자는 김 회장을 철석같이 믿었다. 오히려 정관계 인사를 잘 안다는 김 회장의 말이 피해자의 투자심리를 부추겼다. 과거에도 김 회장은 기획부동산 사기로 검찰 조사를 받던 시기에 정관계 로비 의혹을 받은 바 있다. 당시 김 회장이 횡령한 돈 일부가 정치자금으로 흘러 들어갔다는 의혹이 제기된 것이다. 정치권 등의 유력인사를 언급해 투자자의 믿음을 사는 김 회장의 수법은 이번 케이삼흥 사태서도 반복된 것으로 보인다. 한 피해자는 “(김 회장이)정치인 인맥이 많다는 말을 하곤 했다”고 말했다. 다양한 통로로 정보를 얻는 젊은 층에 비해 정보에 어두운 중‧장년층은 김 회장이 주장하는 인맥에 신뢰를 보냈다. 사기 전과 있는데도… <일요시사> 취재에 따르면 김 회장은 서울시 고위공무원과의 친분도 주장했다. 강연 과정서 서울시 고위공무원의 직책을 언급하면서 그를 통해 협조 약속을 받았다는 주장을 펼쳤다. 이 과정서 토지나 주택 등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의 이름도 등장한다. 투자자에게 수익금에 대한 확신을 심어주려는 의도로 파악된다. 김 회장은 “작년에는 부동산 경기 자체가 불투명하니까 1년 동안 거의 안했어요. 착공 들어가려면 제일 먼저 하는 게 보상 업무잖아요. 올해 작년 것까지 합쳐서 하고 있어요. 사업계획 세워놓은 것은 차질이 없다고 하니까”라고 말한다. 그러면서 공공기관, 서울시 고위공무원 직책을 말하면서 “(서울시 고위공무원 직책이)그걸 관장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김 회장이 언급한 직책은 서울시서 주택, 재난안전 등을 관리하는 역할을 맡고 있다. 김 회장은 “(서울시 고위공무원을)만나서 사업이 진행되면 케이삼흥 것을 우선적으로 하겠다(는 약속을 받았다)”고 했다. 토지 보상을 하는 과정서 케이삼흥에 우선적으로 협조한다는 것으로 풀이된다. 김 회장은 ‘주진입도로’ 등을 언급하면서 “2단계든, 3단계든 관계없이 케이삼흥 것을 먼저 협조해주겠다고 그 약속까지 제가 다 받아냈으니까. 하반기에 보상 나오는 것은 확실합니다”라고 강조했다. 강연에 참석한 투자자들은 중간중간 호응하다가 김 회장의 말이 끝나자 박수를 치면서 환호했다. 정치인 인맥·훈장 자랑 당사자는 “처음 들었다” 서울시 관계자는 사실 확인을 요청하는 <일요시사>에 “개인적인 부분에 대해서는 확인을 해줄 수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 김 회장이 언급한 직책의 인물은 지난 8일 <일요시사>와의 통화서 “김현재라는 이름은 지금 처음 듣는다”고 전했다. 케이삼흥이라는 회사명도 이날 처음 들었다고 주장했다. 김 회장과는 사적 친분은 물론이고 전혀 관계가 없다는 말이다. 현재 케이삼흥 사태는 서울경찰청 금융범죄수사대서 수사하고 있다. 김 회장 등 케이삼흥 경영진은 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법(특경법)과 유사수신행위 규제법 위반 등의 혐의를 받는다. 지금까지 파악된 피해자와 피해액은 최소 규모로 시간이 가면 더 늘어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특히 직원으로 불린 모집책이 가족이나 지인 등을 상대로 투자를 권유한 경우가 많아 가정이 파탄난 사례가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또 피해자 가운데 일부는 가족의 병원비 등을 투자금으로 넣은 경우도 있었다. 피해자들은 수사기관에 고소하거나 집회를 준비하는 등 개별적으로 대응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전문가들은 빠른 수사가 관건이라고 입을 모았다. 시간이 흐를수록 피해자가 받는 정신적 고통이 커지기 때문이다. 실제 케이삼흥 사태와 같은 대형 사건서 투자금을 돌려받지 못하거나 투자를 권유한 사람에게 독촉을 받던 피해자가 스스로 목숨을 끊는 사례를 심심찮게 볼 수 있다. 빠른 수사 피해 복구는? 한 피해자는 “가족과 지인 돈까지 다 끌어모아서 투자했다. 원금만이라도 제발 돌려받고 싶다. 가족과 지인들에게 얼굴을 들 수 없다”고 안타까워했다. 직원이면서 동시에 투자자인 이 피해자는 5억원 이상을 투자금으로 넣었다고 고백했다. 김 회장의 입장을 듣기 위해 문자메시지, 전화 등을 통해 연락을 취했지만 닿지 않았다. <jsjang@ilyosis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