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끈지끈 편두통 환자 대부분 여성!

편두통 증상 및 예방법

국민건강보험공단(이사장 성상철)이 건강보험 진료비 지급자료를 분석한 내용에 따르면 ‘편두통(G43)’으로 진료를 받은 사람은 2010년 47만9000명에서 2015년 50만5000명으로 나타나 5.3% 증가하였다.

‘편두통’으로 진료인원은 여성이 남성보다 진료환자 수가 약 2.5배 많았으며, 5년간의 성별 진료 인원은 남성은 2010년 13만2000명에서 2015년 14만4000명으로 9.2% 증가하였고, 여성은 2010년 34만 7000명에서 2015년 36만1000명으로 3.8%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진료비는 2010년 396억원에서 2015년 532억원으로 34.4% 증가했다. 

편두통으로 인한 진료환자를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여성은 50대(7만9000명)〉40대(7만7000명)〉30대(5만5000명) 순으로 많았으며, 남성의 경우는 30~40대 연령층의 진료 인원이 높게 나타났다. 

방치 시 위험

2015년 기준 연령대별 인구수를 보정한 인구 10만명당 진료 인원에서는 70대(1542명)가 가장 많았고, 그 다음은 80세 이상(1382명), 50대(1266명) 순으로 나타났다. 여성은 50대(1952명)가 가장 많았고, 70대(1905명), 40대(1791명) 순으로 나타났으며, 남성은 80세 이상(1182명)이 가장 많았고, 70대(1075명), 60대(738명)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여성이 남성보다 전 연령대에서 높게 나타났다.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신경과 김종헌 교수는 전 연령대에서 남성보다 대부분 여성 환자가 가장 많은 이유에 대해 “여성 호르몬인 에스트로젠(estrogen), 프로게스테론(progesterone)이 편두통과 연관되어 있을 수 있으며, 따라서 가임기 여성에서 더욱 유병률이 높다고 알려져 있고 일부 여성은 월경 때 편두통이 발생하기도 한다”고 설명했다.


인구 10만명당 시도별 ‘편두통’ 진료 인원을 분석한 결과, 제주 1654명으로 가장 많았고, 전북 1582명, 대전 1271명 순이었다. 반면에, 울산이 796명으로 가장 적었으며, 인천 834명, 서울 890명 순으로 적게 나타났다.

2015년 편두통 진료 인원 50만5000명
주요 원인은 수면장애, 피로, 스트레스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신경과 김종헌 교수는 편두통의 원인, 증상, 치료 및 예방 관리법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 편두통의 원인은 아직 확실하지 않으나 유전병과 같이 유전되는 편두통이 밝혀지기도 했다. 또한, 신경염증, 혈관수축, 반복되는 통증에 예민하게 반응하는 (중심감작 central sensitization) 등 다양한 학설이 있다.

편두통은 두통의 분류에 의하면 일차적 두통에 해당한다. 즉 감염이나 손상 등 원인이 있는 이차적 두통과 달리 뚜렷이 보이는 이상 소견 없이 두통이 발생하며, 두통의 대부분(70~80%)을 차지하는 긴장성 두통과, 10~ 20%를 차지하는 편두통 등이 일차적 두통에 속한다.

편두통은 광공포증(빛에 예민하게 반응), 심한 두통으로 인한 일상생활의 장애, 메스꺼움 (photophobia, impairment, nausea) 등의 증상을 중요한 판단기준으로 한다. 편두통은 일반 두통과 달리 두통이 발생하기 전 전조증상이 동반될 수 있는데 환자마다 전조 증상은 달라서, 눈앞에서 아지랑이 피는 것이 보이는 시각 증상에서부터 뇌경색과 같이 한쪽 팔다리에 힘이 빠지는 증상까지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다. 두통의 고통으로 일상생활에 큰 지장을 주고 업무에 지장을 초래한다. 이로 인한 우울증도 발생할 수 있으며, 만성편두통으로 발전할 수 있어 치료가 더욱 힘들어질 수 있다.

충분한 운동·수면

예방법으로 모든 사람에게 적용되는 것은 충분한 잠, 운동, 영양 섭취다. 우선 편두통의 악화 요인에 대해 잘 알고 있어야 한다. 악화 요인으로는 수면장애, 피곤, 스트레스, 특정 음식, 커피와 같은 음료수, 약, 날씨, 월경, 폐경 등이 있을 수 있다.


음식과 같이 피할 수 있는 것은 가능하면 피하는 것이 좋고, 월경과 같은 피할 수 없는 요인이 있는 경우엔 예방약을 복용함으로써 증상을 가볍게 할 수 있다. 또한, 평소 습관적으로 두통약을 복용하는 것은 그 자체가 만성 두통의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하며 그밖에 두통을 악화시킬 수 있는 어깨, 목 등의 통증을 평소에 치료해 두어야 한다.

 



배너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단독> 보이스피싱 총책 ‘김미영 팀장’ 탈옥했다

[단독] 보이스피싱 총책 ‘김미영 팀장’ 탈옥했다

[일요시사 취재1팀] 김성민 기자 = 보이스피싱 총책 ‘김미영 팀장’ 박모씨와 조직원 3명이 필리핀 현지 수용소서 탈옥한 것으로 확인됐다. 8일 <일요시사> 취재를 종합하면, 박씨와 함께 보이스피싱 등의 범행을 함께한 조직원 포함 총 4명은 최근 필리핀 루손섬 남동부 지방 비콜 교도소로 이감됐던 것으로 확인된다. 이후 지난 4월 말, 현지서 열린 재판에 출석한 박씨와 일당은 교도소로 이송되는 과정서 도주했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한 수사 당국 관계자는 “박씨와 일당 3명이 교도소로 이송되는 과정서 도주한 것으로 추정된다”며 “구체적인 탈출 방식 등 자세한 내용을 확인해줄 수 없다”고 말했다. 박씨는 서울경찰청 사이버수사대 출신의 전직 경찰로 알려져 충격을 안겼던 바 있다. 2008년 수뢰 혐의로 해임된 그는 경찰 조직을 떠난 뒤 2011년부터 10년간 보이스피싱계의 정점으로 군림해왔다. 특히, 박씨는 조직원들에게 은행 등에서 사용하는 용어들로 구성된 대본을 작성하게 할 정도로 치밀했다. 경찰 출신인 만큼, 관련 범죄에선 전문가로 통했다는 후문이다. 박씨는 필리핀을 거점으로 지난 2012년 콜센터를 개설해 수백억원을 편취했다. 10년 가까이 지속된 그의 범죄는 2021년 10월4일에 끝이 났다. 국정원은 수년간 파악한 정보를 종합해 필리핀 현지에 파견된 경찰에 “박씨가 마닐라서 400km 떨어진 시골 마을에 거주한다”는 정보를 넘겼다. 필리핀 루손섬 비콜교도소 수감 보이스피싱 이어 마약 유통까지 검거 당시 박씨의 경호원은 모두 17명으로 총기가 허용되는 필리핀의 특성상 대부분 중무장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박씨가 위치한 곳까지 접근한 필리핀 이민국 수사관과 현지 경찰 특공대도 무장 경호원들에 맞서 중무장했다. 2023년 초까지만 해도 박씨가 곧 송환될 것이라는 보도가 쏟아져 나왔다. 하지만 박씨는 일부러 고소당하는 등의 방법으로 여죄를 만들어 한국으로 송환되지 않으려 범죄를 계획한 것으로도 알려졌다. 또, 박씨는 새로운 마약왕으로 떠오르고 있는 송모씨와 함께 비콜 교도소로 이감된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1월 비쿠탄 교도소에 수감돼있는 한 제보자에 따르면 “박씨의 텔레그램방에 있는 인원이 10명이 넘는다. 대부분 보이스피싱과 마약 전과가 있는 인물들로 한국인만 있는 것도 아니다”고 주장했다. 이어 “박씨는 본래 마약과는 거리가 멀었던 인물이다. 송씨와 안면을 트면서 보이스피싱보다는 쉽게 돈을 벌 수 있는 마약 사업에 빠지기 시작한 것”이라고 말했다. 이들이 교도소 내에서 마약 사업을 이어왔다는 정황이 드러나면서 경찰 안팎에서는 “새로운 조직을 꾸리려는 것 아니냐”는 의혹도 제기됐다. 당시 일각에서는 이들이 비콜 교도소서 탈옥을 계획 중이라는 주장도 제기됐다. 비쿠탄 교도소 관계자는 “필리핀 남부 민다나오서 약 100만페소(한화 약 2330만원) 정도면 인도네시아로 밀항이 가능하다. 비콜 지역 교도소는 비쿠탄보다 탈옥이 쉬운 곳”이라고 증언한 바 있다. 한편, 지난 7일 외교부와 주필리핀 대한민국 대사관 측은 정확한 탈출 방식이나 사건 발생 일자에 대해 “확인해줄 수 없다”고 일축했다. <smk1@ilyosis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