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프선수들 닉네임 열전

타이거 우즈는 엘드릭 톤트 우즈?

PGA투어에서 활약하는 많은 프로들은 본명을 쓰지 않고 닉네임을 쓰는 경우가 허다하다. 골프팬들은 닉네임을 진짜이름으로 믿기도 한다.

‘골프 황제’ 타이거 우즈의 여권 이름에는 ‘타이거’가 없다. 그의 본명이 ‘엘드릭 톤트 우즈’이기 때문이다. ‘타이거’는 닉네임이다. 미국 공수부대 장교로 복무한 얼 우즈가 베트남에서 근무할 때 친하게 지낸 베트남군 장교의 별명이 ‘타이거’였다. 얼 우즈는 친구의 이름을 아들의 ‘닉네임’으로 삼았고 지금은 세계에서 가장 유명한 운동선수 이름이 됐다.
닉네임은 별명이라는 뜻도 있지만 친한 사람끼리 본명 대신 부르는 이름도 닉네임이다. 어릴 때 부모가 붙여준 ‘아명(兒名)’도 닉네임이라고 한다.
원래 이름을 줄여 부르는 ‘약명(略名)’과도 다른 의미다. 영미권에서는 약명을 사실상 본명으로 친다. 제임스를 ‘짐’으로 부르거나 토머스를 ‘톰’, 윌리엄을 ‘빌’, 필립을 ‘필’, 재커리를 ‘잭’이라고 칭하는 게 바로 약명이다.

닉네임 보편화

타이거 우즈는 닉네임을 본명 대신 쓰는 경우다. 미국프로골프(PGA) 투어 데뷔 때 본명은 아예 빼버리고 타이거 우즈로 투어 사무국에 등록했다. 가수나 배우가 본명 대신 예명을 쓰는 것이나 문필가가 필명을 사용하는 것과 비슷하다.
이렇게 닉네임을 선수명으로 삼은 경우는 타이거 우즈 말고도 더러 있다. 세계랭킹 6위 버바 왓슨(미국)도 여권 이름에 ‘버바’가 없다. 왓슨의 본명은 ‘개리 레스터 왓슨 주니어’다. 버바 역시 아명이다. 아버지가 좋아하던 버바 스미스라는 풋볼선수 이름을 닉네임으로 삼은 경우이다.
PGA 투어에서 3승을 거둔 부 위클리(미국) 역시 닉네임을 선수명으로 등록했다. 본명은 토마스 브렌트 위클리다. ‘부’는 유명한 만화 캐릭터 곰 ‘부-부 베어’에서 따왔다. 위클리의 외모는 부-부 베어와 흡사하다.
1979년 마스터스에 이어 1984 년 US오픈 등 메이저대회 2차례 우승을 포함해 PGA 투어에서 10승을 올린 왕년의 스타 퍼지 젤러(미국)도 프랭크 어번 젤러 주니어라는 본명이 따로 있다. ‘퍼지’는 본명의 첫 글자 F, U, Z에서 비롯된 닉네임이다.
미국여자프로골프(LPGA)투어 사상 최고의 선수로 꼽는 베이브 자하리아스(미국)는 밀드리드 엘라 디드릭슨 자하라이스라는 본래 이름이 있지만 홈런왕 베이브 루스의 이름을 딴 ‘베이브’라는 닉네임이 더 유명하다. 자하리아스는 야구선수로 뛸 때 한 경기에서 홈런 5개를 때려 ‘베이브’라는 애칭을 얻었다.

아명, 언론이 붙여준 별명 많아
최경주를 대표하는 별명 ‘탱크’

얼마 전 장하나(24·비씨카드)가 펼친 검객 우승 세리머니의 원조격인 치치 로드리게스(푸에르토리코) 역시 어릴 때 아버지가 붙여준 ‘아명’이 선수명이 된 경우이다. ‘치치’는 로드리게스가 어릴 때 푸에르토리코에서 가장 유명했던 축구 선수다. 본명은 후안 안토니오 로드리게스지만 누구나 그를 치치라고 불렀다.
선수 등록명으로 쓰지 않더라도 스타 선수는 언론에서 붙여준 별명이 하나씩 있다. 어니 엘스(남아공)는 190㎝가 넘는 큰 키에 부드러운 스윙으로 ‘빅이지(Big Easy)’라는 별명이 붙었고 드라이버를 붕붕 소리가 나도록 힘차게 휘두른 프레드 커플스(미국)는 ‘붐붐(Boom Boom)’이라는 별명을 가졌다.
그레그 노먼(호주)이 ‘백상어’라는 무시무시한 별명을 얻은 것은 상어가 많다고 알려진 호주 출신인 데다 경기 스타일이 공격적이기 때문이었다. 캐리 웹(호주)은 덩달아 ‘여자 백상어’가 됐다.
뚱뚱한 몸매에 콧수염을 기른 크레이그 스태들러는 다들 ‘해마’라고 불렀고 앞니가 벌어진 루이스 우스트히즌(남아공)은 만화영화 주인공 ‘쉬렉’이 별명이 됐다. ‘뽀빠이’ 크레이그 페리(호주), ‘펭귄’ 팀 클라크(남아공), ‘오리’ 앙헬 카브레라(아르헨티나), ‘땅콩’ 김미현은 모두 외모 때문에 별명이 붙은 경우이다.


영국 신문 골프면 제목에 자주 등장한 ‘몬티(Monty)’는 콜린 몽고메리라는 성을 축약한 몽고메리(스코틀랜드)의 별명이다. 레티프 구센(남아공)은 미국 언론에서 구센이라는 성을 줄여서 ‘구스(Goose)’라고 줄여 썼다. 한때 세계랭킹 1위에 오른 데이비드 듀발(미국)은 ‘더블D’라는 멋 없는 별명으로 통했다.
최경주(46)는 ‘탱크’라는 별명을 좋아했다. 검게 그을린 얼굴과 다부진 체격에 딱 맞는 별명이라서 한국뿐 아니라 미국 언론도 최경주를 ‘탱크’라고 쓴다. 또 영원한 골프황제 잭 니클라우스(미국)의 별명은 ‘황금곰’이다. 황금색 머리칼과 커다란 몸집에서 비롯되었다. 그는 황금곰 로고를 상품에 달아서 적지 않은 돈을 벌었다.

각양각색 별명

‘잭’의 맞수, 아놀드 파머(미국)의 별명은 ‘킹(King)’이다. 카리스마 넘치는 플레이 스타일에다 수많은 팬을 몰고 다녀 마치‘왕’처럼 보였기 때문이다. 파머의 경기마다 떼를 지어 다니며 응원하는 팬들은 ‘아니의 군대’라고 불렀다. 아니의 군대는 파머의 평생 경쟁자 니클라우스에게 ‘오하이오 뚱보’라는 다른 별명을 붙여줬다. 검은색 경기복을 늘 입는 개리 플레이어(남아공)는 ‘흑기사’라는 별명으로 맹활약했다. 



배너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단독> ‘2조 물먹은’ 한양 수상한 계열사와 의문의 돈거래

[단독] ‘2조 물먹은’ 한양 수상한 계열사와 의문의 돈거래

[일요시사 취재1팀] 장지선 기자 = 광주 노른자위 땅을 개발하는 사업이 건설사 간의 갈등으로 몸살을 앓고 있다. 총사업비 2조여원의 초대형 프로젝트가 양측이 제기한 고소·고발로 표류하는 모양새다. 갈등의 본질은 사업을 좌지우지하는 특수목적법인(SPC)의 최대주주 지위가 누구에게 있는지다. 최근 지분확보를 위한 소송 과정서 의문의 돈거래가 포착됐다. 2020년 7월1일 헌법재판소의 결정에 따라 도시계획시설서 도시공원으로 지정해놓은 개인 소유의 땅에 20년간 공원 조성을 하지 않을 경우 땅 주민의 재산권 보호를 위해 도시공원서 해제하는 제도인 ‘도시공원 일몰제’가 시행됐다. 도시공원 일몰제의 도입으로 민간공원 특례사업이 주목받기 시작했다. 민관 합작 윈윈 사업 민간공원 특례사업은 민간에 사업시행권을 주고 공원을 조성해 지자체에 기부채납하도록 하는 제도다. 민간 사업시행자는 공원부지 30% 범위서 아파트 건설 등 비공원사업을 진행해 수익을 챙길 수 있다. 정부나 지자체는 민간 자본으로 공원을 조성할 수 있다는 점에서, 민간 사업시행자는 주택 공급 사업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서로 이득 볼 수 있는 구조다. 현재 전국 각지서 진행하고 있는 민간공원 특례사업 중 ‘중앙공원 1지구 민간공원 특례사업’의 규모가 가장 크다. 광주시 서구 금호동과 화정동, 풍암동 일대 243만5027㎡에 공원시설과 비공원시설을 건축하는 초대형 프로젝트다. 비공원시설 부지에는 지하 3층~지상 28층, 39개동 총 2772세대 규모의 아파트가 들어설 예정이다. 총사업비가 2조2000억원에 달한다. 2020년 1월 사업시행사인 특수목적법인(SPC) 빛고을중앙공원개발(이하 빛고을)이 설립되면서 추진되기 시작한 사업은 최근 시행사 지위와 시공권 등을 두고 고소·고발이 난무하고 있다. SPC 설립 시점부터 컨소시엄에 참여한 한양과 이후 시공자로 들어온 롯데건설, 지분 다툼을 벌이고 있는 우빈산업, 케이앤지스틸 등이 갈등의 주체다. SPC 빛고을 설립 초기 한양이 30%로 최대주주, 우빈산업(25%), 케이앤지스틸(24%), 파크엠(21%) 등이 주주로 참여했다. 한양이 우빈산업과 케이앤지스틸의 SPC 빛고을 참여를 위한 초기자본 49억원을 댔다. 한양이 우빈산업에 49억원을 빌려주고 우빈산업이 다시 케이앤지스틸에 24억원을 대여해 지분을 분배했다. 이때 우빈산업은 케이앤지스틸에 24억원을 빌려주면서 ‘콜옵션’ 계약을 맺은 것으로 보인다. 콜옵션은 특정한 기초자산을 만기일이나 만기일 이전에 미리 정한 행사가격으로 살 수 있는 권리를 뜻한다. 다시 말해 우빈산업은 언제든지 원할 때 케이앤지스틸의 지분을 회수할 수 있는 조건을 걸어둔 것이다. ‘초대형’ 중앙공원 1지구 사업의 이면 한양-케이앤지스틸 모종의 관계 의혹 SPC 빛고을 주주구성에 변화가 생긴 시점은 컨소시엄 구성 당시 한양이 맡기로 한 시공권이 롯데건설로 넘어가면서부터다. 우빈산업은 케이앤지스틸의 지분 24%를 위임받아 주주권을 행사해 롯데건설과 중앙공원 1지구 아파트 신축 도급 약정을 체결했다. 이 과정서 30% 지분의 한양은 배제됐다. 롯데건설을 시공자로 선정할 당시 우빈산업에 지분을 위임했던 케이앤지스틸의 태도가 변한 시기는 2022년 5월경으로 추정된다. SPC 빛고을 관계자에 따르면, 당시 케이앤지스틸은 우빈산업에 25억3000만원(대여금 24억원+이자)을 송금한 뒤 주주권을 주장하고 나섰다. SPC 빛고을 설립 과정서 빌린 돈을 갚았으니 24% 지분만큼 주주권을 행사하겠다는 것이다. 그러자 우빈산업은 케이앤지스틸에 24억원을 빌려주면서 맺었던 콜옵션을 행사하고 49%의 지분을 확보해 SPC 빛고을 최대주주로 올라섰다. 이후 우빈산업 내부 사정이 변하면서 한 차례 더 지분구조에 변화가 생겼다. 우빈산업은 대출금 100억원에 대해 채무불이행을 선언하고 부도 처리됐다. 지급보증을 섰던 롯데건설은 우빈산업이 보유하고 있던 지분을 넘겨 받으면서 49%를 확보했다. 지분양도는 롯데건설이 근질권(담보물에 대한 권리)을 행사해 채무를 대신 갚아주는 방식으로 이뤄졌다. 우빈산업이 빠진 자리에 롯데건설이 들어오면서 현재 기준 빛고을 SPC 지분구조는 한양 30%, 롯데건설 29.5%, ㈜파크엠 21%, 허브자산운용 19.5%로 재편된 상태다. 허브자산운용이 보유한 19.5%는 롯데건설로부터 양도받은 것이다. SPC 빛고을 내에서 롯데건설의 발언권이 커졌다는 것을 의미한다. 나뉜 지분 콜옵션으로? 사업시행권과 시공권을 두고 롯데건설과 우빈산업, 한양과 케이앤지스틸이 궤를 같이 하면서 분쟁이 이어지고 있다. 쟁점은 우빈산업과 케이앤지스틸이 가진 지분이 최종적으로 누구의 소유냐는 것이다. 두 회사의 지분이 어느 쪽으로 움직이느냐에 따라 SPC 빛고을의 최대주주가 바뀔 수 있다. 케이앤지스틸은 우빈산업에 주금 대여금을 갚았으니 24%에 대한 주주권이 자사에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한양은 SPC 빛고을 설립 과정서 우빈산업에 49억원의 출자금을 대여하면서 맺은 특별약정을 내세웠다. 해당 약정에 한양이 중앙공원 1지구 사업의 비공원시설 시공권을 전부 갖는데 우빈산업이 의결권을 행사한다는 항목이 존재한다고 주장했다. 우빈산업이 주도해 롯데건설로 시공사를 바꾼 것은 특별약정에 어긋난다는 설명이다. 광주지방법원은 케이앤지스틸과 한양이 각각 우빈산업을 상대로 제기한 소송서 모두 원고의 손을 들어줬다. 케이앤지스틸 관계자는 “주주권 확인 소송서 승소 판결을 받았다. 우리가 SPC 주식을 실제로 소유한 주주라는 뜻”이라고 강조했다. 한양 관계자도 “1심 법원은 우빈산업이 한양에게 49억원의 손해배상금을 지급하고 보유 주식 25% 전량을 양도하라는 판결을 내렸다”고 말했다. 반면 롯데건설은 소송 판결 한 달 전, 우빈산업의 지분을 인수했다고 설명했다. 우빈산업이 한양에 양도할 주식이 남아 있지 않다는 것이다. 이 과정서 한양은 우빈산업의 ‘고의 부도’를 의심하고 있다. 한양은 1심 법원 판결을 근거로 자사가 지분 55%(한양 30%+우빈산업 25%)의 SPC 빛고을 최대주주라고 주장하고 있다. 다만 대법원서 한양에 ‘시공권이 없다’는 취지의 판결을 내놓으면서 시공자 지위는 잃게 됐다. 소송 이겨도 지위 잃었다 최근 SPC 빛고을 지분 갈등서 케이앤지스틸의 역할이 관심사로 떠올랐다. 케이앤지스틸은 상하수도 설비공사 업체로 2003년에 설립됐다. SPC 빛고을에 우빈산업과 함께 참여했다가 현재는 빠진 상태다. 케이앤지스틸 관계자는 “전 대표가 우빈산업과 친분이 있어서 (SPC 빛고을에)참여한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현 사태서 롯데건설과 우빈산업은 이른바 ‘비한양파’로 묶여있다. 두 업체의 지분 이동도 비교적 명확히 드러나 있는 상황이다. 반면 케이앤지스틸과 한양은 두 업체 모두 우빈산업과 소송을 진행하면서도 서로 명확하게 선을 그었다. 한양 관계자는 “적(우빈산업)이 같을 뿐 특별히 관계가 있는 업체는 아니다”라고 말했다. 하지만 한양의 모기업인 보성그룹 계열사에 속한 ‘앤유’라는 업체가 케이앤지스틸에 2022년 4월, 2억원을 빌려줬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앤유는 이기승 보성그룹 회장의 동생인 이점식씨가 지분 83.6%를 가지고 있는 친족회사다. 전기 조명장치 제조업체로 2007년에 설립됐다. 2022년 기준 매출은 28억2900만원, 영업이익은 3억300만원으로 확인된다. 한양과의 거래를 통해 27억7900만원의 매출을 올렸다. 앤유는 케이지앤지스틸에 2억원을 빌려주는 과정서 1주일짜리 주식근질권을 설정했다. 1주일 뒤 케이앤지스틸이 2억원을 갚지 못하면서 케이앤지스틸의 주식이 전부 앤유로 넘어온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또 1주일 뒤 케이앤지스틸의 대표이사를 비롯해 사내이사 3명 등 4명이 등기이사로 이름을 올렸다. 이 가운데 1명은 앤유 대표인 정모씨의 아내로 추정된다. 케이앤지스틸 수뇌부가 물갈이된 것이다. 당시 케이앤지스틸의 채무가 수십억원에 이를 정도로 적자가 누적된 상태였다고 해도 2억원을 갚지 못해 회사의 지배권을 넘겨준 것을 두고 석연찮은 의문이 일었다. 1주일이라는 짧은 주식 근질권 설정도 의문으로 떠올랐다. 보성그룹에 기생하는 ‘앤유’ 푼돈 주고 1주 만 회사 꿀꺽? 더 흥미로운 대목은 같은 해 5월 케이앤지스틸이 우빈산업에 주금 대여금 25억3000만원을 송금한 뒤 주주권을 주장하기 시작했다는 의혹이 동시에 불거진 점이다. 다시 말해 2억원을 갚지 못해 회사의 지분 100%를 앤유에 넘겨주고 한 달 만에 20억원이 넘는 돈을 융통해 SPC 빛고을 지분을 확보하려 했다는 의혹이다. 여기에 우빈산업을 상대로 한 주주권 확인 소송 등에 김앤장을 변호인으로 선임하면서 수임료에 대한 의혹이 추가로 제기됐다. 일각에서는 케이앤지스틸이 지분확보를 위해 사용한 자금 출처가 한양이라는 주장이 나왔다. 한양 입장서 케이앤지스틸이 가지고 있는 지분을 확보하면 54%로 SPC 빛고을의 최대주주가 될 수 있다. 그렇게 되면 대법원 판결로 시공자 지위는 상실했지만 롯데건설에 넘어가 있는 시공권을 흔들 수 있는 상황이 생길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지분 갈등 구조가 롯데건설과 우빈산업, 한양과 케이앤지스틸로 정리되는 셈이다. 하지만 한양과 케이앤지스틸 모두 두 업체 간 모종의 관계 의혹에 대해서는 단호하게 선을 그었다. 한양 관계자는 “앤유라는 계열사가 있는지도 잘 몰랐다. 앤유서 케이앤지스틸에 2억원을 빌려줬다거나 주금 대여금을 대줬다는 의혹은 전혀 사실무근이다. 우빈산업서 (1심)소송에 져서 계속 근거 없는 의혹을 제기하고 있는 듯하다. 대응 가치를 느끼지 못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보다 광주시가 우빈산업과 결탁해 여러 가지로 유리하게 상황을 봐주고 있다고 판단해 광주시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했다. 광주시는 사업시행자이자 감독관청으로서 해야 할 일이 참 많은데 그런 일을 하지 않아 공모 제도가 다 무너졌다. 마땅히 해야 할 일을 하지 않은 광주시의 행정행위에 대해 소송을 제기해 재판이 진행 중”이라고 덧붙였다. 석연찮은 자금 출처 케이앤지스틸 관계자는 한양이 주금 대여금을 대줬다는 의혹에 대해 “우빈산업서 하는 얘기”라고 일축했다. 그러면서 “새로운 주주가 들어와 투자가 이뤄지면서 주금 대여금을 갚은 것이다. 우빈산업에서는 (우리가)한양의 위장계열사 아니냐, 대표이사 선임 과정이 의심스럽다, 자금 출처가 어디냐 같은 의혹을 제기하는데 그건 주주권 확인 소송서 져서 그러는 것이다. 한양이랑 우리랑은 큰 관계가 없는데 자꾸 엮어서 흠집을 내려 한다”고 주장했다. 2022년 4월 회사가 어려운 시기에 케이앤지스틸 대표로 오게 된 이유에 대해서는 “이 사업이 잘 마무리되면 우리 회사에 300억원 정도의 수익이 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시행이익을 1100억원으로 계산했을 때 우리 회사 지분이 24% 정도니까 그렇게 계산한 것이다. 수익성이 있다고 생각해서 회사를 맡게 됐고, 새로운 주주들도 그 사업성을 보고 투자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jsjang@ilyosis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