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세종고속도로, 이르면 내년말 '첫삽'

2015.11.19 14:44:14 호수 0호

[일요시사 사회2팀] 박 일 기자 = 서울세종고속도로, 이르면 내년말 '첫삽'



경기도 구리시에서 세종시 장군면까지 달리는 '서울~세종 고속도로'가 이르면 내년 말 착공될 것으로 보인다.

국토교통부는 19일 '제22차 경제관계장관회의'서 서울과 세종을 연결하는 129㎞(6차로) 고속도로 건설 사업을 민자사업으로 추진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그동안 국토부는 연간 20조원에 달하는 국가교통 혼잡비용을 줄이기 위해 서울~세종 고속도로 사업을 논의해 왔는데, 지난 2009년 예비타당성조사 결과 사업 타당성이 있는 것으로 검토됐다.

서울~세종 고속도로 건설 프로젝트는 민자사업으로 추진함으로써 재정부담을 최소화할 계획이다.

민간의 투자금을 활용하면서 통행료 부담도 낮추기 위해 정부와 민간사업자가 리스크를 분담하는 손익공유형 모델 등 새로운 민자사업 방식도 검토할 계획이다.


전체 사업구간을 민자사업으로 추진하되 서울~안성 구간(71㎞)은 사업의 시급성을 고려해 한국도로공사에서 우선 착수하고 민자사업으로 전환하는 방식으로 추진키로 했다.

한국도로공사가 설계 등 공사절차를 진행하면서 민자 적격성 검토, 사업자 선정 등 민자사업 절차를 병행해 빠르면 2016년 말 착공한 후 2022년 개통할 계획이다.

또 안성~세종 구간(58㎞)도 2020년 착공한 후 2025년 개통할 계획이다. 충북지역에서도 서울~세종 고속도로를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연기~오송간 지선을 건설하는 방안도 검토 추진할 예정이다.

특히 서울~세종 고속도로는 첨단 정보통신기술(ICT)을 융복합해 '스마트 하이웨이'로 구축한다.

통행권을 뽑을 필요 없이 고속주행 중에도 차량 번호판을 인식해 자동으로 통행료를 결제하는 '스마트톨링' 시스템과 차량과 도로, 차량과 차량 간에 사고정보, 돌발상황 등을 실시간으로 알리는 '차세대 지능형교통체계(C-ITS)'도 도입키로 했다.

통신기지국, 레이더 등 도로상황을 실시간으로 감지해 차량과 통신할 수 있는 도로 인프라를 구축해 차량센서만 이용하는 단계를 넘어 수준 높은 자율주행 서비스도 제공할 계획이다.

국토부는 서울~세종 고속도로 사업이 추진될 경우 만성적 교통정체가 발생하고 있는 경부·중부고속도로의 혼잡구간이 60% 정도 감소할 것으로 보고 있다.

통행 속도도 현재보다 약 10㎞/h 빨라져 서울~세종간 통행시간 단축 등에 따른 경제적 효과도 연간 8400억원에 이를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일요시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Copyright ©일요시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