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트너 돌리는’ 폴리아모리의 세계

2025.08.19 12:31:58 호수 1545호

“한 명으론 만족 못해”
여러 사람과 동시 관계

[일요시사 취재1팀] 김철준 기자 = 익숙하지 않은 사랑 방식이 다시 주목을 받고 있다. 다자 연애를 지칭하는 폴리아모리가 다양한 영화, 드라마, 웹툰 등에서 소재로 사용되면서 직접 삶에 투영하는 사람이 늘고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사회의 시선은 여전히 곱지 못하다. 이들의 사랑 방식을 불륜, 양다리로 볼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세상이 변모하는 만큼 폴리아모리스트들을 위한 제도의 변화가 조만간 올 것이라고 예측하기도 한다.



또 다른 사랑 방식인 폴리아모리가 다시 주목을 받고 있다. 폴리아모리는 일대 다수 혹은 다수 대 다수의 연애 방식을 뜻한다. 폴리아모리는 모든 당사자가 그 사실을 알고 동의해야 한다는 전제가 있지만 여전히 사회적 시선은 냉담하다.

한국 맞아?

폴리아모리는 ‘많음’을 뜻하는 그리스어 ‘폴리(poly)’와 사랑을 뜻하는 라틴어 ‘아모르(amor)’의 합성어다. 폴리아모리스트, 또는 다자연애자는 한번에 사랑하는 사람의 수에 제한을 두지 않는 사람을 말한다.

대부분 폴리아모리스트들은 정치적이거나 문화적인 이유로 된다고 한다.

이들은 가족이나 일부일처제 같은 것들은 사랑의 가변성을 제도의 불변성으로 억압해 놓은 결과물로 인식하고, 움직일 수밖에 없는 사랑을 묶은 결과로 필연적으로 불륜이라는 배신을 안기거나, 아니면 그 제도에 스스로를 얽매어 더 이상 아내나 남편을 사랑하지 않으면서도 사랑을 연기하는 가식을 만들게 된다고 생각하게 된다는 것이다.


연인 관계에서 굳이 그런 제도들로 자신들을 구속할 이유가 없고, 또 사랑이 여러 명일 수도, 하루에도, 며칠에도 움직여 갔다가 돌아갈 수도 있는 것이니 느슨한 형태로 풀어놓자고 하는 것이 그들이 원하는 바인 셈이다.

다소 이질적인 연애 개념이지만 이미 여러 차례 영화 소재로도 사용된 적이 있다.

2008년 정윤수 감독 작품 <아내가 결혼했다>가 폴리아모리를 다룬 대표적인 영화로 알려져 있다. 외국 영화로는 2009년 <내 남자의 아내도 좋아>와, 폴리아모리가 중점적 소구는 아니었지만 <파괴자들>에서도 다자간 연애 장면이 등장한다.

또 웹툰 <독신으로 살겠다>에서도 41화에 폴리아모리 이야기가 나오면서 조금씩 알려지기 시작했다.

다소 이질적인 ‘다자 연애’
국내서도 사례 잇달아 충격

폴리아모리 커뮤니티에서 활동 중인 누리꾼 A씨는 “단 한 사람으로 나의 모든 게 충족될 수 없다”며 “이 사람이 가진 장점이 있는가 하면 저 사람만이 가진 독특한 뭔가가 있다. 한때 한 사람과 연애해 본 적 있지만 그런 연애 방식은 날 행복하게 하지 않는다는 것을 깨달았기에 폴리아모리스트로서 살아가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여러 명의 파트너가 있어도 파트너와의 신뢰가 두터우면 질투할 것도 없다”며 “하지만 그게 가능할 정도로 신뢰를 쌓기까지는 시간이 많이 걸린다. 그래서 그만큼 서로 충분히 대화를 나눠야 하고 서로 간의 바운더리가 어디까지인지 계속 대화를 나누고 조율하는 과정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폴리아모리적인 관계를 이어 나가려면 상황이 어렵더라도 열린 대화를 하면서 서로 맞춰 나가야 되는데 많은 사람들은 마주한 상황을 도피하는 것으로 해결하려해 안타깝다”고 토로하기도 했다.

A씨의 말처럼 연애를 시작하기 전에 상대방에게 먼저 자신의 가치관에 대해 알려주고 시작하는 게 폴리아모리스트로서의 예의다. 만약 상대방이 받아들일 수 없다고 하면 아예 연애를 시작하지 않는 것이 맞으며, 굳이 그 사람과 사귀고 싶다면 기존의 관계에 억지로 끼워 맞추려 하지 말고 모두 정리하거나 중단하고 1대 1로 맞춰줘야 한다.

최근의 인터넷 썰이나 방송 사연 등에서 바람을 피운 애인이 갑자기 자신을 폴리아모리스트라고 밝히며 이해해달라 호소했다는 사례를 볼 수 있다.


실제로 지난 6월 YTN 라디오 <조인섭 변호사의 상담소>에서는 폴리아모리(다자연애) 아내와 이혼하고 싶다는 B씨 사연이 전해졌다. B씨는 “말 그대로 여러 사람을 동시에 사랑할 수 있다는 폴리아모리가 우리 집 아내가 될 줄 몰랐다”고 운을 뗐다.

그는 “우리 부부는 대학 선후배 사이다. 아내가 신입생이었을 때 처음 만나서 연애하다가 결혼했다”며 “스무살 때부터 함께한 사람이라서 저는 아내를 잘 안다고 생각했다”고 말했다.

상대방 동의는 필수적
“성적 목적 중심과 달라”

이어 “그런데 하루는 아내의 휴대전화로 딸과 함께 티니핑 영상을 보고 있는데 갑자기 알림창 하나가 떴다. ‘키 178㎝, 종로 거주, 기혼, 폴리아모리.’ 뭐지 싶어서 눌러봤는데 믿고 싶지 않은 진실과 마주했다”며 “아내는 익명 트위터 계정으로 두 사람과 3년 넘게 관계를 이어왔고, 지금은 세 번째 상대를 찾는 중이었다”고 토로했다.

이에 대해 아내에게 추궁하자, 아내는 “사생활을 함부로 보면 형사고소 감”이라고 되레 화를 냈다가 결국 실토했다고 한다. 아내는 “난 폴리아모리다. 당신도 사랑하고, 우리 가족도 소중하지만 그 남자들도 사랑한다”고 밝혔다.

B씨는 “어떻게 그런 사랑이 있을 수 있냐? 이해할 수 없다. 전 지금 이혼을 고민하고 있다. 아이들이 걱정이지만 신뢰가 무너진 관계를 이어나가는 게 더 고통스럽다. 폴리아모리도 이혼 사유가 될 수 있느냐”고 물었다.

정은영 법무법인 신세계로 변호사는 “폴리아모리는 모든 당사자가 그 사실을 알고 동의해야 한다. 그래서 흔히 말하는 불륜과 다르고 성적인 목적이 중심인 스와핑과도 다르다”고 했다.

정 변호사는 “폴리아모리라는 이유로도 이혼 청구가 가능하다. 부정 행위를 이유로 하는 재판상 이혼 청구를 하면 된다”며 “양육권은 자녀의 복리가 최우선이라 폴리아모리 신념이 자녀에게 부정적 영향을 끼칠 가능성이 있다면 법원이 이를 고려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폴리아모리들의 취향이 존중받기 위해서는 어느 정도 험로가 예상된다. 지난 2020년 진행된 폴리아모리 인식 조사 결과 88%가 폴리아모리를 받아들이지 못하겠다고 응답했다. 이들 역시 내 연인이 다른 사람과 사랑을 나누는 것을 거부하는 것이다.


불륜 정당화?

전문가들은 다양한 가족 형태가 이미 공존하고 있고 오랜 결혼 제도의 틀을 깨는 법률이 통과되고 있는 만큼 이런 라이프스타일을 추구하는 사람들이 많아진다면 머지않아 폴리아모리를 위한 다자혼도 인정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하지만 폴리아모리를 바라보는 시선은 곱지 않다. 반대 여론은 불륜 혹은 바람의 정당화라 비판했고 문란한 성적 취향과 정상적이지 않는 관계에 대한 합리화라는 지적이 나온다.

<kcj5121@ilyosisa.co.kr>

 

저작권자 ©일요시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Copyright ©일요시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