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트&아트인> ‘금속공예 거장’ 김홍자

2024.11.14 00:00:00 호수 1505호

인연의 향연

[일요시사 취재1팀] 장지선 기자 = 현대화랑서 한국 금속공예 거장 김홍자의 개인전 ‘인연의 향연’을 개최했다. 1994년 갤러리현대서 진행한 개인전 ‘김홍자 금속작품전’ 이후 30년 만에 현대화랑서 열리는 전시다. 1990년대 제작된 금속 조각을 비롯해 주얼리, 의례용 그릇, 거울 등 김홍자의 30여년 예술적 여정을 집약적으로 감상할 수 있다. 



김홍자는 동아시아 미학과 서구 모더니즘을 창의적으로 융합해 금속이라는 매체의 무한한 가능성을 탐구해 왔다. 그의 작품은 전통적인 한국 금속공예 기법인 포목상감, 금부, 옻칠, 칠보 등을 일상적인 장신구부터 금속예술 작품에까지 이르는 현대적 미감에 결합해 탄생했다. 자연과 조화로운 관계를 중시하는 도교 철학과 기독교적 사상을 깊이 반영하고 있다. 

도교

그는 미국서 60여년 동안 거주하며 미국의 금속공예 기법과 한국의 전통공예 기법을 융합해 예술적 탐구에 깊이를 더했다. 전시 제목인 ‘인연의 향연’은 미국 워싱턴 D.C., 뉴욕, 시애틀, 하와이, 세인트루이스, 독일 슈투트가르트, 중국 윈난성, 대만 타이난 등지서 맺은 관계에 대한 깊은 통찰과 따뜻한 시선을 은유한다. 

인간과 자연풍경을 모티프로 삼는 김홍자의 작품은 확고한 디자인 철학과 고도의 금속공예 기술의 집약체다. 미술평론가 이경성은 “언제나 그랬듯 김홍자의 작품을 접하면 금속이라는 생명체가 아닌 물질이 어딘지 생물학적인 느낌이 든다. 그것은 김홍자라는 연금사가 손과 마음을 통해서 비정적인 물질에 살아있는 생명을 불어넣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김홍자의 작품세계는 조형과 인간성이 잘 조화된 상태다. 금속이라는 딱딱한 재료를 유기적인 형성과 다듬어진 기술로 살아있는 생의 호흡을 느끼게 했다”고 덧붙였다.


김홍자는 작품을 통해 차가운 금속서 따뜻한 인연의 의미를 발견하고 자연과 인간, 그리고 그 사이의 관계를 시각적으로 표현했다. 그의 작품에 자주 등장하는 반추상적인 여성의 형상은 운명에 순응하는 듯 보이지만 사실은 과감한 도전을 이어가는 열정적인 작가의 자화상으로도 볼 수 있다. 

전시장은 반짝이는 브로치부터 한 폭의 풍경화처럼 표현된 벽걸이 작품, 높이 2m에 이르는 대형 거울 등 다양한 크기와 용도, 재료의 구성을 통해 새롭게 변모한 작품으로 구성돼있다. 브로치나 찻잔 같은 소형 작품에는 유연하고 가공하기 쉬운 은을 사용해 시간의 흐름에 따라 자연스럽게 변색된 흔적을 담아냈다. 대형 작품에는 동, 청동, 황동 등을 활용해 포목상감, 녹청, 금부, 금박, 옻칠 등의 기법을 선보였다. 

전시장 1층에는 자연과 인간에 대한 깊은 애정이 담긴 인물 형상의 금속예술 작품을 시작으로 주전자, 잔, 쟁반, 거울 등 다양한 기능과 용도의 작품이 놓였다. ‘돌아가는 당신과 나’에 사용된 녹청 기법은 김홍자가 미국서 익힌 서양의 금속공예 기법이다.

음양론 바탕으로 감정 탐구
동서양 아우르는 삶의 여정

그는 1980년대 홍익대서 풀브라이트 초청교환 교수로 금속공예를 가르치던 때부터 이 기법을 한국 금속공예계에 널리 알리기 시작했다. 

도교서 선과 자비를 상징하는 불사조(봉황)가 올라간 작품 ‘불사조’는 은 표면 위의 금부 기법이 돋보인다. ‘대부’와 짝을 이루는 ‘대모’는 은과 금부, 옻칠의 정교한 조화를 통해 김홍자가 다양한 금속공예 기법을 연구하고 고민한 흔적이 담겨있다. ‘무지개풍경 Ⅶ’ 속 빛나는 금박, 은과 강하게 대비되는 착색된 동과 브론즈는 작품에 생동감을 더한다. 

몽고메리 컬리지 미술학과 교수이자 갤러리 디렉터인 제임스 L. 브라운은 비대칭적인 구성은 허공에 힘들이지 않고 그림을 그려나간 듯한 환상을 불러일으키며 축소된 풍경에 쌍으로 등장하는 우아한 인물은 고도로 추상화된 선적 요소로 조화롭고 활기찬 공간에 존재한다고 말했다. 

전시장 2층은 한국 전통 창살문을 연상하는 ‘프리 댄스’ ‘회상Ⅰ’을 중심으로 칠보 거울, 실크에 한 포토 프린팅 등 다양한 평면 작업으로 구성됐다. ‘프리댄스’와 ‘회상Ⅰ’은 프랑스 신인상주의의 시초로 평가받는 조르주 쇠라의 ‘그랑자트섬의 일요일 오후’ 속 여유롭게 산책하는 인물에 영감을 받은 작품이다.

양식화된 인물 묘사와 학부 시절 섬유예술 전공의 영향을 받은 장식적인 패턴이 돋보인다.

2000년대에 제작된 평면 작품 ‘하와이 이민사’에는 동서양의 다양한 도시와 문화를 지나온 삶의 여정을 녹여내려 한 김홍자의 의도가 반영돼있다. 실크에 디지털 사진을 프린팅하고 그 위에 붓 자국을 남기며 얹은 유화 물감과 은의 질감이 어우러져 독특한 느낌을 자아낸다. 청년시절 미국에 이민 간 그의 개인적인 경험을 반영한다. 


‘봄의 행진’ ‘여정 Ⅲ’ ‘연못가에서의 사색’은 유년시절 보았던 수련을 떠올리며 그린 정겨운 풍경으로 자연에 대한 애정이 담겨있다. 김홍자는 2000년대 이후에 다양한 재료와 기법을 활용해 철저히 조형화된 화면을 구축하는 것과 동시에 시적인 삶의 이야기를 담아냈다. 

기독교

현대화랑 관계자는 “김홍자는 ‘갈등’ ‘긴장’ ‘조화’ 속에서 동서양의 다양한 문화와 전통 사이의 역동적인 상호작용에 주목하며 ‘평온’ ‘영원함’ ‘무병장수’ 및 ‘음양론’을 바탕으로 인간의 행동과 감정을 탐구해 왔다”며 “이번 전시에서는 김홍자의 금속공예 기법에 대한 깊은 이해와 기술적 숙련도를 엿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동서양, 전통과 현대를 아우르는 예술적 여정과 철학이 담긴 작품세계를 경험할 수 있다”고 말했다. 

<jsjang@ilyosisa.co.kr>
 

[김홍자는?]

김홍자는 1939년 서울서 태어났다. 이화여자대학교서 섬유예술을 전공하던 중 1961년 미국 하와이로 이주했다. 1969년 인디애나대학교 블루밍턴서 섬유 및 금속예술 전공으로 학사 학위를, 1973년 금속예술 전공으로 석사학위를 취득했다. 1972년부터는 메릴랜드주 몽고메리 컬리지 록빌 캠퍼스서 금속예술을 가르치며 40여년 간 수많은 후학을 양성했다. 현재 미국 메릴랜드 락빌에 거주하며 작업을 하고 있다.

 

저작권자 ©일요시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Copyright ©일요시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