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트&아트인> ‘살과 조개더미의 언어’ 김소영

2024.10.24 00:00:00 호수 1502호

말하지 않고 말하다 

[일요시사 취재1팀] 장지선 기자 = 서울 성동구에 위치한 갤러리 CDA가 작가 김소영의 개인전 ‘살과 조개더미의 언어’를 개최했다. 김소영은 살과 조개더미라는 상징을 통해 존재의 본질과 시간성을 이야기한다. ‘물러가는 살’은 인간의 유한성과 삶의 덧없음을, ‘쌓여가는 조개더미’는 존재의 흔적을 의미하는 식이다. 이 둘은 생의 순환을 대변한다. 



김소영은 일상서 촬영한 사진을 통해 도시의 삶을 회상하고 환영적이면서 공허가 맴도는 순간을 포착해 작업으로 옮긴다. 현실 풍경을 기반으로 회화의 기법적 모호성을 더해 환영적 화면을 만드는 방식이다. 

삶의 덧없음

그는 장지에 아크릴 물감을 수직의 결로 수없이 중첩하며 채색하는 방식으로 표현한다. 장지와 아크릴의 물성이 만나 쌓이는 화면의 층위는 작품의 전반적인 깊이와 질감을 만든다. 장지 특유의 따뜻한 질감 위로 쌓이는 아크릴의 인공적이면서 차가운 질감은 붓터치와 어우러져 화면의 양면적 분위기를 만들어낸다. 

미술평론가 이승준은 “김소영은 발화 이전의 공백, 움직임 사이의 행간과 같이 표현의 준비 과정이면서 동시에 그 자체로 표현인 침묵의 순간을 조명한다”며 “지저귀는 새의 소리를 듣기 위해서는 침묵해야 하듯이 인간 또한 그렇다는 것을 김소영의 시선은 잘 알고 있다”고 설명했다. 

장지에 아크릴 물감 중첩
양면적 분위기 화면 조성


침묵을 조명해 표현을 완료가 아닌 과정으로, 또 다양한 양태로 분화될 수 있는 미완의 순간이라는 것을 회상하는 것이다. 그러면서 김소영은 일상에 뭉개져 있는 분화의 순간에 대한 아쉬움, 그리움, 도래할 이변의 순간에 대한 불안을 바라본다. 

이승준은 “김소영의 전시 ‘살과 조개더미의 언어’는 타자로서의 사물, 그것들이 그저 있다는 것에 주목한다. 누구의 추억인지 모를 사물의 기억을 바라보는 그의 시선은 작품을 바라보는 감상자 또한 추억을 간직하고 있는 기억의 담지자이면서 동시에 그것을 현재로 끌어와 전하는 회상의 주체로서 세계의 생성 과정에 참여하고 있다는 점을 느끼게 한다”고 강조했다.

김소영은 빛을 칠하지 않는 방식으로 표현했다. 타자의 발화에 주목하기보단 침묵을 조명해 피상적 소통을 지양하고 대상과 밀도 있는 교감을 이루고자 했다. 캔버스에 비친 타자의 손은 대상의 역사성을 대변하는 매개체다. 발화 행위에 앞서 손은 아직 말하지 않은 것이면서 동시에 이미 말한 것으로 언제나 우리에게 보이며 열려있다. 

존재의 흔적

이승준은 “김소영은 이미 지나가서 그때, 그것이 된 기억의 빛바램을 서정적인 색채로 담아내 회상한다. 기억 속에는 눈앞을 기웃거리는 무수한 잡담과 이어지지 않는 혼재된 여백이 떠돌아다니며 우리의 시선을 흐린다”며 “그럼에도 작가는 그것에 귀를 기울이고 회상 과정 속 노이즈와 질감을 함께 담아내 내용의 깊이감을 더했다. 잡담 사이에 놓인 존재사건을 영사기를 통해 재생을 지속하듯 그는 침묵의 가시화를 통해 끊임없이 회상하고 있다”고 말했다. 

<jsjang@ilyosisa.co.kr>


[김소영은?]

▲학력
세종대학교 대학원 회화학과 한국화 전공
세종대학교 회화과 한국화 전공

▲개인전
‘The Preview Seongsu’ S-Factory(2024)

▲그룹전
‘Stories Beside’ Dohing Art(2024)
‘Which Working, Nowadays’ CDA(2023)
‘Art Seongsu’ Hello Museum(2022)

 

저작권자 ©일요시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Copyright ©일요시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