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트&아트인> ‘활동적인 풍경’ 김의선·신디하·s.a.h

2024.08.29 00:00:00 호수 1494호

디스토피아 너머의 세계

[일요시사 취재1팀] 장지선 기자 = 서울 서초구에 있는 페리지갤러리서 김의선, 신디하, s.a.h(심유진, 한지형) 등이 참여하는 전시 ‘활동적인 풍경’을 선보인다. 이번 전시는 35세 이하 젊은 작가에 주목하는 기획전 프로그램 ‘Perigee Unfold’의 일환으로 준비됐다. 



‘활동적인 풍경’은 기후위기의 현실을 바라보며 가까운 미래의 디스토피아와 그 너머의 새로운 풍경에 관한 상상을 토대로 구성됐다. 전시 제목은 애나 르웬하웁트 칭의 저서 <세계 끝의 버섯>서 따왔다. 더 이상 행위하는 인간을 위한 정지된 배경으로 보기 어려운 그 자체로 활성화된 환경을 일컫는다. 

물질과

이번 전시서 환경은 우리가 ‘자연’이라 칭해온 환경과 오늘날 세계를 형성하고 있는 디지털 미디어 환경을 포괄하는 개념으로 사용된다. 미래의 풍경을 그리는 이번 전시서 자연과 인공물, 물질 세계와 온라인 세계의 풍경은 명확하게 분리되지 않은 채 서로 얽히며 연출된다. 

▲신디하= 동식물을 비롯한 비인간 존재의 건축술에 관심을 보여 왔다. 스스로 건축하는 물질을 상상하기도 한다. 이번 전시에서는 석회동굴과 오래된 콘크리트 건물을 겹쳐 바라보며 건물 지하서 자라난 시멘트 종유석과 석순의 모습을 설치 미술로 선보인다.

이는 작가의 상상일 뿐만 아니라 실제로 존재하는 사례다. 석회암에 든 탄산칼슘이 물에 녹았다가 굳는 과정서 동굴이 만들어지듯 누수가 계속되는 건물서도 종유석과 석순이 만들어질 수 있다. 


건물은 겉보기에는 단단하게 고정된 것처럼 보이지만 지속적으로 관리하지 않으면 인간의 의도 너머로 움직이는 물질이 되곤 한다. 물에 의해 녹고 부식되거나 작은 달팽이가 표면을 갉아먹을 수도 있다. 

신디하는 인간이 사라진 세계에 남겨진 콘크리트 건물이 다른 비인간 존재와 끊임없이 마주치며 탄산칼슘을 섭취하기 위해 모여든 달팽이 군락지가 돼가는 장면을 상상한다. 이 장면서 우리는 쓰임을 다하고 방치된 물질이 비인간 생명의 새로운 둥지가 될 가능성을 품고 있음을 바라보게 된다. 

35세 이하 젊은 작가 주목
칭, <세계 끝의 버섯> 참고 

▲김의선= 그물망을 통해 서로 다른 물질을 마주치도록 하고 자신과 타인의 작업 사이를 연결하는 환경을 만든다. 유기적인 재료를 연구하면서 예민하고 가변적인 재료를 주로 다뤄왔다. 이번 작업에선 묽은 흙이 철 섬유로 만든 망 사이에 비집고 들어가 서서히 건조되면서 조형을 형성한다. 

흙은 그물망의 어떤 곳에서는 실타래처럼 가느다랗게, 다른 곳에서는 조금 더 두껍게 뭉쳐져 덩어리를 만들면서 유기체의 형태처럼 뻗어나간다. 떠다니는 물질은 얇은 구조물에 매달려 일시적으로 모습을 드러내며, 이 같은 풍경을 마주하다 보면 미묘하지만 ‘늘어진 긴장’을 느낄 수 있게 된다.

미세하고 지속적인 변화가 일어나는 이 장면에는 우리의 시각으로 충분히 감각할 수 없는 활동이 내재돼있기 때문이다. 

▲s.a.h(심유진, 한지형)= 이미지와 현실 세계가 중첩되는 지점을 주의 깊게 사유해 왔다. 온라인게임을 매개로 이미지 과부하 시대의 폐허를 상상한다. 이들은 ‘유저에게 주어진 너무 높은 자유도로 인해 통제 불능 상태에 도달한 오픈 월드 게임’을 제시한다. 

인간에 의해 활발하게 개발되면서 점점 우리에게 불리한 환경이 돼가는 지구와 은유적으로 겹쳐볼 수 있다. 이 게임은 다수의 사용자가 게임 속 세계에 자유로운 변형을 가하면 모든 키가 동시에 활성화되고 결국 어떤 기능도 수행하지 못하는 상태에 이르게 된다. 공격과 방어의 기술이 함께 발현되는 오류를 보여주는 조형물은 지나치게 활성화된 상태가 도리어 정지 상태에 가까워지는 역설을 나타낸다. 

온라인

페리지갤러리 관계자는 “이번 전시의 작업이 공유하고 있는 키워드는 ‘세계 (만들기)’다. 현 세계의 면면을 감각하고 가까운 미래를 상상하며 폐허가 돼가는 풍경을 저 너머가 아닌 현실로 직시하고 그 폐허로부터 나타나게 될 새로운 움직임을 가늠해보고자 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전시를 준비하며 이들이 함께 해온 것은 온전히 홀로 존재하는 내가 없다는 것을 알아차리고 환경의 일부를 이루는 구성원이자 타자와 얽힌 존재로서 나를 감각하는 연습이었다”며 “이 같은 연습은 오늘날 우리가 피할 수 없는 것이자 함께할 미래를 조금 더 연장할 수 있는 단서가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전시는 다음 달 7일까지.
 

<jsjang@ilyosisa.co.kr>

 

저작권자 ©일요시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Copyright ©일요시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