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삼기의 시사펀치> IOC, 픽토그램 표준화해야

2024.08.12 13:44:06 호수 1492호

파리올림픽에 출전한 선수의 등에 적힌 큼지막한 알파벳 3자는 그 선수의 국가를 상징한다.



이는 국제올림픽위원회(IOC)가 국가올림픽위원회(NOC)에 부여한 국가 코드다. 이 코드는 국제표준화기구(ISO)가 전 세계의 나라와 부속 영토의 명칭에 고유 부호를 부여하는 ISO 3166-1( alpha-3 세 자리 국가) 코드와 비슷하다.

IOC가 전 세계서 모인 수많은 선수가 자국의 명예를 걸고 뛸 때 진행요원이나 관중이 선수의 소속(국가)을 명확히 구분하기 위해 등 뒤에 IOC와 ISO가 국제표준으로 정한 국가의 명칭을 사용하게 된 건 참으로 잘한 일이다.

그런데 축구, 농구, 양궁 등 모든 올림픽 종목을 상징하는 픽토그램(pictogram)은 아직 국제표준화되지 않았다. 픽토그램은 그림을 뜻하는 ‘픽처(picture)’와 문자 또는 도해를 의미하는 ‘그램(gram)’의 합성어다.

이는 어떤 대상이나 장소에 관한 정보를 알리기 위해 문자를 사용하지 않고도 동일한 의미로 이해할 수 있도록 조합한 그림을 가리키며 ‘그림문자’라고 부르기도 한다.

따라서 인종과 언어를 뛰어넘어 누구라도 픽토그램을 보면 그 대상의 의미를 쉽게 공감할 수 있다.


픽토그램은 그림문자와 함께 색상으로 긴급·안전·주의 등의 안내를 표시한다.

검정색은 일반 사항 및 공공시설물 안내, 빨간색 원 안의 사선 모양은 금지, 파랑색은 지시, 노랑색은 주의 및 경고, 초록색은 안, 피난, 위생, 구호, 빨강색은 소방, 긴급, 고도 위험 등을 나타낸다.

그래서 올림픽 종목을 나타내는 픽토그램은 모두 검정색이다.

픽토그램은 1964년 도쿄올림픽에 등장하면서 세계 각 나라가 사용하기 시작했다. 당시 일본은 세계 각국의 선수들이 영어 대신 쉽게 알 수 있는 언어를 찾던 중 직관적인 정보 안내 수단으로 각 종목의 이미지를 형상화한 픽토그램을 택했다고 한다.

그리고 픽토그램에 대한 반응이 좋자 IOC는 다음 대회부터 픽토그램 사용을 의무화했다.  

그 후 올림픽 픽토그램은 대회마다 개최 국가 문화를 상징하는 의미가 담기면서 새로운 모습으로 등장했다.

지금까진 대체로 1972년 뮌헨올림픽 픽토그램 틀을 유지하면서 변천했다. 그러나 금번 2024년 파리올림픽 픽토그램은 지난 60년 동안 고수해 온 선수 위주의 형태서 벗어나 경기 종목을 예술적으로 표현했다.

이런 이유로 이번 올림픽은 픽토그램의 본 기능을 벗어났다고 혹평을 받기도 했다. 

필자도 이번 파리올림픽 경기의 픽토그램을 보면서 조정, 승마, 3X3농구 등 몇몇 종목은 아예 무슨 경기를 의미하는지 전혀 알 수 없다는 걸 느꼈다.

픽토그램은 여러 분야서 국제표준화 작업이 진행되고 있다. 보통 화장실, 관광안내소, 지하철, 교통표지판 등 공공장소나 공공시설에 많이 이용되는데, 대부분의 국가마다 이런 픽토그램 표지판을 설치·운영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2002년 한일월드컵을 앞두고 픽토그램 표준화작업을 추진하기 시작했다.

그 결과 2001년 지하철, 화장실 등 30종, 2002년 버스, 소화기 등 70종 등을 국가표준(KS)으로 제정했다.

그리고 2011년 지식경제부 기술표준원이 양성 평등, 장애인 배려, 다문화 사회를 고려한 공공안내 등에 관한 새로운 픽토그램 35종을 국가표준으로 제정해, 현재 400여종의 픽토그램이 국가표준으로 등록돼있다.

그러나 4년마다 열리는 전 세계 대잔치인 올림픽의 픽토그램은 아직도 국제표준화되지 않았다. 그래서 올림픽에 참가하는 선수와 전 세계의 시청자는 올림픽이 열릴 때마다 바뀌고 진화하는 픽토그램을 해석하느라 신경써야 한다.

픽토그램도 국제표준이 있는데 국제표준화기구(ISO)에서는 공공 안내 그림 표지(ISO 7001)와 안전표지(ISO 7010)에 대한 국제표준을 제정해 시행하고 있다. 그런데 왜 IOC는 아직까지 픽토그램을 국제표준화하지 못하고 있는 걸까?

사실 IOC는 올림픽 픽토그램 국제표준안을 제작해 사용을 권장하고 있다. 그러나 역대 올림픽조직위원회가 개최지의 문화적 장점이 잘 표출되면서 원활한 소통을 돕는 픽토그램을 각각 자체 개발해 사용해 왔다.

올림픽이 열릴 때마다 픽토그램이 다른 이유다. 이젠 IOC가 픽토그램 국제표준화를 위해 강한 조치를 취해야 한다는 게 필자의 생각이다. 

역대 올림픽 픽토그램이 올림픽 개최지의 문화와 시대정신을 반영하는 동시에 전 세계인이 공감할 수 있는 보편적인 그림문자를 표방한 건 당연한 이치일 수 있다.

그러나 개최지의 정신과 문화를 담는 기회를 제공하는 차원이라면 그건 마스코트에 담아도 충분하다. 


필자는 가장 객관적인 뮌헨올림픽 픽토그램을 국제표준으로 정하고 향후 모든 올림픽서 그 표준 픽토그램을 사용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픽토그램이 정보 제공의 기능을 넘어 개최지를 홍보하거나 예술 장르의 한 부분으로 자리 잡는 건 좋지 않다.

픽토그램의 순기능이 아니기 때문이다.

ISO도 픽토그램의 국제표준화를 위해 힘쓰고 있는 마당에 IOC도 올림픽 픽토그램 국제표준화를 위해 더 노력해야 한다. 그래야 전 세계인이 4년마다 열리는 올림픽 픽토그램 때문에 혼란을 겪지 않을 것이다. 

올림픽조직위원회는 올림픽 대회 개최국의 국가올림픽위원회(NOC)와 개최 도시가 협력해 설립하는 대회 진행 기관이다.

IOC로부터 개최국의 NOC를 통해 대회 개최의 권한을 위임받은 올림픽조직위원회도 올림픽 픽토그램의 국제표준화에 앞장서야 한다.

올림픽은 국제적인 스포츠 문화 대잔치인 만큼 올림픽 픽토그램은 그 의미를 쉽고 빠르고 확실하게 알 수 있어야 한다. 전 세계인 누구에게도 시각적으로 거부감을 느껴선 안 된다. 

※본 칼럼은 <일요시사> 편집 방향과 다를 수도 있습니다.

 

저작권자 ©일요시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Copyright ©일요시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