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시사TV> ‘파묘’ 후 묫자리 명당은 어떻게 정할까?

2024.03.08 17:43:59 호수 0호

조상님의 묫자리가 좋아야 좋은 기운을 받아 후손들이 번창한다는 이야기 한 번쯤은 들어보셨을 겁니다.



이 같은 이야기는 <명당>이나 <파묘> 등 영화의 소재로도 쓰이는데요.

과연 좋은 묫자리란 어떤 곳일까요?

시체를 매장하는 관습은 오래됐지만 좋은 묫자리를 찾는 건, 우리나라에 풍수지리(風水地理) 사상이 들어오고 나서부터 시작되었는데요.

풍수지리 사상은 삼국시대 이전의 토속신앙 또는 중국서 넘어온 것으로 추측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이 풍수지리가 제대로 정착돼 퍼지기 시작한 건 조선시대로 추정하는데요.


우선 풍수지리란 산과 땅, 그리고 물의 흐름을 파악해 이것을 ‘길흉화복’에 연결하는 학문인데요.

살아있는 사람을 대상으로 집터를 찾는 것을 ‘양택 풍수’, 죽은 사람을 대상으로 묫자리를 찾는 것을 ‘음택 풍수’라고 합니다.

그래서 조선시대에 음택 풍수가 활발해진 이유를 살펴보면 당시 효를 중요시하는 유교문화가 자리 잡고 있기 때문이라고 분석하고 있습니다.

양택 풍수나 음택 풍수 모두 ‘집을 지을 평지냐’ ‘묫자리가 들어갈 산이냐’ 정도만 다를 뿐, 터를 찾는 방식에는 유사한 부분이 많습니다.

풍수지리서 말하는 좋은 묫자리는 기본적으로 산과 물의 형세나 동서남북의 방위 등을 고려하는데, 좌청룡·우백호·전주작·후현무라고 불리는 땅 주변을 둘러싼 산의 형세와 이 속에서 물이 흘러 나가는 길을 가진 배산임수 지형 등을 파악합니다.

사신수의 이름이 들어간 이유는 풍수지리 사상에 음양오행 사상이 들어가 있기 때문인데요.

음양오행 사상에서 기는 내뿜으면 바람이 되고 땅속을 흘러 다닐 때는 생기가 되는데, 바람이 땅에서 발생하는 생기를 흩어버린다고 해 네 방향에 사신수를 배치해 바람을 가두고 생기를 흩어지지 않게 모으는 역할을 하도록 합니다.

이 풍수지리에 따르면 기운이 솟아나는 곳에 무덤을 쓰거나 집을 지으면 집안에 복이 온다고 하네요.

그럼 풍수지리 적으로 나쁜 묫자리는 어떤 땅일까요?

수맥이 흐르는 땅 혹은 주변에 풀이나 나무가 없는 민둥산, 돌이 많은 돌산, 그리고 주변에 아무것도 없이 홀로 있는 산이나 벌레가 많이 서식하고 있는 땅 등이 있습니다.


이런 땅에 조상의 묘를 모셨다면 파묘와 이장을 고려하게 되는데요.

그렇지만 파묘라는 행위가 고인의 무덤을 없애는 일인 만큼 적법한 절차에 따라 조심스럽게 진행해야 합니다.

파묘의 순서는 보통 제사, 파묘, 수습, 복토, 뒷정리 등 크게 5가지 과정을 거치는데요.

우선, 파묘를 진행하기 전에 묘를 이장하겠다는 뜻을 전하는 제사를 먼저 올립니다.

이후, 장손이 삽이나 괭이로 “파묘”를 외치면서 무덤의 서쪽부터 시작해 네 방향을 찍은 후 포크레인이나 삽 등으로 흙을 걷어냅니다.

다음은 유골을 수습할 차례인데, 머리뼈부터 시작해서 점점 내려가 마지막에 다리를 수습하는 순서에 맞게 진행합니다.

이때, 화장을 진행할 예정이면 유골을 한 곳에 모아도 상관없지만, 아니라면 부위가 흩어지지 않도록 잘 정리합니다.

유골 수습이 끝나고 나면 무덤이 있던 자리를 걷어냈던 흙으로 다시 잘 덮어줍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무덤 앞에 놓아두었던 상석이나 묘지석 등을 땅속 깊이 파묻어서 폐기합니다.


이렇게 파묘가 끝나고 나면 이제 미리 봐둔 좋은 묫자리에 이장하는 일만 남았는데요.

이장할 묫자리가 멀 경우, 유골을 옮길 때는 반드시 사체 운반에 대해 허가를 받은 영구차를 이용해야 합니다.

새로운 묫자리에 도착하고 나면 우선 땅을 파기 전에 산신에게 올리는 제사를 올린 뒤에 이장하면 되는데요.

이장이 끝난 후에 마지막으로 한 번 더 제사를 지내야 비로소 절차가 모두 끝나게 됩니다.

과거 조선을 건국한 태조 이성계는 왕이 되기 전 무학대사라는 승려에게서 자신의 아버지 이자춘의 묫자리로 왕의 자리를 받았다는 설이 전해져오고 있으며, 4대 왕이었던 세종의 묫자리가 좋지 않아 그 후손들이 불행을 겪다가 8대 왕 예종 때 결국 묫자리를 옮기기도 했습니다.

또 흥선대원군이 묫자리를 만들 때 1만대에 걸쳐 영화를 누리는 자리가 아니라 두 사람의 황제가 나오는 자리에 잡았기 때문에 대한제국의 말로가 비참했다는 이야기도 있습니다.

이처럼 우리 조상님들은 묫자리에 정말 진심이었는데요.

그러다 보니 부작용도 따를 수밖에 없었습니다.

좋은 묫자리를 조상의 무덤으로 쓰기 위해 다른 사람의 선산에 불법적으로 묘를 조성하는 투장(偸葬)이 많이 일어나 사회적으로 문제가 되기도 했습니다.

사람들은 권력을 이용해 다른 사람의 선산을 빼앗거나, 매수를 통해 다른 사람의 선산을 사용하기도 했고, 다른 사람의 선산에 몰래 투장하기도 했는데요.

그 결과, 명당으로 점지된 장소의 땅값이 순식간에 치솟는 일이 발생하기도 했습니다.

그리고 세월이 지나면서 이런 풍수지리 사상은 점차 쇠락했는데요.

특히 최근 들어 출산율 감소와 수명 증가 등으로 인한 고령화로 매년 사망자 수가 증가하고 있는 데 반해, 우리나라 땅에서 묫자리로 사용할 터는 줄어드는 상황입니다.

또 조상의 묘가 있는 고향을 떠나 대도시로 향하는 사람들이 늘어나면서 묘지를 관리하기가 힘들어졌는데요.

그로 인해 현대 사회에서는 시신을 매장하기보다는 화장하는 비율이 높아지기 시작했고, 현재는 90%가 넘는 화장률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풍수지리와 명당 그리고 묫자리 과연 허무맹랑한 소리일까요? 아니면 어느 정도 믿어볼만한 신앙일까요?


기획: 임동균
구성&편집: 임동균


<pariah93@ilyosisa.co.kr>

 

저작권자 ©일요시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Copyright ©일요시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