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트&아트인> 김종영미술상 수상전 박일순

2021.01.04 10:20:24 호수 1304호

절제의 미를 위한 여정

[일요시사 취재1팀] 장지선 기자 = 김종영미술관이 박일순의 개인전을 준비했다. 2018년 제15회 김종영미술상 수상자인 박일순의 수상 기념전이다. 박일순은 미발표 최근작을 중심으로 관람객들에게 신록의 공간을 선사한다. 
 

▲ Green, 3600x1200mm, veneer, acrylic, 2019


한국 추상조각의 선구자 우성 김종영 선생은 일생을 한국조각예술교육에 헌신했다. 후학과 유족은 김종영 선생의 뜻을 기리기 위해 1990년 2월13일 우성 김종영 기념사업회를 발족했다. 김종영조각상은 기념사업의 일환으로 제정됐다. 1990년 12월8일 제1회 김종영조각상을 시상한 이래 격년으로 진행 중이다. 

회화적 조각

13회까지는 45세 이하 젊은 조각가를 대상으로 시행했다. 14회부터는 기념사업회와 <매일경제신문>이 공동주최하며 미술상으로 새롭게 확대했다. 김종영 선생이 조각가이면서도 많은 드로잉과 회화 작품, 서예 작품을 남긴 것을 기리기 위함이다. 

박일순은 2018년 제15회 김종영미술상을 수상했다. 심사위원단은 “박일순은 시류에 편승하지 않고 서화 전통을 재해석해 조각과 결합해왔다. 이는 ‘절제의 아름다움’을 모색한 여정이었다”고 밝혔다. 

1990년부터 격년 주기 시상
조각상서 미술상으로 확대


박일순은 입체조각과 평면회화를 넘나들며 자연과 생명의 순환을 담았다. 재료의 물성과 형태를 존중하며 작위성을 최소화한 것이 특징이다. 그는 “김종영 선생님의 치열한 작업 태도와 반듯한 생활에 영향을 받았다”며 “그 정신을 본받아 작품으로 더 좋은 세상을 그리겠다”고 소감을 밝혔다. 

박일순은 오랜 시간 나무로 작업하고 있다. 전시된 나무는 벌목 후 남은 그루터기, 면봉, 연필, 합판 등의 다양한 형태를 띠고 있다. 박일순의 작품은 초록의 싱그러움이 넘쳐난다.

김종영미술관 관계자는 “그 옛날 국어책에서 <실록 예찬>을 읽던 때의 기억이 새록새록 떠오른다”고 표현했다. 

박일순은 “조각을 한답시고 벌채된 나무들이 켜켜이 누워서 다음 생을 꿈꾸는 왕십리 목재상에서 전봇대보다 긴 향나무를 골랐다. 절단하던 체인 톱날에 살점을 날리며 향기를 토해내던 그 향나무의 처연함을, 아직 살아 있다는 듯이 물기 머금은 붉은 꽃을 내보이던 그때 그 섬뜩함과 미안함을 나는 오래 기억한다”고 전했다. 
 

▲ Green, 2340x2000x30mm, acrylic, canvas, wood, 2020

이어 “베니어판을 마주하고 나무를 상상한다. 거대한 숲에 나무가 살았을 그의 근본에 대해, 생명의 기운을 충천하던 그의 시간과 숨결의 흔적을 애무하며 위로의 예를 다해 그의 꿈을 되살린다”고 말했다. 

김종영미술관 관계자는 “물질을 다루는 조각가만의 경험이라 할 수 있다. 말 못하는 나무이지만 엄연한 생명체였고, 어쩌면 자신보다 오랜 세월을 한자리에서 묵묵히 견뎌왔을 것이다. 한 편의 우화 <아낌없이 주는 나무>가 떠오른다. 근 50년간 조각가로 활동하면서 마음 한구석에 이처럼 처연한 기억이 자리 잡고 있다”고 설명했다. 

나무를 위한 천도제
초록빛 싱그러움 만개

그는 작업노트에 “나의 일은 세상을 바라보며 느끼고 이해하는, 그러나 여전히 알 수 없는 아름다운 세계의 비밀, 그 신비한 질서에 다가가는 그런 것이라 여긴다. 이것이 가치 있는 일인지, 헛되고 부질없는 짓인지는 세상과 시장의 기준으로 잴 수 있는 것은 아닌 듯해, 알려고 하지 않는다”고 적었다. 

박일순 작품의 기조를 이루는 자연과 생명, 순환의 세계에 대한 그의 관조적 태도는 일상에서 마주하는 사물과 내밀하게 교감해 재료의 물성에 대한 존중, 절제된 은유와 상징으로 자연의 본성을 환기시킨다. 조각과 회화의 경계를 허물며 회화적 조각, 조각적인 회화의 특성을 보인다. 

박일순의 작품은 자신의 작업을 위해 희생된 제물들에 대한 천도제라 할 수 있다. 그의 작품을 바라보고 있으면 한 손 건너 일어난 일에는 감성적으로 무딘 우리의 모습을 새삼 깨닫게 된다. 또 만물이 영장이라 자부하는 인간이 실로 어떤 존재인지 반성하게 된다. 
 

▲ Violet, 1310x230x150mm, thread on wood, acrylic, 2018

수십년 전 왕십리 목재소에서의 경험이 지금의 박일순을 있게 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반세기 여정을 통해 미술마저 고도로 산업화한 시대에 예술이 지향해야 하는 바가 무엇인지 다시 한 번 생각해보게끔 한다. 

조각적 회화

김종영미술관 관계자는 “김종영미술상 수상을 계기로 한국미술계가 그의 작품을 새롭게 조망하는 계기가 됐으면 한다. 더불어 그가 일에 더욱 매진해 한국미술계의 절제의 아름다움의 결정체를 선보여주리라 기대해본다”고 강조했다. 전시는 오는 2월21일까지. 


<jsjang@ilyosisa.co.kr>

 

[박일순은?]

박일순은 이화여대 미술대학 조소과, 동대학원 순수미술학과를 졸업했다.

1986년부터 2016년까지 이화여대 조형예술대학 조소과 교수로 일했다.

15번의 개인전과 다수의 기획전을 여는 등 활발한 작품활동 중이다.

제15회 김종영 미술상을 수상했다. 
 

저작권자 ©일요시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Copyright ©일요시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