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접대비 상위 30위> ‘듣보잡’ 회사들 어디?

삼성보다 더 쓴 ‘누구냐 넌’

[일요시사 경제1팀] 한종해 기자 = 국내 기업들의 상상을 초월하는 접대비 규모가 공개됐다. 상위 30개사의 지난 한 해 총 접대비가 907억에 이른다. 국내 기업의 총 접대비 9조원 중 10%를 이들 회사가 지출했다는 얘기다. 눈길을 끄는 부분은 또 있다. 30개사 중 9개사가 제약회사라는 점과 이름도 생소한 기업이 곳곳에 포진하고 있다는 것이다.

불황에도 국내 기업들의 접대비 지출이 해마다 늘고 있다. 지난해 기업들이 지출한 접대비는 9조원이 넘었다. 국세청이 새누리당 박명재 의원에게 제출한 자료를 보면 국내 기업들의 접대비 지출 신고금액은 2008년 7조502억원, 2009년 5조4790억원, 2010년 7조6658억원, 2011년 8조3535억원, 2012년 8조7701억원 등으로 매년 증가세다. 2013에는 9조원을 넘어섰다.

"불황이 뭐야?"

이런 가운데 최근 국내 기업 중 접대비 상위 30개사가 공개됐다. 지난 9일 <재벌닷컴>은 지난해 상장사들의 결산보고서에 기재된 접대비 규모를 분석해 '접대비 규모 상위 30개사'를 발표했다. 이들 기업은 지난해 906억3700만원을 접대비로 지출, 국세청이 발표한 2013년 국내 기업 접대비 9조원의 10%를 넘어섰다. 

30개사 중 제약업체가 9곳에 달했다. 제약업체의 접대비는 249억4200만원으로 30개사 접대비의 27.5%를 차지했다.

상장사 전체 2위이자 제약업체 1위를 차지한 이연제약은 46억2200만원의 접대비를 지출했다. 이연제약은 복제약 중심의 제약사로 고 유성락 회장 일가가 주식을 나눠 갖고 있다. 지난 8월3일 유 회장이 숙환으로 별세하면서 대표는 각자대표였던 박수천 대표가 회사를 이끌고 있다. 지난 3분기(2014.01.01∼2014.08.30) 누적 매출액은 843억6300만원, 영업이익은 134억9700만원을 기록했다.
 


멀미약의 대명사 '키미테'로 유명한 명문제약은 33억6700만원을 지출, 전체 11위와 제약업체 2위에 랭크됐다. 비타민제 '레모나'로 성장한 경동제약은 30억100만원으로 전체 12위, 제약업계 3위를 기록했다. 명문제약의 3분기 누적 매출액은 769억6100만원, 영업이익은 219억9500만원이며, 경동제약은 1129억6200만원의 매출액과 281억2900만원의 영업이익을 올렸다.

이어 녹십자(24억4500만원, 전체 19위), 한미약품(24억2800만원, 20위), 안국약품(23억6600만원, 21위), 삼진제약(23억6300만원, 22위), 삼성제약(20억4400만원, 28위) 등이 30위 내 이름을 올렸다. 현대중공업이 접대비 22억8400만원으로 전체 24위에 올랐다는 점을 감안하면 제약업체들의 접대비가 회사 규모에 비해 얼마나 큰지 가늠할 수 있다.

정선섭 재벌닷컴 대표는 "이번에 문제가 된 제약업계의 리베이트는 재무제표상 기재항목이 별도로 없고, 판촉비와 접대비 등 다양한 명목으로 재무제표에 들어가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고 말했다. 최근 117년 최장수를 자랑하는 동화약품은 사상최대 50억 리베이트가 적발되면서 업계 큰 파장을 일으키고 있다.

정 대표는 또 "제약업체들이 비용으로 처리되는 접대비를 한도까지 거의 다 쓰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유진·경농·청호컴넷·조선내화 '펑펑'
이연제약 등 생소한 제약업체들도 포진

30개사 중에는 상대적으로 이름이 생소해 눈에 띄는 회사들도 있다. 대기업 계열사도 아니면서 당당히(?) 이름을 올린 유진기업, 경농, 청호컴넷, 동아원, 조선내화 등이다.

유진기업은 지난해 접대비 33억9000만원을 지출, 9위를 차지했다. 34억3600만원을 지출한 두산과 33억6700만원을 지출한 농심 사이에 위치했다. 유진기업은 2012년에도 34억8600만원을 접대비로 지출했다.


유진기업은 삼표산업과 레미콘업계를 양분하고 있다. 공장 34곳을 보유하고 있으며 특히 서서울공장은 국내 최대 단일 레미콘공장이다. 대표는 유경선 회장. 유 회장은 하이마트 2차 매각 과정에서 선종구 전 하이마트 회장과 이면 계약을 맺은 혐의로 불구속 기소되어 재판을 받고 있다. 유 회장 일가의 유진기업에 대한 지분은 39.96%에 이른다. 지난 3분기 누적 매출액은 5415억7800만원, 영업이익은 257억1000만원을 기록했다.
 

접대비 29억8200만원으로 13위에 오른 경농도 생소하다. 경농은 농약의 제조 및 판매 등을 주요사업으로 영위한다. 지난 3분기 누적 매출액은 1783억3400만원, 영업이익은 232억3200만원이다. 최대주주는 이병만 경농 회장이 대표를 맡고 있는 ㈜동오레저(27.57%)로 그 뒤는 이 회장(21.16%), 이 회장의 아들 용진씨(8.25%), 두 딸인 재연(1.29%)·승연(1.86%)씨가 잇고 있다.

㈜동오레저 또한 용진·재연·승연씨가 지분 100%를 보유 사실상 오너 회사다. 계열사로는 도소매업을 담당하는 글로벌아그로(주)와 농업용기계 및 장비판매를 영위하는 ㈜탑프레쉬, 비료제조를 맡고 있는 ㈜조비와 종자연구 및 생산판매를 하는 동오시드(주) 등이 있다.

금융권에 사무 자동화 기기를 공급하는 청호컴넷은 롯데쇼핑에 이어 15위에 등극했다. 지난해 청호컴넷이 지출한 접대비는 27억2800만원으로 2012년(21억5000만원)에 비해 22가량 급증했다.
 

청호컴넷은 설립자 지대섭 회장의 아들 지창배 대표가 이끌고 있다. ATM(현금자동입출금기), CDP(현금출금기), 공과금수납기 등 금융자동화 기기의 제조 및 공급, 관리 등을 주요 사업으로 하며 계열사로는 ㈜평립, 대청정보시스템(주), ㈜쏘넷, ㈜쏘엔테크가 있으며 중국와 홍콩, 캐나다에 현지법인을 두고 있다. 최대주주는 지 대표가 지분 67.24%를 보유한 ㈜청호엔터프라이스이며, 지난 3분기 누적 매출액은 738억2900만원을 올렸지만 영업손실 100억3000만원을 기록하면서 적자를 지속하고 있다.

17위 동아원은 접대비 25억4500만원을 지출했다. 동아원은 밀가루 제조업체로 전두환 전 대통령의 사돈 집안이 운영하고 있다. 모회사는 한국제분으로 이희상 동아원 회장 등 특수관계인이 지분 100%를 보유하고 있다. 이 회장은 전 전 대통령의 3남인 재만씨의 장인이다. 지난 3분기 누적 매출액은 4929억4400만원, 영업이익은 170억5000만원이다.

룸살롱? 요정?

22억3600만원을 지출하면서 전체 25위로 현대중공업을 바짝 추적하고 있는 조선내화는 제철, 제강, 유리, 시멘트 등 기간재료인 내화물 제품을 제조하고 판매하는 업체로 국내 시장점유율 1위를 차지하고 있다. 주요 매출처는 포스코다. 최대주주는 지분 19.32%를 보유한 이인옥 회장. 특이한 점은 부·모·형제·아들·조카·고모·사촌·삼촌·관계자·재단 등 특수관계자가 29명에 이른다는 점이다. 이들은 최소 0.13%에서 최대 17.45%까지 다양한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

주요 계열사로는 ㈜화인테크, 안산포항특종내화, 무한포항특종내화, ㈜성림로재, 대한소결금속(주), 삼한, 연대분말야금, 대전열병합발전(주), 화순컨트리클럽 등이다. 인도네시아에 PT.IPCR이라는 현지법인도 운영하고 있다. 지난 3분기 누적 매출액은 6368만8300만원, 영업이익은 445억8500만원에 이른다.

 

<han1028@ilyosisa.co.kr>

 



배너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단독> ‘채 상병 사건’ 사단장 수상한 메시지 내막

[단독] ‘채 상병 사건’ 사단장 수상한 메시지 내막

[일요시사 취재1팀] 오혁진·김철준 기자 = ‘채 상병 사건’의 핵심 관계자인 임성근 전 해병대 제1사단장이 해병대 간부들에게 여러 차례 연락을 취한 것으로 파악됐다. 자신의 사건을 언급하면서 사실관계를 확인하려 한 게 핵심이다. 임 전 사단장과 연락이 닿은 인물들은 대부분 이해관계자다. 자칫하면 회유 정황으로 보일 수 있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임성근 전 해병대 제1사단장은 ‘채 상병 사건’의 핵심 피의자다. 수사외압 논란의 시발점이자 이종섭 전 국방부 장관이 직접 챙긴 인물이다.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이하 공수처)의 수사 대상인 임 전 사단장은 자신의 사건을 물밑에서 알아보기 시작했다. 시종일관 침묵을 지키다 왜 움직이기 시작했을까? 침묵 지키다… 임 전 사단장은 최근까지 복수의 해병대 간부들과 연락을 주고받았다. 그는 간부 A씨에게 “(공수처)수사가 종결되지 않은 상황서 괜한 오해를 살 수 있어서 연락하지 못했다”며 “어떻게 지냈는지 궁금하다”고 했다. “미안하다”는 사과의 말은 없었다. 다만 “모두가 상상할 수 없는 어려움을 겪었고, 현재도 겪고 있지만 아들을 잃은 채 상병의 유족 특히 모친의 고통을 생각하면서 버티고 있다. 진실을 밝힐 때까지는 고통스러워도 견딜 생각이다. 후배들에게 도움이 될 수 있는 일은 다 하겠다는 생각에는 변함이 없다”고 전했다. 임 전 사단장은 A씨에게 박정훈 전 해병대 수사단장(이하 대령)의 변호인이었던 김경호 변호사에게 내용증명을 보낸 것과 관련해 민·형사 소송을 준비 중이라며 도움을 요청하는 뉘앙스로 연락을 취했다. 김 변호사가 자신을 고발한 게 무고에 해당하는지와 사실관계 확인을 요청한 것이다. 그는 타 간부들에게도 비슷한 도움을 구한 것으로 전해졌다. 한 간부는 <일요시사>와의 연락서 “난감해하는 사람들이 적지 않았다. 모셨던 사람이긴 한데 임 전 사단장에 대해 개개인이 어떻게 생각하는지는 알 수 없으나 모든 사람이 채 상병 사건 진상규명을 원하고 있다”고 말했다. 임 전 사단장은 과거 박 대령에게도 사실확인요청서를 보낸 바 있다. 자신은 물속 수색을 하지 말라는 지시를 수차례 했고 작전통제권이 육군 50사단장으로 넘어간 상황서 자신의 책임과 범위 내 임무를 성실하게 수행했다며, 이에 대한 박 대령의 기억과 판단을 요청하는 내용이었다. 공수처 수사 대상인데… 사건 연루자들에 연락 당시 임 전 사단장은 “상급지휘관(임 전 사단장)에게 작전통제권은 없지만, 부대를 방문해 전술토의할 수 있고 효율적인 작전이 되도록 유도할 권한은 있다”고 했다. 작전통제권이 없어 안전 책무가 없다면서도, 자신이 현장서 ‘수변을 수색하라’고 지휘한 건 직권남용에 해당하지 않는다는 취지다. 이런 이유로 임 전 사단장은 자신의 직권남용 문제를 언급한 해병대수사단의 조사 결과 보고서가 잘못됐다고 반박했다. 그러나 해병대 수사단은 임 전 사단장의 직권남용 혐의를 적시하지 않았다. 수사단은 ‘작전통제권과 상관 없이’ 임 전 사단장을 실질적 수색작전 지휘관으로 보고, 안전지침을 부대에 하달하지 않아 채 상병 순직사고가 일어났다고 판단했다. 임 전 사단장은 김 변호사와 공방전을 벌이고 있다. 법적 대응까지 예고했다. 김 변호사가 SNS에 게시한 글 중 허위 사실이 포함된 내용이 있다는 게 임 전 사단장의 주장이다. 그는 김 변호사에게 “해병대 수사단 자료의 한계 속에서 해석과 이해를 거쳐 어떤 주장을 하는 것에 관해서는 이해할 수 있다. 그러나 최근에도 같은 주장을 반복하는 것은 악의적이라고 생각한다”며 “해병대 수사단 자료의 문제점을 뒷받침하는 자료가 발견됐고, 제가 사안의 진상을 밝히면서 그걸 뒷받침하는 자료를 제시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이어 “허위가 여론을 조작하고 진실을 가리는 불의한 상황을 시정하기 위해 나 자신의 안위는 돌보지 않기로 결정했다”고 강조했다. 김 변호사는 임 전 사단장을 공수처에 세 번째로 고발했다. 이번 혐의는 군형법 제79조 무단이탈죄다. 군인권센터에 따르면, 임 전 사단장은 지난 1월 말 서울 노원구에 있는 화랑대연구소가 아닌 영등포구에 위치한 해군 관사 ‘바다마을아파트’에 거주하며 인접한 해군 재경근무지원대대 사무실로 출근 중이다. 마음 급해졌나…어떤 의도? 갑자기? 특검 압박 느꼈나 이 사실은 그가 여러 곳에 자신이 결백하다는 취지의 문서를 내용증명, 등기우편 등으로 보내면서 드러났다. 등기 봉투의 발신지는 화랑대연구소였으나 배송 조회 결과 실제 발신지는 서울 신길7동 우편취급국이었다. 임 전 사단장이 거주 중인 서울 관사 인근이다. 발송 시간도 대부분 일과시간 직전이나 일과 중이었다. 임 전 사단장은 언론을 통해 “연수 초기에 육사에서 주로 근무했으나 장거리 출퇴근 비효율적이라서 최근엔 해군재경대대서 근무 중이다. 근무 장소 중 하나가 해군 재경대대”라고 해명했다. 이에 대해 김 변호사는 “정책 연수의 일시와 출퇴근 시간 및 장소가 명령으로 특정된다. 인사명령의 지정된 장소서 지정된 출퇴근 시간을 준수해야 한다”며, “특별한 사정이 있는 경우에 인사명령이나 상급기관의 지휘관에게 사전에 허가를 받아야 한다”고 반박했다. 그러면서 “최근 자주 번호를 변경하는 임 전 사단장의 핸드폰을 압수수색해 무단이탈한 장소와 상급지휘관인 해병대 사령관에게 정식으로 사전에 허가를 받았는지에 관한 진실을 밝혀 강력히 처벌해 달라는 취지”라고 전했다. 김 변호사는 “임 전 사단장이 해병대 간부들에게 연락을 취하는 행동이 증거인멸 시도로 볼 수 있다”며 “자신의 책임을 부정하기 위해 메시지를 보내며 같이 책임을 면하자는 회유로 보인다”고 지적했다. 공수처는 지난 1월부터 해병대 수사단의 조사 결과와 경찰 이첩 과정서 외압이 있었는지에 대해 강제수사를 착수해 왔다. 박 대령에게 사실확인요청서를 보낸 것에서 임 전 사단장이 적극적인 책임 회피에 나섰다는 분석도 제기됐다. 현재 상황도 크게 다르지 않다. 정치권서 ‘채 상병 특검’ 목소리가 커지자 조용했던 임 전 사단장이 발 빠르게 움직이기 시작했다는 관측이 나온다. 부적절한 처신 한 해병대 간부는 “전우의 죽음 이후 형평성에 어긋나거나 석연치 않은 윗선의 처리는 진상규명 문제를 떠나 정치권 개입을 불렀다”며 “도의적 책임도 지지 않고 자리를 지키는 일부 작자들의 행동으로 인해 해병대 전체의 명예가 실추되고 있다”고 비판했다. 임 전 사단장은 <일요시사>가 사건 관계인에 연락한 이유에 관해 묻자 "사건 관계인에게 연락한 것은 사실 확인을 위한 것일 뿐"이라고 답했다. <hounder@ilyosisa.co.kr> <kcj5121@ilyosis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