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글와글 net세상> 연예인 부실복무 논란

연예병사 없어지니 병원으로?

[일요시사=사회팀] 가수 상추와 배우 김무열이 부실복무 논란에 휩싸였다. 국군병원에 장기 입원 중인 상태이기 때문. 이들은 소속사는 모두 "군의관 소견에 따른 것"이라는 해명을 했지만 누리꾼들은 "연예병사가 폐지되니 아프냐"며 날선 비난을 보내고 있다.

군 복무 중인 배우 김무열과 남성 듀오 마이티마우스 멤버 상추가 특혜를 받고 있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지난 4일 한 매체는 상추가 현재 6개월째 국군춘천병원 정형외과에서 장기입원 중이며 김무열은 지난 2월부터 국군수도병원에 입원 중이라는 내용을 보도했다.

상추의 소속사 YMC엔터테인먼트 측은 "상추가 복무 중 어깨와 발목에 통증을 호소해 몇 차례에 걸쳐 수술과 시술, 물리치료 등을 받았다"며 "군의관 소견에 따라 치료를 받은 것뿐이다"고 해명했다. 상추는 지난해 10월 말 군의관 진단에 따라 어깨관절 수술과 지난 1월 발목관절 수술을 민간병원에서 각각 1차례씩 받았다.

일반사병이라면?

국군병원 측도 "특혜가 아닌 정당한 치료다"고 밝혔으며 국방부 또한 "두 차례 모두 큰 수술이었고, 회복기간이 필요했다"며 "애초 3월 말 퇴원 예정이었으나 소속부대의 훈련 일정으로 복귀시기가 4월 초로 변경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무열 소속사 프레인 TPC도 공식 보도자료를 통해 "김무열은 군 복무 중 무릎 부상을 당해 수도병원에 입원하여 검사를 받았고 '좌측 슬관절 내측 연골판 파열' 진단을 받았다"고 전했다. TPC 측은 이어 "더 이상 군복무를 할 수 없다는 의병제대 판정을 받았지만 김무열은 군생활을 끝까지 마치고 만기전역하겠다는 '부동의 확인서'를 제출했다"고 덧붙였다. 또한 '병가휴가'라는 보도에 대해 "휴가가 아닌 복귀 명령 대기"라고 강조했다.

국방부는 "김무열은 내측 연골판 절제술이라는 큰 수술을 받아 규정상 현역으로 복무하기 힘들다고 판단하고 있다"며 "의무 조사를 실시하고 있다"고 밝혔다.


소식이 전해지자 누리꾼들은 "연예병사가 폐지되니 이젠 엄살이냐" "군 회피 방법도 가지가지다" 등 날선 비난을 보내면서도 일각에서는 "과도한 마녀사냥"이라는 목소리도 조심스럽게 나오고 있다.

아이디 skj****는 상추에 대해 "그래, 수술했을 수도 있지. 그런데 그 수술이 과연 6개월 동안 입원할 정도냐 말이지. 이 기사 안 나왔으면 6개월이 아니라 전역할 때까지 있었을 텐데. 기사 떴으니 곧 병원에서도 나오겠지만. 와 이 정도로 군 생활 빨고 나오는 애도 없을 듯"이라고 비판했다.

아이디 soje****도 "애초에 그냥 군대를 놀러 갔다. 장기부상 당하면 오래 입원할 수도 있다. 그런데 이건 극히 한 부대에서 한 명 나올까 말까한 일이다. 가만히 생각해보면 유독 연예인들만 항상 어디가 아프고 장애가 있어서 공익으로 빠지고 면제되고 이제는 병원에서 장기 입원까지 하냐"고 말했다.

이 누리꾼은 "방송활동 할때는 다들 그렇게 춤도 잘 추고 액션 연기도 대역 없이 소화하고 드림팀 같은 데 나와서는 근육자랑하고 그렇게 승부욕 넘치며 특출난 운동신경 자랑하며 날아다니더니. 정작 군대가면 왜 하나같이 빌빌거리냐. 원래 연예인들은 다 어디 불편한 애들만 모아놨냐"고 비꽜다.

아이디 hmj8****은 가수 아웃사이더의 노래 '외톨이'를 개사해 "상추를 치료해 줄 사람 어디 없나, 가만히 놔두다간 끊임없이 안마"라고 적어 누리꾼들의 많은 공감을 얻었다.

상추·김무열 국군병원 장기입원 확인
관절수술하고 무려 6개월째…특혜 논란

아이디 joyf***은 "정말 뭐 같다. 아픈 것으로 뭐라할 건 아니지만 일반인들은 아프다고 가도 뺑이치다 다시 자대 가는데, 이건 운동으로 몸 키우고 드림팀 나와서 잘 달리다가 연예병사할 때는 괜찮고 일반 병가니 수술? 거참"이라고 안타까워했다.


지난 2012년 10월30일 입대한 상추는 오는 8월 제대 예정이다. 상추는 지난해 군 복무 중 안마시술소 출입 논란으로 물의를 빚기도 했다.
 

상추가 욕을 먹고 있는 상황에서 한 누리꾼은 "김무열은 상추와 다르다"며 옹호하는 입장을 밝혔다. 아이디 csb1****은 "김무열은 까면 안 된다. 군대도 원래 합법적으로 면제받았는데 MC몽 사건 때문에 억울하게 엮여서 현역 입대한 것이다. 거기다 군대 가서 무릎까지 다쳤으니 더럽게 운 없는 케이스다"고 밝혔다.

이 누리꾼은 또 "한참 무명 상태에서 겨우 연기자로 빛 보나 싶었는데 군 입대 연기신청도 병무청에서 안 받아줬나 그래서 강제 입대했다"고 적었다.

하지만 아이디 adud****은 "김무열은 소속사에서 언론플레이를 잘한 건지. 억울하다고 알고 있는 사람들이 많은데 내가 설명해준다"며 정면으로 반박했다. 이 누리꾼은 김무열에 대해 "2001년 현역 입대 판정 받았고, 2010년에 면제 판정을 받았다. 9년 동안 MC몽과 같이 공무원 시험, 직업 훈련 등을 핑계로 입대를 미뤘고 그 기간 동안 면제 받을 수 있게 머리 굴려서 면제를 받았다는 것이다"고 설명했다.

이어 "김무열은 부양의무를 이행할 수 있는 남동생이 있었음에도 생계유지곤란으로 인한 군 면제를 받았다"며 "2012년 면제 당시에도 논란이 일었고 엠씨몽 고의 발치 의혹 후폭풍으로 국방부에서 재조사를 실시해 어쩔 수 없이 입대한 것"이라고 말했다.

김무열은 2001년 3월 징병검사에서 현역입영 대상 판정(2급)을 받았다. 이후 2007년 5월부터 2009년 12월 사이에 공무원 시험, 직원 훈련원 입소 등의 이유를 들며 입대를 계속 연기했다. 이 기간 동안 김무열은 드라마, 뮤지컬 출연 등을 통해 총 3억여원의 수입을 올렸다.

입영연기일수 한도(730일)가 꽉 차 더 이상 입대 연기가 불가해 현역입영통지를 받았고 2010년 1월 질병으로 인한 병역처분 변경원을 병무청에 제출했다가 거부당했다. 이후 가족 생계유지 곤란을 이유 병역 감면을 신청했고, 제2국민역 처분을 받았다.

하지만 같은 해 6월 감사원이 김무열의 면제처분에 문제가 있다고 지적, 병무청이 재조사를 실시해 현역판정을 받았다. 김무열은 지난 2012년 10월 연예병사로 입대했으며 지난해 7월 연예병사 제도가 폐지됨에 따라 육군 12사단 을지부대로 전출됐다. 오는 7월 제대 예정이다.

연예인은 다르다?

아이디 park****은 김무열의 무릎 인대 부상에 대해 "군대가서 무릎 인대 파열이라니, 연예병사질하면서 무릎인대 파열할 일이 있냐? 마이크 들고 연극하고 연기하는데 무릎이 아작나냐"면서 "그럼 일반 장병 산악 행군 유격 혹한기하는 일반 병사들은 다 죽어야겠네"라고 말했다.

군 복무 중에 병원 입원은 군 복무 기간으로 인정하지 말아야 한다는 의견도 나왔다. 아이디 ther****은 "아프면 아픈 대로 군 생활 하는 거지 훈련 중에 안 아픈 사람 어디 있냐. 인대 늘어나고 팔 다리 아파도 그냥 하는 거지, 사회처럼 병원 타령하는 게 아니다. 이등병으로 군 병원에 입원했으면 퇴원 후에 이등병 입원 전으로 군 복무를 하도록 해야 한다. 그래야 이런 일을 막을 수 있다"고 주장했다.

 

한종해 기자 <han1028@ilyosisa.co.kr>



배너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단독> ‘채 상병 사건’ 사단장 수상한 메시지 내막

[단독] ‘채 상병 사건’ 사단장 수상한 메시지 내막

[일요시사 취재1팀] 오혁진·김철준 기자 = ‘채 상병 사건’의 핵심 관계자인 임성근 전 해병대 제1사단장이 해병대 간부들에게 여러 차례 연락을 취한 것으로 파악됐다. 자신의 사건을 언급하면서 사실관계를 확인하려 한 게 핵심이다. 임 전 사단장과 연락이 닿은 인물들은 대부분 이해관계자다. 자칫하면 회유 정황으로 보일 수 있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임성근 전 해병대 제1사단장은 ‘채 상병 사건’의 핵심 피의자다. 수사외압 논란의 시발점이자 이종섭 전 국방부 장관이 직접 챙긴 인물이다.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이하 공수처)의 수사 대상인 임 전 사단장은 자신의 사건을 물밑에서 알아보기 시작했다. 시종일관 침묵을 지키다 왜 움직이기 시작했을까? 침묵 지키다… 임 전 사단장은 최근까지 복수의 해병대 간부들과 연락을 주고받았다. 그는 간부 A씨에게 “(공수처)수사가 종결되지 않은 상황서 괜한 오해를 살 수 있어서 연락하지 못했다”며 “어떻게 지냈는지 궁금하다”고 했다. “미안하다”는 사과의 말은 없었다. 다만 “모두가 상상할 수 없는 어려움을 겪었고, 현재도 겪고 있지만 아들을 잃은 채 상병의 유족 특히 모친의 고통을 생각하면서 버티고 있다. 진실을 밝힐 때까지는 고통스러워도 견딜 생각이다. 후배들에게 도움이 될 수 있는 일은 다 하겠다는 생각에는 변함이 없다”고 전했다. 임 전 사단장은 A씨에게 박정훈 전 해병대 수사단장(이하 대령)의 변호인이었던 김경호 변호사에게 내용증명을 보낸 것과 관련해 민·형사 소송을 준비 중이라며 도움을 요청하는 뉘앙스로 연락을 취했다. 김 변호사가 자신을 고발한 게 무고에 해당하는지와 사실관계 확인을 요청한 것이다. 그는 타 간부들에게도 비슷한 도움을 구한 것으로 전해졌다. 한 간부는 <일요시사>와의 연락서 “난감해하는 사람들이 적지 않았다. 모셨던 사람이긴 한데 임 전 사단장에 대해 개개인이 어떻게 생각하는지는 알 수 없으나 모든 사람이 채 상병 사건 진상규명을 원하고 있다”고 말했다. 임 전 사단장은 과거 박 대령에게도 사실확인요청서를 보낸 바 있다. 자신은 물속 수색을 하지 말라는 지시를 수차례 했고 작전통제권이 육군 50사단장으로 넘어간 상황서 자신의 책임과 범위 내 임무를 성실하게 수행했다며, 이에 대한 박 대령의 기억과 판단을 요청하는 내용이었다. 공수처 수사 대상인데… 사건 연루자들에 연락 당시 임 전 사단장은 “상급지휘관(임 전 사단장)에게 작전통제권은 없지만, 부대를 방문해 전술토의할 수 있고 효율적인 작전이 되도록 유도할 권한은 있다”고 했다. 작전통제권이 없어 안전 책무가 없다면서도, 자신이 현장서 ‘수변을 수색하라’고 지휘한 건 직권남용에 해당하지 않는다는 취지다. 이런 이유로 임 전 사단장은 자신의 직권남용 문제를 언급한 해병대수사단의 조사 결과 보고서가 잘못됐다고 반박했다. 그러나 해병대 수사단은 임 전 사단장의 직권남용 혐의를 적시하지 않았다. 수사단은 ‘작전통제권과 상관 없이’ 임 전 사단장을 실질적 수색작전 지휘관으로 보고, 안전지침을 부대에 하달하지 않아 채 상병 순직사고가 일어났다고 판단했다. 임 전 사단장은 김 변호사와 공방전을 벌이고 있다. 법적 대응까지 예고했다. 김 변호사가 SNS에 게시한 글 중 허위 사실이 포함된 내용이 있다는 게 임 전 사단장의 주장이다. 그는 김 변호사에게 “해병대 수사단 자료의 한계 속에서 해석과 이해를 거쳐 어떤 주장을 하는 것에 관해서는 이해할 수 있다. 그러나 최근에도 같은 주장을 반복하는 것은 악의적이라고 생각한다”며 “해병대 수사단 자료의 문제점을 뒷받침하는 자료가 발견됐고, 제가 사안의 진상을 밝히면서 그걸 뒷받침하는 자료를 제시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이어 “허위가 여론을 조작하고 진실을 가리는 불의한 상황을 시정하기 위해 나 자신의 안위는 돌보지 않기로 결정했다”고 강조했다. 김 변호사는 임 전 사단장을 공수처에 세 번째로 고발했다. 이번 혐의는 군형법 제79조 무단이탈죄다. 군인권센터에 따르면, 임 전 사단장은 지난 1월 말 서울 노원구에 있는 화랑대연구소가 아닌 영등포구에 위치한 해군 관사 ‘바다마을아파트’에 거주하며 인접한 해군 재경근무지원대대 사무실로 출근 중이다. 마음 급해졌나…어떤 의도? 갑자기? 특검 압박 느꼈나 이 사실은 그가 여러 곳에 자신이 결백하다는 취지의 문서를 내용증명, 등기우편 등으로 보내면서 드러났다. 등기 봉투의 발신지는 화랑대연구소였으나 배송 조회 결과 실제 발신지는 서울 신길7동 우편취급국이었다. 임 전 사단장이 거주 중인 서울 관사 인근이다. 발송 시간도 대부분 일과시간 직전이나 일과 중이었다. 임 전 사단장은 언론을 통해 “연수 초기에 육사에서 주로 근무했으나 장거리 출퇴근 비효율적이라서 최근엔 해군재경대대서 근무 중이다. 근무 장소 중 하나가 해군 재경대대”라고 해명했다. 이에 대해 김 변호사는 “정책 연수의 일시와 출퇴근 시간 및 장소가 명령으로 특정된다. 인사명령의 지정된 장소서 지정된 출퇴근 시간을 준수해야 한다”며, “특별한 사정이 있는 경우에 인사명령이나 상급기관의 지휘관에게 사전에 허가를 받아야 한다”고 반박했다. 그러면서 “최근 자주 번호를 변경하는 임 전 사단장의 핸드폰을 압수수색해 무단이탈한 장소와 상급지휘관인 해병대 사령관에게 정식으로 사전에 허가를 받았는지에 관한 진실을 밝혀 강력히 처벌해 달라는 취지”라고 전했다. 김 변호사는 “임 전 사단장이 해병대 간부들에게 연락을 취하는 행동이 증거인멸 시도로 볼 수 있다”며 “자신의 책임을 부정하기 위해 메시지를 보내며 같이 책임을 면하자는 회유로 보인다”고 지적했다. 공수처는 지난 1월부터 해병대 수사단의 조사 결과와 경찰 이첩 과정서 외압이 있었는지에 대해 강제수사를 착수해 왔다. 박 대령에게 사실확인요청서를 보낸 것에서 임 전 사단장이 적극적인 책임 회피에 나섰다는 분석도 제기됐다. 현재 상황도 크게 다르지 않다. 정치권서 ‘채 상병 특검’ 목소리가 커지자 조용했던 임 전 사단장이 발 빠르게 움직이기 시작했다는 관측이 나온다. 부적절한 처신 한 해병대 간부는 “전우의 죽음 이후 형평성에 어긋나거나 석연치 않은 윗선의 처리는 진상규명 문제를 떠나 정치권 개입을 불렀다”며 “도의적 책임도 지지 않고 자리를 지키는 일부 작자들의 행동으로 인해 해병대 전체의 명예가 실추되고 있다”고 비판했다. 임 전 사단장은 <일요시사>가 사건 관계인에 연락한 이유에 관해 묻자 "사건 관계인에게 연락한 것은 사실 확인을 위한 것일 뿐"이라고 답했다. <hounder@ilyosisa.co.kr> <kcj5121@ilyosis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