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 시즌 장식한 최고의 샷

다음 시즌 기대 높이는 기적 같은 ‘굿~샷’

필드를 뜨겁게 달궜던 2013시즌 미국프로골프(PGA)투어가 지난달 막을 내리면서 전 세계의 골프팬들은 기적 같은 장면들을 반추하며 다음달 개막하는 2013~2014시즌에 대한 기대를 높이고 있다. PGA투어 공식 홈페이지(www.pgatour.com)는 시즌 종료 후 팬들의 아쉬움을 달래기 위해 2013시즌 최고의 순간들을 꼽았다.

◇올해의 샷=애덤 스콧에게 호주 선수로는 최초로 ‘그린 재킷’의 주인공이 되는 영광을 선사한 것은 연장 두 번째 홀의 약 3.7m짜리 버디퍼트였다. 그러나 그를 연장전까지 이끈 것은 그보다 2배 가까운 거리에서 시도했던 마지막 18번 홀의 짜릿한 버디 퍼팅이었다. 그 감각적인 퍼트 한 방이 없었다면 스콧은 앙헬 카브레라와의 연장승부에 들어갈 수 없었고 당연히 메이저 챔피언의 영광을 누릴 수도 없었다.
스콧은 4대 메이저대회 가운데 유일하게 호주 선수에게 우승을 허락하지 않았던 마스터스에서 우승하면서 호주의 ‘국민영웅’이 됐고, 롱퍼터를 사용하는 선수 가운데 최초로 마스터스를 제패한 주인공으로도 이름을 올렸다.

◇베스트 티샷=US오픈이 벌어졌던 메리언 골프장의 18번 홀 페어웨이에는 유명한 기념 명판 하나가 있다.
1950년 US오픈을 제패할 당시 벤 호건이 1번 아이언을 친 지점을 표시한 것으로 이 홀의 어려움을 웅변한다. 가혹할 정도의 러프가 페어웨이를 둘러싼 전장 511야드의 파4홀. 올해 US오픈 마지막 라운드에서는 전체 선수의 절반도 되지 않는 43.8%만이 가까스로 페어웨이를 지킬 수 있었다. 그러나 로즈는 생에 가장 중요한 티샷을 과감하게 페어웨이 한 가운데 안착시켰다.
호건의 역사적인 1번 아이언 어프로치 명판이 놓인 지점에서 5야드 남짓한 곳이었다. 로즈는 “언덕을 넘어 내려왔더니 드라이브샷을 한 볼이 정말 페어웨이 한 가운데 햇볕을 받아 반짝이고 있더라. 내가 생각해도 충분히 잘 때린 완벽한 샷이었고, 그곳에서 벤 호건도 똑같은 생각을 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베스트 아이언샷=베스트 아이언샷은 바로 그 다음 장면에서 연출됐다. 로즈는 4번 아이언을 꺼내들고 곧장 핀을 향해 날아가는 깔끔한 샷을 날렸다.
로즈가 생애 첫 메이저대회 우승컵을 품에 안는 순간이었다. 이날 18번 홀의 평균 그린적중률은 20.5%에 불과했고, 평균타수는 4.7타로 보기 이상이 수두룩하게 쏟아졌지만 교과서 같은 아이언샷이 파 세이브를 가능하게 했다.

◇베스트 페어웨이 우드샷=필 미켈슨은 뮤어필드에서 벌어진 브리티시오픈 마지막 날 17번 홀(파5)에서 3번 우드로 두 번째 샷을 치자마자 바쁘게 걸음을 옮겼다. 바람을 타고 쭉쭉 뻗어나간 볼은 페어웨이에서 크게 튀어 오른 뒤 컵에서 6.1m 지점에 멈춰섰다. 비바람을 극복하기 위해 캐디백에서 드라이버를 빼고 대회에 나섰던 미켈슨은 17번 홀의 드라이브샷 역시 3번 우드로 날렸던 터였다. 2퍼트로 마무리하며 가볍게 버디를 낚은 미켈슨은 마지막 홀에서 버디를 추가하며 3타차로 마침내 브리티시 오픈 챔피언에 올랐다.

◇베스트 숏게임=조던 스피스(미국)는 벙커샷 한 방으로 자신의 인생을 바꿨다. 존디어 클래식 마지막 날 마지막 홀에서 스피스가 날린 벙커샷은 그린 위에서 한 차례 바운드된 뒤 깃대를 타고 흐르듯이 컵 속으로 빨려들어갔다.
깃대에 맞지 않았다면 적어도 1m 이상은 굴러갔을 볼이 들어가면서 극적인 버디를 낚은 스피스는 잭 존슨(미국), 데이비드 헌(캐나다)과 함께 연장 승부에 들어갔고 5차 연장 끝에 1931년 이후 PGA 투어에서 우승한 첫 번째 10대 선수가 됐다.


◇베스트 1라운드, 베스트 4라운드=1라운드를 가장 멋지게 장식한 주인공은 미켈슨이었다. 미켈슨은 웨이스트 매니지먼트 피닉스오픈 1라운드에서 60타를 적어내 ‘꿈의 59타’에 접근했다.
최고의 파이널 라운드 역시 미켈슨의 몫이었다. 미켈슨은 브리티시 오픈 4라운드에서 66타를 적어냈는데 마지막 11개조에서 70타 이하를 적어낸 선수는 미켈슨 뿐이었다. 미켈슨은 이날 단 26개의 퍼트로 라운드를 마쳤고 마지막 6홀 가운데 4홀에서 버디를 만들었다.



배너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단독> ‘채 상병 사건’ 사단장 수상한 메시지 내막

[단독] ‘채 상병 사건’ 사단장 수상한 메시지 내막

[일요시사 취재1팀] 오혁진·김철준 기자 = ‘채 상병 사건’의 핵심 관계자인 임성근 전 해병대 제1사단장이 해병대 간부들에게 여러 차례 연락을 취한 것으로 파악됐다. 자신의 사건을 언급하면서 사실관계를 확인하려 한 게 핵심이다. 임 전 사단장과 연락이 닿은 인물들은 대부분 이해관계자다. 자칫하면 회유 정황으로 보일 수 있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임성근 전 해병대 제1사단장은 ‘채 상병 사건’의 핵심 피의자다. 수사외압 논란의 시발점이자 이종섭 전 국방부 장관이 직접 챙긴 인물이다.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이하 공수처)의 수사 대상인 임 전 사단장은 자신의 사건을 물밑에서 알아보기 시작했다. 시종일관 침묵을 지키다 왜 움직이기 시작했을까? 침묵 지키다… 임 전 사단장은 최근까지 복수의 해병대 간부들과 연락을 주고받았다. 그는 간부 A씨에게 “(공수처)수사가 종결되지 않은 상황서 괜한 오해를 살 수 있어서 연락하지 못했다”며 “어떻게 지냈는지 궁금하다”고 했다. “미안하다”는 사과의 말은 없었다. 다만 “모두가 상상할 수 없는 어려움을 겪었고, 현재도 겪고 있지만 아들을 잃은 채 상병의 유족 특히 모친의 고통을 생각하면서 버티고 있다. 진실을 밝힐 때까지는 고통스러워도 견딜 생각이다. 후배들에게 도움이 될 수 있는 일은 다 하겠다는 생각에는 변함이 없다”고 전했다. 임 전 사단장은 A씨에게 박정훈 전 해병대 수사단장(이하 대령)의 변호인이었던 김경호 변호사에게 내용증명을 보낸 것과 관련해 민·형사 소송을 준비 중이라며 도움을 요청하는 뉘앙스로 연락을 취했다. 김 변호사가 자신을 고발한 게 무고에 해당하는지와 사실관계 확인을 요청한 것이다. 그는 타 간부들에게도 비슷한 도움을 구한 것으로 전해졌다. 한 간부는 <일요시사>와의 연락서 “난감해하는 사람들이 적지 않았다. 모셨던 사람이긴 한데 임 전 사단장에 대해 개개인이 어떻게 생각하는지는 알 수 없으나 모든 사람이 채 상병 사건 진상규명을 원하고 있다”고 말했다. 임 전 사단장은 과거 박 대령에게도 사실확인요청서를 보낸 바 있다. 자신은 물속 수색을 하지 말라는 지시를 수차례 했고 작전통제권이 육군 50사단장으로 넘어간 상황서 자신의 책임과 범위 내 임무를 성실하게 수행했다며, 이에 대한 박 대령의 기억과 판단을 요청하는 내용이었다. 공수처 수사 대상인데… 사건 연루자들에 연락 당시 임 전 사단장은 “상급지휘관(임 전 사단장)에게 작전통제권은 없지만, 부대를 방문해 전술토의할 수 있고 효율적인 작전이 되도록 유도할 권한은 있다”고 했다. 작전통제권이 없어 안전 책무가 없다면서도, 자신이 현장서 ‘수변을 수색하라’고 지휘한 건 직권남용에 해당하지 않는다는 취지다. 이런 이유로 임 전 사단장은 자신의 직권남용 문제를 언급한 해병대수사단의 조사 결과 보고서가 잘못됐다고 반박했다. 그러나 해병대 수사단은 임 전 사단장의 직권남용 혐의를 적시하지 않았다. 수사단은 ‘작전통제권과 상관 없이’ 임 전 사단장을 실질적 수색작전 지휘관으로 보고, 안전지침을 부대에 하달하지 않아 채 상병 순직사고가 일어났다고 판단했다. 임 전 사단장은 김 변호사와 공방전을 벌이고 있다. 법적 대응까지 예고했다. 김 변호사가 SNS에 게시한 글 중 허위 사실이 포함된 내용이 있다는 게 임 전 사단장의 주장이다. 그는 김 변호사에게 “해병대 수사단 자료의 한계 속에서 해석과 이해를 거쳐 어떤 주장을 하는 것에 관해서는 이해할 수 있다. 그러나 최근에도 같은 주장을 반복하는 것은 악의적이라고 생각한다”며 “해병대 수사단 자료의 문제점을 뒷받침하는 자료가 발견됐고, 제가 사안의 진상을 밝히면서 그걸 뒷받침하는 자료를 제시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이어 “허위가 여론을 조작하고 진실을 가리는 불의한 상황을 시정하기 위해 나 자신의 안위는 돌보지 않기로 결정했다”고 강조했다. 김 변호사는 임 전 사단장을 공수처에 세 번째로 고발했다. 이번 혐의는 군형법 제79조 무단이탈죄다. 군인권센터에 따르면, 임 전 사단장은 지난 1월 말 서울 노원구에 있는 화랑대연구소가 아닌 영등포구에 위치한 해군 관사 ‘바다마을아파트’에 거주하며 인접한 해군 재경근무지원대대 사무실로 출근 중이다. 마음 급해졌나…어떤 의도? 갑자기? 특검 압박 느꼈나 이 사실은 그가 여러 곳에 자신이 결백하다는 취지의 문서를 내용증명, 등기우편 등으로 보내면서 드러났다. 등기 봉투의 발신지는 화랑대연구소였으나 배송 조회 결과 실제 발신지는 서울 신길7동 우편취급국이었다. 임 전 사단장이 거주 중인 서울 관사 인근이다. 발송 시간도 대부분 일과시간 직전이나 일과 중이었다. 임 전 사단장은 언론을 통해 “연수 초기에 육사에서 주로 근무했으나 장거리 출퇴근 비효율적이라서 최근엔 해군재경대대서 근무 중이다. 근무 장소 중 하나가 해군 재경대대”라고 해명했다. 이에 대해 김 변호사는 “정책 연수의 일시와 출퇴근 시간 및 장소가 명령으로 특정된다. 인사명령의 지정된 장소서 지정된 출퇴근 시간을 준수해야 한다”며, “특별한 사정이 있는 경우에 인사명령이나 상급기관의 지휘관에게 사전에 허가를 받아야 한다”고 반박했다. 그러면서 “최근 자주 번호를 변경하는 임 전 사단장의 핸드폰을 압수수색해 무단이탈한 장소와 상급지휘관인 해병대 사령관에게 정식으로 사전에 허가를 받았는지에 관한 진실을 밝혀 강력히 처벌해 달라는 취지”라고 전했다. 김 변호사는 “임 전 사단장이 해병대 간부들에게 연락을 취하는 행동이 증거인멸 시도로 볼 수 있다”며 “자신의 책임을 부정하기 위해 메시지를 보내며 같이 책임을 면하자는 회유로 보인다”고 지적했다. 공수처는 지난 1월부터 해병대 수사단의 조사 결과와 경찰 이첩 과정서 외압이 있었는지에 대해 강제수사를 착수해 왔다. 박 대령에게 사실확인요청서를 보낸 것에서 임 전 사단장이 적극적인 책임 회피에 나섰다는 분석도 제기됐다. 현재 상황도 크게 다르지 않다. 정치권서 ‘채 상병 특검’ 목소리가 커지자 조용했던 임 전 사단장이 발 빠르게 움직이기 시작했다는 관측이 나온다. 부적절한 처신 한 해병대 간부는 “전우의 죽음 이후 형평성에 어긋나거나 석연치 않은 윗선의 처리는 진상규명 문제를 떠나 정치권 개입을 불렀다”며 “도의적 책임도 지지 않고 자리를 지키는 일부 작자들의 행동으로 인해 해병대 전체의 명예가 실추되고 있다”고 비판했다. 임 전 사단장은 <일요시사>가 사건 관계인에 연락한 이유에 관해 묻자 "사건 관계인에게 연락한 것은 사실 확인을 위한 것일 뿐"이라고 답했다. <hounder@ilyosisa.co.kr> <kcj5121@ilyosis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