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재료 이력서> (7)고추

맵지만 ‘영양의 보고’

오이, 쑥갓, 가지… 소박한 우리네 밥상의 주인공이자 <식재료 이력서>의 주역들이다. 심심한 맛에 투박한 외모를 가진 이들에게 무슨 이력이 있다는 것일까. 여러 방면의 책을 집필하고 칼럼을 기고해 온 황천우 작가의 남다른 호기심으로 탄생한 작품. ‘사람들이 식품을 그저 맛으로만 먹게 하지 말고 각 식품들의 이면을 들춰내 이야깃거리를 만들어 나름 의미를 주자’는 작가의 발상. 작가는 이 작품으로 인해 인간이 식품과의 인연을 소중하게 생각하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한다.
 

▲ ⓒpixabay

고추하면 아직도 머릿속에 생생하게 그려지는 모습이 있다.

5년 터울로 남자 동생이 태어나던 날이었다.

동생이 세상에 모습을 드러내고 울음을 터트린 그 순간 아버지께서 우리 집 대문에 잘 생긴 빨간 고추 너덧 개를 꽂은 새끼줄을 거셨다.

부정을 몰아냄

그게 이상해서 아버지께 그 이유를 물어본 즉 ‘부정한 기운이 집에 들어오면 동생과 어머니께 해가 될까 보아 그를 방지하기 위해 걸었다’는 식의 답변과 그 풍속이 오래전부터 이어져왔다는 이야기 역시 이어졌다.


그런데 참으로 어처구니없는 일이 바로 그 고추가 임진란을 통해 왜(일본)로부터 들어왔다고 한다. 또한 이 말이 정설로 굳어져 있다.

참으로 황당하지 않을 수 없는 대목이다.

오래된 풍속도 그렇지만 하필이면 왜로부터 들어온 고추로 부정한 기운을 쫒고자 했는지 이해불가다.

그런데 이를 의아하게 생각하며 조사하는 중에 현재 알려져 있는 고추의 기원과 또 청양고추에 대한 진실에 접근하게 된다.

먼저 이 땅에 언제부터 고추가 존재했느냐에 대한 문제다.

그 시작에 대한 근거는 발견하지 못했으나 임진란 이전에도 고추가 존재했었다는 사실 확인하게 된다. 

연산군으로부터 손녀를 궁중에 들이라는 왕명을 거역해 교살당한 홍귀달(洪貴達, 1438∼1504)의 ‘주흘산 사당에서(主屹神祠, 주흘신사)’란 작품 중 일부 살펴보자.


松柏靈宮裏(송백영궁리)
솔과 잣나무 뒤덮인 영궁 안에서
椒醬賽歲功(초장새세공)
고추장으로 풍년 기원하네

상기 작품에 등장하는 椒醬(초장)이 바로 고추장으로, 고추장을 제수로 풍년을 기원했다는 대목이 등장한다.

그런데 이 椒醬에 대해 혹자는 ‘초로 빚은 술’을 언급하기도 한다. 이는 오류다.

그런 경우라면 椒醬(초장)이 아니라 椒酒(초주)로 기록돼야 하기 때문이다.

비타민 C 함유 감귤의 2배, 사과의 30배
일본으로부터 전해졌다는 이야기는 속설

椒醬(초장)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해 정약용이 강진에 유배돼있을 당시 남겼던 작품 중 일부 실어본다. 

萵葉團包麥飯呑(와엽단포맥반탄)  
상추에 보리밥을 둥그렇게 싸 삼키고 
合同椒醬與葱根(합동초장여총근)
파뿌리에 고추장을 곁들여 먹는다 

이를 살피면 현재 통설로 굳어져 있는, 고추가 임진란을 통해 최초로 일본으로부터 전해졌다는 이야기는 그저 속설에 불과할 뿐이다.

그를 상기하고 이제 청양고추의 진실에 접근해보자. 

혹자는 청양고추의 원산지가 충청남도 청양으로 알고 있는데 이 역시 오류다.

국립종자관리소에 청양고추의 품종 개발자로 등록돼있는 유일웅 박사의 이야기 들어보자.

청양고추 품종은 제주산과 태국산 고추를 잡종 교배해 만든 것으로 경상북도 청송군과 영양군 일대서 임상재배에 성공했으며, 현지 농가의 요청에 의해 청송의 청(靑), 영양의 양(陽)자를 따서 청양고추로 명명해 품종 등록했다.


각설하고, 한자로 苦椒(고초)라 표기하는 고추는 고진감래(苦盡甘來)란 사자성어를 연상시킨다.

이는 쓴 것이 다하면 단 것이 온다는 뜻으로, 고생 끝에 즐거움이 온다는 의미인데 고추가 딱 그렇다.

맛은 맵지만 그를 참아내면 고추는 그야말로 영양의 보고이기 때문이다.

비타민, 단백질, 섬유질, 칼슘, 철분 등 각종 영양소가 풍부하게 들어 있고 특히 고추에 함유된 비타민 C는 감귤의 2배, 사과의 30배라고 알려져 있다. 

이를 염두에 두고 조선조 문인이며 서화가인 김창업(金昌業, 1658∼1721) 작품 강상해보자.

番椒(번초)
고추 


居夷未足陋(거이미족루)
구이에서 왔지만 비루하지 않고
氣味親薑桂(기미친강계)
맛과 냄새 생강과 계피에 가깝네
幸爲野人甞(신위야인상)
매운 맛 사람들 입맛에 맞아
終遠神農世(종원신농세)
끝내 신농씨 세상 이루네 

거이(居夷)는 거구이(居九夷)의 준말로 ‘구이에 거하다’라는 의미다.

구이는 동이(東夷, 동쪽 오랑캐)의 아홉 부족을 지칭하는데 공자가 살고 싶어 했던 지역을 지칭하나 구체적으로 어느 민족을 언급하는지는 알 수 없다.

그러나 제목에 등장하는 番(번)은 몽고를 지칭하는 바 이를 감안하면 고추가 여러 곳에서 전래된 게 아닌가 추측해본다.  

고추의 전래

여하튼 김창업은 고추로 신농 세상 이룬다고 했다. 신농은 신농씨로 중국 전설에 등장하는 제왕으로 백성들에게 농사짓는 방법을 가르쳐줬다고 하는데, 김창업에 의하면 고추로 농사의 완성을 이루었다는 의미로 받아들여도 무방하다. 


<계속>
 



배너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단독> ‘채 상병 사건’ 사단장 수상한 메시지 내막

[단독] ‘채 상병 사건’ 사단장 수상한 메시지 내막

[일요시사 취재1팀] 오혁진·김철준 기자 = ‘채 상병 사건’의 핵심 관계자인 임성근 전 해병대 제1사단장이 해병대 간부들에게 여러 차례 연락을 취한 것으로 파악됐다. 자신의 사건을 언급하면서 사실관계를 확인하려 한 게 핵심이다. 임 전 사단장과 연락이 닿은 인물들은 대부분 이해관계자다. 자칫하면 회유 정황으로 보일 수 있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임성근 전 해병대 제1사단장은 ‘채 상병 사건’의 핵심 피의자다. 수사외압 논란의 시발점이자 이종섭 전 국방부 장관이 직접 챙긴 인물이다.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이하 공수처)의 수사 대상인 임 전 사단장은 자신의 사건을 물밑에서 알아보기 시작했다. 시종일관 침묵을 지키다 왜 움직이기 시작했을까? 침묵 지키다… 임 전 사단장은 최근까지 복수의 해병대 간부들과 연락을 주고받았다. 그는 간부 A씨에게 “(공수처)수사가 종결되지 않은 상황서 괜한 오해를 살 수 있어서 연락하지 못했다”며 “어떻게 지냈는지 궁금하다”고 했다. “미안하다”는 사과의 말은 없었다. 다만 “모두가 상상할 수 없는 어려움을 겪었고, 현재도 겪고 있지만 아들을 잃은 채 상병의 유족 특히 모친의 고통을 생각하면서 버티고 있다. 진실을 밝힐 때까지는 고통스러워도 견딜 생각이다. 후배들에게 도움이 될 수 있는 일은 다 하겠다는 생각에는 변함이 없다”고 전했다. 임 전 사단장은 A씨에게 박정훈 전 해병대 수사단장(이하 대령)의 변호인이었던 김경호 변호사에게 내용증명을 보낸 것과 관련해 민·형사 소송을 준비 중이라며 도움을 요청하는 뉘앙스로 연락을 취했다. 김 변호사가 자신을 고발한 게 무고에 해당하는지와 사실관계 확인을 요청한 것이다. 그는 타 간부들에게도 비슷한 도움을 구한 것으로 전해졌다. 한 간부는 <일요시사>와의 연락서 “난감해하는 사람들이 적지 않았다. 모셨던 사람이긴 한데 임 전 사단장에 대해 개개인이 어떻게 생각하는지는 알 수 없으나 모든 사람이 채 상병 사건 진상규명을 원하고 있다”고 말했다. 임 전 사단장은 과거 박 대령에게도 사실확인요청서를 보낸 바 있다. 자신은 물속 수색을 하지 말라는 지시를 수차례 했고 작전통제권이 육군 50사단장으로 넘어간 상황서 자신의 책임과 범위 내 임무를 성실하게 수행했다며, 이에 대한 박 대령의 기억과 판단을 요청하는 내용이었다. 공수처 수사 대상인데… 사건 연루자들에 연락 당시 임 전 사단장은 “상급지휘관(임 전 사단장)에게 작전통제권은 없지만, 부대를 방문해 전술토의할 수 있고 효율적인 작전이 되도록 유도할 권한은 있다”고 했다. 작전통제권이 없어 안전 책무가 없다면서도, 자신이 현장서 ‘수변을 수색하라’고 지휘한 건 직권남용에 해당하지 않는다는 취지다. 이런 이유로 임 전 사단장은 자신의 직권남용 문제를 언급한 해병대수사단의 조사 결과 보고서가 잘못됐다고 반박했다. 그러나 해병대 수사단은 임 전 사단장의 직권남용 혐의를 적시하지 않았다. 수사단은 ‘작전통제권과 상관 없이’ 임 전 사단장을 실질적 수색작전 지휘관으로 보고, 안전지침을 부대에 하달하지 않아 채 상병 순직사고가 일어났다고 판단했다. 임 전 사단장은 김 변호사와 공방전을 벌이고 있다. 법적 대응까지 예고했다. 김 변호사가 SNS에 게시한 글 중 허위 사실이 포함된 내용이 있다는 게 임 전 사단장의 주장이다. 그는 김 변호사에게 “해병대 수사단 자료의 한계 속에서 해석과 이해를 거쳐 어떤 주장을 하는 것에 관해서는 이해할 수 있다. 그러나 최근에도 같은 주장을 반복하는 것은 악의적이라고 생각한다”며 “해병대 수사단 자료의 문제점을 뒷받침하는 자료가 발견됐고, 제가 사안의 진상을 밝히면서 그걸 뒷받침하는 자료를 제시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이어 “허위가 여론을 조작하고 진실을 가리는 불의한 상황을 시정하기 위해 나 자신의 안위는 돌보지 않기로 결정했다”고 강조했다. 김 변호사는 임 전 사단장을 공수처에 세 번째로 고발했다. 이번 혐의는 군형법 제79조 무단이탈죄다. 군인권센터에 따르면, 임 전 사단장은 지난 1월 말 서울 노원구에 있는 화랑대연구소가 아닌 영등포구에 위치한 해군 관사 ‘바다마을아파트’에 거주하며 인접한 해군 재경근무지원대대 사무실로 출근 중이다. 마음 급해졌나…어떤 의도? 갑자기? 특검 압박 느꼈나 이 사실은 그가 여러 곳에 자신이 결백하다는 취지의 문서를 내용증명, 등기우편 등으로 보내면서 드러났다. 등기 봉투의 발신지는 화랑대연구소였으나 배송 조회 결과 실제 발신지는 서울 신길7동 우편취급국이었다. 임 전 사단장이 거주 중인 서울 관사 인근이다. 발송 시간도 대부분 일과시간 직전이나 일과 중이었다. 임 전 사단장은 언론을 통해 “연수 초기에 육사에서 주로 근무했으나 장거리 출퇴근 비효율적이라서 최근엔 해군재경대대서 근무 중이다. 근무 장소 중 하나가 해군 재경대대”라고 해명했다. 이에 대해 김 변호사는 “정책 연수의 일시와 출퇴근 시간 및 장소가 명령으로 특정된다. 인사명령의 지정된 장소서 지정된 출퇴근 시간을 준수해야 한다”며, “특별한 사정이 있는 경우에 인사명령이나 상급기관의 지휘관에게 사전에 허가를 받아야 한다”고 반박했다. 그러면서 “최근 자주 번호를 변경하는 임 전 사단장의 핸드폰을 압수수색해 무단이탈한 장소와 상급지휘관인 해병대 사령관에게 정식으로 사전에 허가를 받았는지에 관한 진실을 밝혀 강력히 처벌해 달라는 취지”라고 전했다. 김 변호사는 “임 전 사단장이 해병대 간부들에게 연락을 취하는 행동이 증거인멸 시도로 볼 수 있다”며 “자신의 책임을 부정하기 위해 메시지를 보내며 같이 책임을 면하자는 회유로 보인다”고 지적했다. 공수처는 지난 1월부터 해병대 수사단의 조사 결과와 경찰 이첩 과정서 외압이 있었는지에 대해 강제수사를 착수해 왔다. 박 대령에게 사실확인요청서를 보낸 것에서 임 전 사단장이 적극적인 책임 회피에 나섰다는 분석도 제기됐다. 현재 상황도 크게 다르지 않다. 정치권서 ‘채 상병 특검’ 목소리가 커지자 조용했던 임 전 사단장이 발 빠르게 움직이기 시작했다는 관측이 나온다. 부적절한 처신 한 해병대 간부는 “전우의 죽음 이후 형평성에 어긋나거나 석연치 않은 윗선의 처리는 진상규명 문제를 떠나 정치권 개입을 불렀다”며 “도의적 책임도 지지 않고 자리를 지키는 일부 작자들의 행동으로 인해 해병대 전체의 명예가 실추되고 있다”고 비판했다. 임 전 사단장은 <일요시사>가 사건 관계인에 연락한 이유에 관해 묻자 "사건 관계인에게 연락한 것은 사실 확인을 위한 것일 뿐"이라고 답했다. <hounder@ilyosisa.co.kr> <kcj5121@ilyosis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