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약품 3세 경영의 현주소

[일요시사 취재1팀] 김정수 기자 = 국제약품은 3세 경영 궤도서 유영하고 있다. 오너 3세 남태훈 사장은 업계 최연소로 대표이사에 올랐다. 기대와 함께 우려가 제기됐지만, 실적에 청신호가 들어오면서 잦아드는 모양새다. 다만 남 사장이 리베이트 관련 혐의로 유죄를 확정 받은 점은 간과하기 어렵다. ‘남태훈호’는 순항할 수 있을까.
 

▲ 남태현 국제약품 대표이사 ⓒ국제약품

국제약품은 1959년 설립된 중견 제약사다. 창업주는 고 남상옥 회장으로 지난 5·16군사정변 당시 자금을 지원한 것으로 전해진다. 그는 정권이 들어선 이후 국가재건최고회의 재정경제위원회 자문위원을 지내기도 했다. 그래서였을까. 국제약품도 성장가도를 달리며 1975년 증권거래소에 상장됐다.

군사정변
성장가도

경영권은 장남이 이어받았다. 오너 2세 남영우 국제약품 회장은 1973년 입사한 뒤, 부친의 별세로 국제약품 회장이 됐다.

최근 국제약품은 3세 경영 궤도에 올랐다. 유력한 승계 후보는 남 회장의 장남 남태훈 국제약품 사장이다. 남 사장은 업계 최연소로 대표이사 사장 자리에 오르면서 업계 이목을 사로잡은 바 있다.

남 사장은 1980년생으로 미국 매사추세츠 주립대학교 보스턴 경영학과를 졸업하고, 지난 2008년 국제약품 계열사 효림산업에 입사했다. 이듬해인 2009년 국제약품으로 거취를 옮겼다. 이후 마케팅부 과장, 기획관리 차장 등을 거쳤다.


지난 2011년에는 영업관리실 이사로 이사회에 진입하면서 국제약품 주식도 최초로 확보했다.

그해 4월 남 사장은 568주를 매입했지만 약 4개월 뒤 전량에 가까운 560주를 매각했다. 8주를 쥔 채 한동안 주식을 사들이지 않았다.

변화는 2013년에 발생했다. 남 사장이 판매부분 부사장으로 올랐을 때다. 그해 7월 남 사장은 2만3400주를 매입하면서 모두 2만3408주(0.15%)를 보유하게 됐다.

이듬해인 2014년엔 국제약품 최고운영책임자(COO)가 되면서 지분도 추가로 확보했다. 그해 2월 1만3520주, 1만1200주씩 두 차례 주식을 매입했다. 그 다음달에는 702주를 추가로 사들였다. 그 결과 남 사장의 보유 지분은 4만8830주(0.31%)로 상승했다.

제약업계 최연소 일찌감치 사장으로
승진·주식 취득 동시에…입지 다져

남 사장은 2015년 대표이사 부사장으로 승진했는데 당시 그의 나이는 만 34세였다. 위상이 높아진 만큼 지분 매입도 동반됐다.

그해 3월 2441주, 6월 2만6019주를 사들이면서 모두 7만7290주를 쥐게 됐다. 2016년에는 6531주, 1만주를 확보하면서 9만3821주까지 끌어모았다.


남 사장은 지난 2017년 대표이사 사장으로 선임됐다. 입사 10년이 채 안 된 시점서 국제약품 ‘꼭대기’에 올라선 셈이다. 이후 그는 어느 때보다 적극적으로 국제약품 주식을 대거 매입하기 시작했다.
 

▲ ▲

2017년 1월 남 사장은 4차례에 걸쳐 7만5186주를, 3월에는 15차례에 걸쳐 13만5080주를 사들였다. 이전과 확연한 차이를 보이는 규모였다. 같은 해 8월 236주를 매입하면서 30만4323주까지 수직상승했다. 지분 취득에만 사용된 자금은 6억5000만원을 넘었다.

지분 매입은 계속됐다. 2018년 3월 1만2172주, 7월 4690주, 10월 4만6684주를 끌어모은 데 이어 지난해 3월 7357주, 8월 1만1793주를 추가로 사들였다. 남 사장은 국제약품 주식 38만7019주를 최종 확보했다. 올해 지분 매입 소식은 지난달까지 없었다.

현재 국제약품은 3인 공동대표 체제다. 남 회장과 남 사장, 그리고 안재만 대표이사가 함께한다.

업계 일각에선 남 사장의 승진을 두고 우려를 제기했다. 너무 무거운 왕관이라는 지적이었다. 하지만 남 사장이 대표이사 사장으로 취임하면서 국제약품 실적은 오히려 상승세를 보였다.

냉탕, 온탕 
그 다음은?

최근 3년간 국제약품 실적을 살펴보면, 연결 기준 매출액은 1233억원, 1076억원, 1111억원으로 불규칙했다. 반면 영업이익은 25억원, 32억원, 55억원으로 꾸준히 증가했다.

순이익은 10억원, 21억원으로 늘어나다가 지난해 -47억원으로 곤두박질쳤다. 직전년도에 비해 ‘기타비용’과 ‘법인세 비용’이 껑충 증가했기 때문이다.

다만 올해 성적표는 기대할만하다는 분석이다. 지난 1분기 연결 기준 국제약품 매출액은 직전년도 같은 기간에 비해 23.02% 증가한 330억원이었다. 영업이익은 140% 가까이 증가한 61억원, 순이익은 2.5배 가깝게 뛴 49억원이었다.

국제약품이 두각을 드러낼 수 있었던 요인은 ‘메디마스크’였다. 메디마스크는 국제약품이 제작한 마스크로, 코로나19 여파가 확대되기 전 과감하게 마스크 사업에 뛰어든 판단이 결정적이었다. 특히 남 사장이 해당 사업에 속도를 내도록 주문한 것으로 전해진다. 국제약품은 국내 제약사 최초로 자체 마스크 생산시설을 구축했다.

마스크 외에도 손세정제 등 기존 의약품 수요 증가도 1분기 실적에 기여했다.

다만 남 사장은 자신의 커리어에 오명을 남기고 말았다. 리베이트 혐의로 유죄가 확정됐기 때문이다.


오너 일가 지분
14% 조금 넘어

지난 2018년 경기남부지방경찰청 지능범죄수사대는 국제약품 전·현직 임원들을 불구속 입건했다. 지난 2013년 1월부터 2017년 7월까지 전국 384개 병·의원 의사 100여명에게 42억8000만원의 리베이트를 제공한 혐의였다.

당시 경찰은 국제약품 영업기획부서가 대표이사 승인을 받아 리베이트 자금을 조성·관리해 리베이트 제공 등에 사용했다고 밝혔다.

국제약품은 지난 1분기 보고서에 재판 결과를 적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남 사장은 징역 1년에 집행유예 2년을 선고받았다. 나머지 임원들은 징역 6월∼1년에 전원 집행유예 2년이었다. 국제약품 법인도 벌금 3000만원이 부과됐다. 국제약품은 1심 판결에 승복, 항소를 포기하면서 형량이 확정됐다.
 

▲ ▲

국제약품은 재발 방지를 위한 대책을 회사 차원서 내놨다. ISO37001(부패방지경영시스템) 도입과 함께 내부 경영환경을 개선하겠다는 것이다. 또 임원 교육훈련 강화도 포함됐다.

남 사장은 경영 일선에 나섰지만 완전한 승계까지는 요원할 전망이다. 국제약품 주주 구성과 지배구조를 살펴보면 그렇다.


남 사장이 보유한 국제약품 지분은 2.1%에 불과하다. 부친인 남 회장의 지분은 8.52%다. 남 사장의 누나인 남혜진(NAM JENNIFER YOUNG) 국제약품 전 상무에게는 0.1% 지분이 있을 뿐이다. 이들의 지분 합은 10%가 조금 넘는 수준이다.

리베이트 혐의 유죄 확정 항소 취하
오너 리스크, 실적 개선으로 타개?

이 외에 친인척(1.09%), 임원(0.88%) 등의 지분을 모두 더해도 14%를 조금 넘는다. 하지만 오너 일가 지배력은 그보다 한 수 위라는 분석이 나온다.

국제약품 최대주주는 계열사 ‘우경’인데 23.8%의 지분을 갖고 있다. 이곳의 최대주주는 남 회장(85.43%)이다. ‘남 회장→우경→국제약품’으로 이어지는 구조다. 결국 남 사장의 우경 최대주주 확보에 따라 승계가 좌우될 수 있다는 해석이다.

동시에 계열사 전반에 대한 영향력도 한층 강화된다. 우경은 ‘효림산업’ 최대주주(60.72%)다. 또 국제약품은 ‘국제피앤비’ 최대주주(24.83%)이면서 종속회사로 ‘케이제이케어’를 두고 있다. 남 사장은 계열사 효림산업과 국제피앤비 대표이사를 맡고 있다.

남 사장은 지난 2018년부터 효림산업 대표이사를 맡게 됐다. 효림산업은 수처리 설비와 기자재를 생산하는 환경설비 전문기업이다. 남 사장이 대표이사로 취임하기 전까지 효림산업은 680억원 매출과 111억원 영업손실, 27억원 순손실을 기록했다.

남 사장이 대표이사로 취임한 지난 2018년 회사 매출액은 468억원으로 감소했다. 하지만 영업이익 6억, 순이익 98억원의 흑자 회사로 전환됐다. 지난해 매출 역시 236억원에 머물렀지만 영업이익은 16억원, 순이익은 10억원으로 증가했다.

국제피앤비는 화장품과 건강기능 식품을 판매하는 업체다. 남 사장과 안광민 대표이사가 공동으로 이끌고 있다. 지난 2018년 회사는 매출 9억원과 순손실 7억원을 기록했다. 하지만 지난해 매출 1억원과 순손실 32억원으로 곤두박질쳤다. 지난 1분기 매출과 순손실은 모두 2000만원 수준에 머물렀다.

계열사에 
달린 승계

남 사장은 실적 향상을 통해 승계 연착륙을 꾀하고, 오너 리스크를 타개할 전망이다. 남 사장은 지난 1월 열린 국제약품 시무식서 성장을 위한 전사적 역량 결집을 주문했다. 그는 “성장 없는 이익은 존재할 수 없고, 이익 없는 성장은 더더욱 의미가 없다”며 “목표가 달성되도록 최대한 지원과 관리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배너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사분오열’ 의료계 내분 내막

‘사분오열’ 의료계 내분 내막

[일요시사 취재1팀] 장지선 기자 = 뚝심인가, 고집인가? 의대 정원 확대에 대한 대통령의 뜻이 확고해도 너무 확고하다. 겉으로는 유연한 대처를 언급하면서 ‘2000명’이라는 수치는 굽히지 않을 기세다. 강 대 강 대치에 나섰던 의료계는 우왕좌왕하는 모양새다. 의료계 내부의 의견을 모으는 일도 쉽지 않아 보인다. <일요시사>와 인터뷰한 지방의대 A 교수는 의과대학 정원 확대를 밀어붙이는 윤석열정부의 강경 기조에 대해 이같이 말했다. “정규군은 수뇌부만 처리하면 와해되기 쉽다. 하지만 현재 의료계는 게릴라 방식으로 대응 중이다. 주동자를 찾기 어렵고 실제 주동자도 없다. 전공의, 의대생 모두 조직의 통제하에 움직이는 게 아니라 본능에 따라 행동하고 있다. 윤정부 입장에서는 협상 대상을 찾기 어려운 상황이다. 일괄 협상에 따른 일괄 타결은 어렵다고 본다.” 2월 이후 평행선만 실제 의료계는 대학의사협회(의협), 전국의과대학교수협의회(전의교협), 대한전공의협의회(대전협), 대한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학생협회(의대협) 등 여러 단체가 의대 정원 확대 정책에 개별적으로 대응하고 있다. ‘의대 정원 확대 반대’를 큰 틀로 하되 대응 방식이나 세부적인 요구사항은 각각 다른 상황이다. A 교수의 말대로 의료계는 현재 단일협의체가 없다. 협상테이블이 마련된다 해도 앞에 대표로 나설 사람이 없는 셈이다. 과거 의정갈등이 일어났을 때 주로 의협이 나서서 의료계 입장을 전달하고 대응을 이끌었다면 현재는 각개전투를 진행하고 있다. 이미 정부는 의협의 대표성에 대해 의문을 표한 상태다. 정부는 지난 2월 말 의협 대신 ‘대표성을 갖춘 협의체’를 구성해 의대 정원 확대 등에 대해 대화하자고 의료계에 요청했다. 의협이 전체 의사들의 대표성을 띠기 어렵다는 입장을 분명히 한 것이다. 당시 주수호 의협 비상대책위원회 언론홍보위원장은 “의협 회원엔 전공의·봉직의 등 모든 직역이 포함돼있고 모든 직역이 배출한 대의원 총회 의결을 거쳐 만들어진 조직이 비대위”라며 “정부가 의협의 대표성을 부정하는 이유는 내부 분열을 조장하기 위함”이라고 반발했다. 의협은 의료법에 근거해 모든 의사가 가입하는 법정 단체지만 개원의를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다. 이번 의정갈등 국면서 가장 선봉에 선 단체는 전공의가 모인 대전협이 꼽힌다. 전공의가 의대 정원 확대에 반발해 병원을 떠나는 등 집단 강경 투쟁에 나서면서 의정갈등에 불이 붙었다. 의대생은 집단 휴학으로 힘을 실었다. 유급 마지노선에 이른 대학들이 수업을 재개했지만 의대생은 돌아올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집단사직에 나선 전공의가 여전히 버티고 있는 상황서 의대생의 복귀 가능성 역시 낮다는 관측이 지배적이었다. 대통령실 1년 유예안 일축하면서도 ‘2000명 정원’ 논의 가능성 제시해 교육부에 따르면 지난달 31일 기준 학칙에 따른 형식적인 신청 요건을 지킨 의대생의 휴학 신청은 누적 1만242명으로 전체 의대 재학생 대비 54.5% 규모에 이른다. 의대생들의 집단 휴학과 수업 거부는 지난 2월부터 시작됐다. 대학 사이에선 이달 중순이 지나면 여름방학까지 총동원해도 유급을 막을 수 없다. 의대는 특정 수업서 3분의 1 또는 4분의 1 이상을 결석하면 낙제(F) 처리되고 F가 하나라도 나올 경우 유급이 되도록 학칙을 세워둔 곳이 많다. 전공의의 집단사직으로 병원 업무가 마비되고 일부 의료진에 업무가 과중되는 이른바 ‘의료대란’이 벌어졌다. 여기에 의대생의 집단 휴학은 의사 수급 부족 현상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아졌다. 의료현장에 구멍이 생기면서 의사를 찾지 못해 환자가 사망하는 ‘응급실 뺑뺑이’ 사건도 일어났다. 문제는 정부의 태도다. 지난 2월6일 2025학년도 의대 입학 정원을 5058명으로 현행보다 2000명 늘리겠다고 발표한 이후부터 현재까지 요지부동 상태다. 정부는 2035년까지 1만명의 의사 인력을 확충하겠다는 의지를 드러냈다. 2006년 이후 19년 동안 동결됐던 의대 정원 확대를 예고한 것이다. 당시 보건복지부(이하 복지부)는 발표 당시 의료계와 소통한 결과라는 점을 분명히 했다. 지난해 10월26일 ‘의대정원 확대 추진계획’을 발표한 이후 40개 대학으로부터 증원 수요와 교육역량에 대한 자료를 받았고 현장점검을 포함한 검증을 마쳤다고 밝혔다. 의료계를 비롯해 사회 각계각층과 다양한 방식으로 소통했다는 점도 언급했다. 특히 정부는 의대 정원 확대에 대한 국민적 공감대를 강조했다. 언론사 여론조사 등에서 의대 정원을 늘리는 문제에 대해 국민 10명 가운데 8명 이상이 ‘필요하다’고 응답한 것을 의미있게 언급했다. “흔들림 없는 의료개혁을 완수하겠다”는 정부의 입장에 국민의 응원을 지지대로 삼은 것이다. 요구 다른 의사단체 윤석열 대통령의 의지는 더 강했다. 윤 대통령은 지난 1일 ‘국민께 드리는 말씀’ 대국민담화서 “역대 정부들이 9번 싸워 9번 모두 졌고 의사들의 직역 카르텔은 더욱 공고해졌다”며 “이제는 결코 그런 실패를 반복할 여유가 없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2000명이라는 숫자는 정부가 꼼꼼하게 계산해 산출한 최소한의 증원 규모”라며 “이를 결정하기까지 의사단체를 비롯한 의료계와 충분하고 광범위한 논의를 거쳤다”고 설명했다. 연구 결과를 들어 그 배경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윤 대통령은 “정부는 국책연구소 등에서 다양한 방법으로 연구된 의사 인력 수급 체계를 검토했다. 수요 측면서 저출산 고령화와 같은 인구구조의 변화, 만성질환의 증가와 같은 질병구조의 변화, 소득 증가에 따른 의료수요 변화까지 반영했다”며 “어떤 방법론이더라도 지금부터 10년 후인 2035년에는 자연 증감분을 고려하고도 최소 1만명 이상의 의사가 부족하다는 결론은 동일하다”고 말했다. 의대 정원 확대 시기에 대해서도 정부는 가차없는 태도를 보인다. 대통령실은 지난 8일, 의협이 제안한 의대 증원 1년 유예안에 대해 “정부는 그간 검토한 바 없고 앞으로도 검토할 계획도 없다”고 밝혔다. 앞서 박민수 복지부 차관이 “내부 검토는 하겠고 현재로서 수용 여부를 말씀드리기 어렵다”고 내놓은 답변서 더 강경해진 입장이다. 대통령실은 1년 유예안을 받을 수 없다는 입장을 취하면서도 “만약 의료계서 과학적이고 합리적인 근거, 그리고 통일된 의견으로 제시한다면 논의할 가능성은 열어놓고 있다”며 “열린 마음으로 임할 생각”이라고 밝혔다. 팔짱 낀 정부 공은 의료계로 일각에서는 정부는 초지일관 원론적인 입장을 되풀이하고 있다는 목소리가 나왔다. 현재로선 ‘2000명’이 정부와 의료계 간 대화의 장벽이 되고 있다. 정부는 2000명이라는 수치를 꿋꿋하게 고수하고 의료계는 2000명 백지화가 대화의 선결 조건이라는 뜻을 굽히지 않는 중이다. 정부든 의료계든 어느 한쪽이라도 구부려야 맞닿는 법인데 평행선만 그리는 모양새다. 이 와중에 의료계는 내분 조짐을 보이고 있다. 정부가 의료계에 요구하는 ‘통일된 의견’을 내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최근 새 회장을 선출한 의협이 그 중심에 있는 상황이다. ‘강성’으로 꼽히는 임현택 의협 회장 당선인과 의협 비대위가 엇박자를 내고 있고 대전협의 박단 비대위원장도 의협 비대위와 갈등 조짐을 보이는 중이다. 현재 의협은 비대위원장과 차기 회장이 공존하는 상태다. 의협은 지난달 26일, 임 당선인을 차기 회장으로 선출했다. 임 당선인은 결선투표서 65%의 지지를 얻어 당선됐고 임기는 다음 달 1일부터다. 임 당선인의 등장으로 의협의 대정부 투쟁 수위가 올라갈 것이라는 관측이 제기됐다. 임 당선인은 의대 정원 증원 철회를 비롯해 대통령의 사과와 책임자 파면을 요구하는 등 다른 의사단체에 비해 강경한 입장을 보였다. 마찰음이 나온 건 ‘단일대오’를 구성하는 과정에서였다. 의협 비대위는 지난 7일, 기자회견서 전의교협, 대전협, 의대협 등과 함께 합동 기자회견을 이번주 안에 열겠다고 예고했다. 하지만 임 당선인이 이런 움직임에 제동을 걸고 나섰다. 의협 비대위, 차기 회장·전공의 회장 갈등 삐걱거리는 단일대오에 대화 공전 가능성도 의협 회장직 인수위원회는 의협 비대위와 대의원회에 공문을 보내 임 당선인이 김택우 현 비대위원장 대신 의협 비대위원장직을 수행할 수 있도록 협조해달라고 요청했다. 이는 ‘한 지붕 두 가족’ 상황의 의협 창구를 단일화하겠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대전협 박 위원장도 의협 비대위와 불협화음을 내고 있다. 박 위원장은 자신의 SNS에 “의협 비대위 김택우 위원장, 전의교협 김창수 회장과 지속적으로 소통하고 있지만 합동 브리핑 진행에 합의한 적은 없다”고 적었다. 합동 기자회견은 일단 취소된 상태다. 박 위원장과 임 당선인의 갈등도 관심사다. 임 당선인은 지난 4일, 윤 대통령과 박 위원장의 비공개 만남에 불만을 드러냈다. 의협 비대위는 윤 대통령과 박 위원장의 만남을 ‘의미 있다’고 평가했지만 임 당선인은 SNS에 ‘내부의 적’을 운운하며 박 위원장을 강도 높게 비난하는 듯한 글을 남겼다. 박 위원장은 이 같은 보도 내용을 게시글에 공유하며 ‘유감’이라고 적었다. 전의교협은 의대 비대위에 힘을 실어주는 모양새다. 전의교협은 전국 40개 의과대학 교수협의회로 구성된 단체다. 김창수 전의교협 회장이 의협 비대위에 합류하면서 의료계 단일대오 구성이 빨라질 것이라는 관측이 나왔다. 통일된 의견을 내놓을 단일협의체 구성 속도에 따라 의정갈등의 타결 가능성이 나올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의협 비대위를 중심으로 단일대오를 구성하려던 시도가 임 당선인과 박 위원장의 행보로 삐걱거리면서 의료계 상황은 한 치 앞을 내다볼 수 없는 처지가 됐다. 여기에 협상테이블이 마련돼 정부와 의료계의 대화가 이뤄진다 해도 합의까지 가는 데는 하 세월이 걸릴 것이라는 의견이 만만찮다. 입장차가 그만큼 첨예하다는 뜻이다. 타결까지 첩첩산중 일각에서는 정부와 의료계 모두 환자에 대한 배려는 뒷전에 두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지난 2월 이후 두 달 넘게 갈등이 계속되면서 환자들은 불편을 겪고 있고 일부 의료진은 업무 과중으로 그로기 상태에 빠졌다. 전공의가 떠난 병원은 매일 막대한 손해를 입고 있다. 정부와 의료계의 10번째 갈등이 어떤 결론으로 끝나느냐에 따라 의료계 지각변동은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jsjang@ilyosis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