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연재> 허균, 서른셋의 반란 (13)허난설헌

박복한 인생

허균을 <홍길동전>의 저자로만 알고 있는 독자들이 많을 것이다. 하지만 그는 조선시대에 흔치않은 인물이었다. 기생과 어울리기도 했고, 당시 천대받던 불교를 신봉하기도 했다. 사고방식부터 행동거지까지 그의 행동은 조선의 모든 질서에 반(反)했다. 다른 사람들과 결코 같을 수 없었던 그는 기인(奇人)이었다. 소설 <허균, 서른셋의 반란>은 허균의 기인적인 모습을 보여주며 파격적인 삶을 표현한다. 모든 인간이 평등한 삶을 누려야 한다는 그의 의지 속에 태어나는 ‘홍길동’과 무릉도원 ‘율도국’. <허균, 서른셋의 반란>은 조선시대에 21세기의 시대상을 꿈꿨던 기인의 세상을 마음껏 느껴볼 수 있는 장이 될 것이다.
 

“‘광한전백옥루상량전’이라. 그래, 초희는 무엇을 보고 이 글을 짓게 되었느냐.”

“보름날 하늘에 동그랗게 떠 있는 달을 보며 마음속에 떠오른 감흥을 그리 그려보았습니다.” 

허엽이 다시 한 번 딸아이를 바라보다 글로 시선을 주었다.

그녀의 재능

광한전백옥루상량문(廣寒殿白玉樓上樑文)


抛梁東(포양동) 어영차, 대들보 동쪽 향하니
曉騎仙鳳入珠宮(효기선봉입주궁) 새벽에 봉황 타고 진주 궁궐에 들어가
平明月出扶桑底(평명일출부상저) 날이 밝자 해가 동쪽 바다 밑에서 솟아올라
萬縷丹霞射海紅(만루단하사해홍) 일만 가닥 붉은 노을 바다 붉게 물들이네
 
抛梁南(포양남) 어영차, 대들보 남쪽 향하니
玉龍無事飮珠池(옥룡무사음주지) 옥룡이 하염없이 구슬 연못의 물 마시는데
銀床睡起花陰牛(은상수기화음우) 은 평상에 잠자다가 꽃그늘 짙은 한 낮에 일어나
笑喚瑤姬脫壁衫(소환요희태벽삼) 웃으며 아름다운 미녀 불러 푸른 적삼 벗게하네

抛梁西(포양서) 어영차, 대들보 서쪽 향하니
壁花零落彩鸞啼(벽화영락채난제) 푸른 꽃 시들어 떨어지고 오색 난새 우짖는데
春羅玉字邀王母(춘라옥자요왕모) 비단천에 아름다운 글씨로 서왕모 맞이하니
鶴馭催歸日己低(학어최귀일기저) 학 타고 돌아올 제 날 이미 저물었네

抛梁北(포양북) 어영차, 대들보 북쪽 향하니
溟海茫洋浸斗極(명해망양침두극) 북해 아득하여 북극성에 젖어드는데
鳳翼擊天風力*(봉익격천풍력흔) 봉새 날개 하늘 치니 그 바람 힘으로 뭍 높이 치솟아
九*雲垂雨氣黑(구소운수우기흑) 구만리 하늘에 구름 드리워 비의 기운 어둑하네

抛樑上(포양상) 어영차, 대들보 위쪽 향하니
曙色微明雲錦帳(서색미명운금장) 새벽빛 희미하여 비단구름 드리웠네
仙夢初回白玉床(선몽초회백옥상) 백옥 침상 위에서 신선 꿈 깨어
臥聞北斗回杓響(와문북두회표향) 누워 북두칠성 자루 도는 소리 듣네

抛樑下(포양하) 어영차, 대들보 아래쪽 향하니
八垓雲黑知昏夜(팔해운흑지혼야) 팔해에는 구름 덮여 어두운 밤이구나 
侍兒報道水晶寒(시아보도수정한) 계집종이 수정 주렴 차다 말하는데 
曉霜已結鴛鴦瓦(효상이결원앙와) 새벽 서리 원앙 기와에 맺혔네

그녀의 재능을 걱정하는 아버지
여자의 재능은 불운한 운명 의미

허엽의 입에서 가느다란 탄성이 새어나왔다. 그리고는 잠시 눈을 감았다.


균의 시선이 초희에게 향했다.

초희가 균의 시선이 거북스러운지 얼굴을 돌려 어머니를 바라보았다.

어머니의 얼굴에서는 가느다란 미소가 흘러나왔다.

초희의 시선이 다시 아버지에게 향했을 때 천천히 허엽의 눈이 떠지고 있었다. 

“박복한지고.”

눈을 뜬 아버지의 입에서 순간적으로 흘러나온 말이었다.

말을 마친 아버지께서 어머니를 바라보자 두 분의 시선이 한 군데서 마주쳤다.

허균이 잠시 사이를 두었다. 그 틈을 매창이 치고 들어갔다.

“나리의 누님 되시는 허난설헌에 대해서는 익히 들어 알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나리께서 저와 같은 처지라니요.”

허균이 대답 대신 잔을 비워냈다. 

“아직 갈 길이 멀구려. 그러니 어서 잔부터 채워 주구려.”

매창이 호리병 대신 안주를 들어 허균의 입으로 가져갔다.


허균이 어색한 표정도 없이 덥썩 안주를 받았다.

“그 이야기는 천천히 하도록 하지요. 어쨌든 아버지께서 누나 문제로 많은 생각과 함께 힘들어 하셨다오. 마치 훗날 누나의 운명을 예견이라도 하셨듯이 말이요.”

매창이 가느다랗게 한숨을 내쉬었다.

“왜 그러오?”

“혹시 이옥봉이라는 여인을 아시는지요.”

허균이 이옥봉을 되뇌며 쓴맛을 다셨다.


“매창, 이옥봉을 내 누나와 비교하지는 마시오. 아니.”

매창이 채근하지 않고 다만 바라볼 뿐이었다.

“그래요, 이옥봉이나 내 누나나 매한가지로 보아도 무방하지.”

말을 마친 허균이 매창이 채운 잔을 들어 한 번에 들이키고는 급하게 내려놓았다. ‘탁’하는 소리가 좁은 방안에 울려 퍼졌다.

이옥봉, 시대를 잘못 타고난 기구한 여인이었다.

서녀로 태어난 그녀는 시에 관해 천재적인 소질을 지녔었다.

당시 여자가 지니고 있는 재능은 결국 불운한 운명을 의미했고 특히 서녀로서의 운명은 예견되어 있는 것이나 마찬가지였다.

이옥봉은 사랑 때문에 자신의 천재적인 재능인 시를 쓰지 않기로 약조하고 조원의 소실로 들어갔다.

그러나 결국 자신의 솟구치는 재능을 속으로만 삭일 수 없었고 그를 밖으로 드러내는 순간 집에서 쫓겨난다.

자신을 감당하기 어려웠던 조원의 그릇된 사랑을 알아채지 못하고 종국에까지 서방님의 사랑의 손길을 기다린다.

그리고 그 기다림이 허망한 꿈에 지나지 않는다는 사실을 알아채고 생전 자신이 쓴 시를 띠로 만들어 배에 두르고는 강물에 몸을 던져 스스로 생을 마감한 여인이었다.

박복한 인생

막상 말을 꺼낸 매창이 아차 한 모양으로 허균 쪽으로 바짝 다가갔다.

“소녀가 괜한 이야기를 꺼내서…….”

“아니오, 조금도 괘념치 마시오. 이옥봉이나 나의 누나나 박복하기는 매한가지 아니겠소.”

결국 앞에 앉아 있는 매창의 경우도 한 가지 아니겠느냐는 이야기였다.

“나리의 누님 되시는 분을 어찌 저희와 같이 천한 여인들과 대등하다 하십니까?”

“천한 여인이라…….”


<다음 호에 계속>
 



배너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갑자기?’ 법률수석 부활 속셈

‘갑자기?’ 법률수석 부활 속셈

[일요시사 취재1팀] 장지선 기자 = 4·10 총선이 범야권의 승리로 끝났다. 집권여당은 참패라는 초라한 성적표를 받았다. 집권 3년차인 윤석열정부는 국정운영의 동력을 잃게 생겼다. 레임덕을 넘어 데드덕이라는 표현까지 나오고 있다. 윤석열 대통령은 정치 인생 최대 위기에 직면했다. ‘식물 대통령’으로 전락한 윤 대통령의 다음 행보는 엇일까? 속사정이야 어떻든 숫자만 놓고 봤을 때 이견이 없는 결과가 나왔다. 범야권은 192석을 얻어 ‘반윤 거야’ 전선을 형성했다. 더불어민주당(이하 민주당) 161석, 민주당의 위성정당 더불어민주연합 14석, 조국혁신당 12석, 개혁신당 3석, 새로운미래 1석, 진보당 1석 등을 모두 합친 수치다. 국민의힘은 위성정당인 국민의미래 의석(18석)을 포함해 108석을 얻는 데 그쳤다. 완벽한 참패 식물 대통령 선거를 진두지휘한 각 당 대표의 희비도 엇갈렸다. 사법 리스크를 안고도 선거를 승리로 이끈 민주당 이재명 대표와 조국혁신당 조국 대표는 정국의 주도권을 잡게 됐고 국민의힘 한동훈 전 비상대책위원장은 정치 생명에 큰 타격을 입었다. 특히 윤석열 대통령은 실제 선거를 뛴 선수보다 더 큰 영향을 받게 됐다. 윤 대통령은 임기 내내 의회 주도권을 야당에 내준 상태로 정국을 운영해야 하는 처지가 됐다. 거부권(재의요구권)을 행사한다고 해도 여당의 이탈표를 걱정해야 한다. 총선이 끝나면서 권력의 무게추가 당으로 기울어지는 모양새가 나오고 있기 때문이다. 또 이미 거부권을 9차례나 사용한 이력이 민심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각 당은 이번 총선서 ‘정권 심판론’을 정면에 내세웠다. 민주당은 윤석열정부 심판, 국민의힘은 ‘이조(이재명-조국) 심판’ 프레임으로 유권자들에게 지지를 호소했다. 국민은 범야권에 의석을 몰아주면서 정부 심판의 손을 들어줬다. 윤석열정부에 대한 중간평가에 ‘낙제점’을 준 것이다. 윤석열정부는 당장 밀어붙이고 있던 정책에 차질을 빚게 됐다. 의대 정원 2000명 증원을 골자로 하는 의료개혁이 대표적이다. 윤 대통령은 총선 패배 메시지를 통해 의료개혁을 계속하겠다는 입장을 드러냈지만 추진력에 대해서는 의문부호가 붙는다. ‘카르텔 타파’라는 국정기조도 흔들릴 가능성이 높다. 윤 대통령은 지난 16일, 총선 결과와 관련해 첫 육성 메시지를 내놨다. 총선 참패 후 엿새 만이다. 민정수석실 폐지 대선공약 민심 청취 명분 부활 예고 윤 대통령은 “총선을 통해 나타난 민심을 우리 모두 겸허하게 받아들여야 한다”고 밝혔다. 이어 “올바른 국정의 방향을 잡고 이를 실천하기 위해 최선을 다했음에도 국민들께서 체감하실 만큼의 변화를 만드는 데 모자랐다”며 “큰 틀에서 국민을 위한 정책이라 해도 세심한 영역서 부족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도 윤석열정부서 추진하고 있던 개혁은 계속하겠다는 입장을 드러냈다. 윤 대통령은 “노동, 교육, 연금 등 3대 개혁과 의료개혁을 계속 추진하되, 합리적인 의견을 더 챙기고 귀 기울이겠다”고 말했다. 국회와의 긴밀한 협력을 말했지만 야당을 명시적으로 언급하진 않았다. 윤 대통령의 메시지에 야권에서는 비판의 목소리가 터져 나왔다. 민주당 홍익표 원내대표는 윤 대통령의 메시지에 대해 “개탄스럽다”며 “오만, 독선, 불통 정치를 계속하겠다는 마이웨이 선언”이라고 표현했다. 그는 “이번 총선서 확인한 민심은 국정기조 전면 전환과 민생경제를 실질적으로 해결할 방안을 제시해 달라는 주문”이라며 “윤 대통령은 국정 실패 자체를 인정하지 않았다. 민생경제의 잘못을 인정하고 실질적 대책과 대안을 제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윤 대통령이 총선 패배에 대한 목소리를 내면서 이후 내놓을 쇄신안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이미 국무총리와 대통령비서실장 인선과 관련한 하마평이 나오는 중이다. 지난 17일에는 대통령실서 국무총리로 박영선 전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을, 비서실장에 양정철 전 민주연구원장을 고려하고 있다는 언론 보도가 나오기도 했다. 일단 대통령실에서는 “검토한 바 없다”고 대응한 상태다. 3대 개혁 밀어붙인다 눈길을 끄는 대목은 현재 비서실장 아래에 있는 공직기강비서관실과 법률비서관실을 관장할 ‘법률수석비서관실(가칭)’이 신설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는 점이다. 민심 청취 기능을 강화하겠다는 취지다. 민정수석이 존재할 당시 폐해로 여겨졌던 사정 기능은 제한하고 민심을 읽는 방향의 조직을 만들 것이라는 구체적인 언급도 나오고 있다. 이 과정서 사실상 민정수석실이 부활하는 게 아니냐는 의견이 나왔다. 민정수석실 폐지는 윤 대통령의 대선공약 중 하나였다. 윤 대통령은 당선인 시절 “앞으로 대통령실 업무서 사정, 정보 조사 기능을 철저히 배제하고 민정수석실을 폐지하겠다”고 약속했다. 이어 “과거 사정기관을 장악한 민정수석실은 합법을 가장해 정적, 정치적 반대 세력을 통제하는 경우가 비일비재했고 세평 검증을 위장해 국민 신상 털기와 뒷조사를 벌여왔는데 이런 잔재를 청산하겠다”고 말했다. 실제 윤석열정부 출범 직전 대통령실은 2실(비서실·국가안보실) 5수석(경제·사회·정무·홍보·시민사회) 체제로 개편됐다. 당시 당선인 신분이었던 윤 대통령이 제왕적 대통령제의 폐해를 청산하겠다는 의지를 드러냈다는 평가를 받았다. 이후 윤석열정부 출범 3개월 만에 정책기획수석이 신설되면서 2실6수석 체제가 됐다. 민정수석실서 맡고 있던 공직기강 업무와 인사검증 업무는 법률비서관, 법무부 등으로 이관됐다. 특히 법무부에 공직자 검증 업무를 전담하는 인사정보관리단이 신설되면서 당시 법무부 장관이었던 한동훈 전 비대위원장에 권력이 지나치게 집중되는 게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기도 했다. 사정 기능 제한한다? 지난해 11월 윤 대통령은 정책실장을 신설하는 등 대통령실 직제를 3실6수석 체제로 개편했다. 개편 과정서 기존 수석들을 물갈이하면서 대통령실 2기 체제의 출범을 알렸다. 이때도 민정수석실 관련 언급은 나오지 않았다. 하지만 총선 패배 이후 대통령실 쇄신안에 법률수석이 거론되면서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야당은 즉각 반발했다. 민심 청취는 표면용일 뿐 결국 윤 대통령이 사정정국을 조성하려는 의도를 드러냈다고 지적했다. ‘민정수석실 폐지’라는 대선공약을 파기하고 여소야대 정국을 돌파하기 위한 자구책이라는 설명이다. 여기에 야당서 예고한 특검을 방어하려는 선제적 조치가 아니냐는 비판도 나왔다. 당초 민정수석실은 민심 청취 기능과 무관하게 운영됐다. 오히려 폐지 가능성이 나오고 있는 시민사회수석실이 민심을 듣는 역할을 해왔다. 민정수석은 고위공직자 인사 검증, 국정 관련 여론 수렴, 고위공직자 복무 동향 점검, 대통령 친인척 관리, 사정기관과 소통 등의 업무를 주로 했다. 하지만 역대 정부서 가장 부각됐던 기능은 국가정보원, 검찰, 경찰, 국세청, 감사원 등 5대 사정기관을 관리하는 것이었다. 실제 2000년 김대중정부서 폐지되기 전까지 이른바 ‘사직동팀’이 청와대 하명수사를 전담했다. 사직동팀은 경찰청 형사국 조사과를 일컫는 말이다. 윤 대통령 역시 당선인 시절 대통령 인수위원회 첫 과제로 민정수석실 폐지를 밀어붙이며 “사직동팀은 있을 수 없다”고 강조한 바 있다. 대통령실은 법률수석을 신설하더라도 사정 기능은 제한하겠다는 뜻을 비쳤지만 의심의 눈초리는 여전하다. 김건희·채 상병 특검법 대기 신임 수석 검찰 출신 될 듯 민주당 고민정 최고위원은 지난 16일 MBC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에 출연해 “법률수석 신설은 앞으로 들이닥칠 영부인에 대한 특검 등을 방어하겠다는 것으로 해석된다”며 “이제 와서 법률수석비서관실을 신설한다는 것은 사법 리스크 방어 차원”이라고 주장했다. 21대 국회에 이어 22대 국회서도 여소야대 정국이 유지되면서 민주당 등 범야권은 ‘해병대 채 상병 사망사건 수사외압 의혹 특별검사법(채 상병 특검법)’과 ‘김건희 여사 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 의혹 특별검사법(김건희 여사 특검법)’ 등을 예고했다. 국민의힘서도 채 상병 특검법 수용과 관련해 의견이 갈리는 만큼 국회 통과 가능성이 제기된다. 윤 대통령은 채 상병 특검법에 대해 한 차례 거부권을 행사한 상태다. 192석을 확보한 범야권은 21대 국회서 채 상병 특검법이 좌절된다고 해도 22대 국회서 재추진한다는 뜻을 보이고 있다. 고민정 최고위원도 라디오 프로그램에 출연해 “채 상병의 죽음 앞에 정치권이 더는 부끄럽지 않았으면 좋겠다”며 “민주당서도 의지가 충분히 있고 국회서 당장 할 수 있는 여건이 조성돼있기에 가능하다고 생각한다”고 언급했다. 김건희 여사 특검법도 22대 국회 개원 전후로 다시 도마에 오를 전망이다. 12석을 확보한 조국혁신당은 아예 22대 국회 1호 법안으로 김건희 여사 특검법을 공언했다. 민주당과 개혁신당 등이 조국혁신당에 동의한다는 뜻을 보인 만큼 추진 가능성은 어느 때보다 높다. 국민의힘 내부서도 수용 여부에 대한 의견이 갈리고 있어 향후 상황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사정기관 잡고 흔드나 범야권이 다수 의석을 무기로 특검 정국을 예고하면서 윤 대통령과 여당에 대한 압박 수위가 높아지는 모양새다. 법률수석을 새로 만들려는 의도가 ‘방어’로 읽히는 분위기도 윤 대통령이 처한 상황이 녹록지 않기 때문으로 보인다. 심지어 총선이 마무리되면서 국민의힘에 대한 윤 대통령의 지배력 역시 작아진 상태라는 점도 법률수석 신설의 배경으로 꼽히고 있다. 이미 시작된 것으로 보이는 레임덕을 최대한 늦추기 위한 궁여지책이라는 말도 나온다. 신임 법률수석을 누가 맡게 될지를 두고 정치권에서는 벌써부터 하마평이 돌고 있다. 검찰 출신들로 채워질 것이라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jsjang@ilyosis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