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트&아트인> ‘조각과 회화의 만남’ 피터 부겐후트와 마리 클로케

시공간을 재조합하다

[일요시사 취재1팀] 장지선 기자 = 서울 성북구 소재의 갤러리 제이슨함 주변은 한적했다. 갤러리를 스쳐가는 차들은 많았지만 머무르는 사람은 없었다. 마치 시간이 차분하게 멈춰있는 듯했다. 하지만 갤러리 내부는 피터 부겐후트와 마리 클로케가 창조한 작품으로 시공간이 어지럽게 얽혀 있었다.

▲ Marie Cloquet, Scorched earth XI,  2018, photographic emulsion & watercolour on paper on canvas,  150x200cm

 

지난 9일 오후 갤러리 제이슨함을 찾았다. 피터 부겐후트와 마리 클로케의 2인전 ‘Temporalizing Temporality’의 오픈 이틀째였다. 편한 복장으로 등장한 피터 부겐후트와 마리 클로케는 기자의 질문에 시종일관 진지한 태도로 답했다. 두 작가는 한국서의 첫 전시에 대한 기대감을 감추지 못했다.

묘한 앙상블

피터 부겐후트는 벨기에 겐트에서 활동하는 조각가로, 다양한 크기의 작품을 만든다. 이번 전시에선 소의 위장이나 먼지 등의 재료를 사용해 비교적 작은 크기의 작품을 선보였다. 마리 클로케는 파괴, 손상된 것에 주목해 회화로 표현한다. 인상적인 공간을 촬영한 후 스튜디오에서 재조작하는 단계를 거친다.

이번 전시는 시간성이 두드러지는 두 작가의 작품을 한데 모아 보려는 제이슨함의 기획서 시작됐다. 이지러진 시공간처럼 두 작가의 작품서 공통적으로 발견할 수 있는 비선형적 시간성에 착안했다. 전시 제목인 Temporalizing Temporality도 마르틴 하이데거의 <존재와 시간>에 등장하는 시간성이라는 개념서 따왔다.

제이슨함 관계자는 과거-현재-미래처럼 우리에게 익숙한, 선형적이고 연속적인 시간 개념이 아니라 도래-기재-현전의 근원적 시간 속에 우리 존재가 놓여있음을 이야기하고 있다이번 전시서 시간과 공간을 직조하는 두 작가의 작품 세계를 오롯이 조망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벨기에 출신 두 작가
한국서 첫 전시

제이슨함은 피터 부겐후트의 조각을 갤러리 중앙에, 마리 클로케의 회화를 벽면에 배치했다. 실체가 분명한 네모난 방은 시간과 공간을 해체하고 재조합해 완성된 작품을 품었다. 정형화된 공간과 분해융합을 거친 작품의 조화는 묘한 앙상블을 이룬다.
 

▲ Marie Cloquet, Obstacles VIII, 2018, photographic emulsion & watercolour on paper on canvas,  150x120cm

피터 부겐후트의 조각은 재현이라고 보기에는 추상적이고, 추상적이라기에는 실체가 존재한다. 개별적인가 싶으면 서로 닮아 있고 그러면서도 통일적이지 않은 서로 다른 개체로 구성돼있다. 상징주의나 보편적 시간 개념과는 동떨어졌다. 그는 작품을 통해 결여의 미학을 표현하려 했다.

피터 부겐후트의 작업은 재료를 모으는 것에서부터 시작된다. 그는 특별한 기준을 갖고 재료를 선택하는 것은 아니다. 자동차를 타고 가다가 길가에 마음에 드는 재료가 있으면 트렁크에 넣어두는 식이라며 기존의 조각서 일부분을 가져와 다른 작품에 붙이기도 한다. 어떤 특별한 틀에 얽매이지 않는 편이라고 말했다.

그는 재료를 융합하고 구축하는 한편, 해체하고 다시 축적해 새로운 시공간의 맥락에 가져다둔다. 이 과정서 선형적 시간의 구조를 뛰어넘는 독자적인 개체로서 작업의 의미와 정체성이 지속적으로 생성된다. 새로운 시공간과 조형 언어를 통해 개념과 사상을 눈앞으로 끌고 오는 식이다.

마리 클로케는 작품을 완성하기까지 여러 단계를 거친다. 먼저 세상의 주변부와 같은 장소를 탐색하고 촬영한다. 스튜디오에 돌아와서는 촬영한 사진의 일부를 선택해 어떻게 조합할지 고민한다. 이후 재조작된 이미지를 암실서 출력한다.

사진의 형태로 담긴 실제의 공간은 왜곡된 인쇄와 찢기, 파편화 등 물리적 해체 과정을 거쳐 콜라주로 재배열되면서 완전히 새로운 시공간, 존재하지 않는 장소로 재탄생된다. 마리 클로케는 존재하지 않는 장소에 대해 내가 보고 느낀 것들이 반영된 이미지라고 말했다.
 


마리 클로케가 만들어낸 왜곡되고 조작된 화면은 하나의 자연스러운 풍경처럼 보이지만 세계화의 명암에 대한 염려를 효과적으로 드러낸다. 이 과정서 그녀는 실제와 가상 사이, 개발과 소외 사이 그리고 역사의 틈 사이 어딘가에 놓인 경계의 균열 같은 영리한 공간을 창조한다.

비선형적 시간성에 주목
“관람객들 반응 기대돼”

처음 2인전을 가진 두 작가는 작품의 어우러짐에 주안점을 뒀다고 밝혔다. 특히 마리 클로케는 조각과의 조화를 위해 새로운 작품을 많이 제작했다고 했다. 그녀는 피터와 나는 조각과 회화가 서로 잘 어울릴 수 있도록 작품 선정에 신경을 많이 썼다다양성을 추구하면서도 조화를 중점적으로 생각했다고 강조했다.

작가들은 한국 관람객들이 이번 전시에 많이 참여해줬으면 한다는 바람을 드러냈다. 피터 부겐후트는 미술에 대한 반응은 나라와 문화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인도에서는 내 작품에 대해 이해할 수 없는 것들을 전시장에 놓고 장난을 치는 것 같다 했고 핀란드에서는 작품이 죽음에 관한 것인지 묻곤 했다한국에서의 반응도 분명 다를 것이라 생각하기 때문에 어떤 반응이 나올지 매우 궁금하다고 전했다.
 

마리 클로케는 새로운 대중을 만나는 것은 늘 흥미롭다. 벨기에서 만들어진 작품이 한국서 어떻게 받아들여질지 매우 궁금하다한국서 우리의 전시가 어떻게 느껴질지 기대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두 작가들은 작품에 대한 자신감을 피력했다.

해체와 융합

제이슨함 갤러리 관계자는 두 작가는 공통적으로 구축-해체-재구축으로 이어지는 일련의 작업 과정을 통해 작품을 만들어낸다기존의 시공간에 대한 관념을 자유롭게 모색하며 그 안에서 우리 존재의 본질에 대한 질문을 던지는 흥미로운 유영의 경험이 될 것이라고 관심을 당부했다.

 

<jsjang@ilyosisa.co.kr>

 

[피터 부겐후트는?]

학력

Sint-Lucas, Installation art-Gent, Belgium(1982-1986)

개인전 및 2인전


Museo de la Ciudad de Queretaro, Querétaro, Mexico(2018)
Jason Haam, Seoul, South Korea(2018)
Galeria Hilario Galguera, San Rafael, Mexico City, Mexico(2017)
Galerie Laurent Godin, Paris, France(2017)
The Box, Los Angeles, USA(2017)
Neues Museum, Berlin, Germany(2017)

 

[마리 클로케는?]

학력

LUCA School of Arts-Gent, Belgium(1994-1998)

개인전

Jason Haam, Seoul, South Korea(2018)
Annie Gentils Gallery, Antwerp, Belgium(2017)
Annie Gentils Gallery BOZAR, Brussel, Belgium(2016)
Secondroom curated by Elke Andras Boon, Gent, Belgium(2015)

 



배너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갑자기?’ 법률수석 부활 속셈

‘갑자기?’ 법률수석 부활 속셈

[일요시사 취재1팀] 장지선 기자 = 4·10 총선이 범야권의 승리로 끝났다. 집권여당은 참패라는 초라한 성적표를 받았다. 집권 3년차인 윤석열정부는 국정운영의 동력을 잃게 생겼다. 레임덕을 넘어 데드덕이라는 표현까지 나오고 있다. 윤석열 대통령은 정치 인생 최대 위기에 직면했다. ‘식물 대통령’으로 전락한 윤 대통령의 다음 행보는 엇일까? 속사정이야 어떻든 숫자만 놓고 봤을 때 이견이 없는 결과가 나왔다. 범야권은 192석을 얻어 ‘반윤 거야’ 전선을 형성했다. 더불어민주당(이하 민주당) 161석, 민주당의 위성정당 더불어민주연합 14석, 조국혁신당 12석, 개혁신당 3석, 새로운미래 1석, 진보당 1석 등을 모두 합친 수치다. 국민의힘은 위성정당인 국민의미래 의석(18석)을 포함해 108석을 얻는 데 그쳤다. 완벽한 참패 식물 대통령 선거를 진두지휘한 각 당 대표의 희비도 엇갈렸다. 사법 리스크를 안고도 선거를 승리로 이끈 민주당 이재명 대표와 조국혁신당 조국 대표는 정국의 주도권을 잡게 됐고 국민의힘 한동훈 전 비상대책위원장은 정치 생명에 큰 타격을 입었다. 특히 윤석열 대통령은 실제 선거를 뛴 선수보다 더 큰 영향을 받게 됐다. 윤 대통령은 임기 내내 의회 주도권을 야당에 내준 상태로 정국을 운영해야 하는 처지가 됐다. 거부권(재의요구권)을 행사한다고 해도 여당의 이탈표를 걱정해야 한다. 총선이 끝나면서 권력의 무게추가 당으로 기울어지는 모양새가 나오고 있기 때문이다. 또 이미 거부권을 9차례나 사용한 이력이 민심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각 당은 이번 총선서 ‘정권 심판론’을 정면에 내세웠다. 민주당은 윤석열정부 심판, 국민의힘은 ‘이조(이재명-조국) 심판’ 프레임으로 유권자들에게 지지를 호소했다. 국민은 범야권에 의석을 몰아주면서 정부 심판의 손을 들어줬다. 윤석열정부에 대한 중간평가에 ‘낙제점’을 준 것이다. 윤석열정부는 당장 밀어붙이고 있던 정책에 차질을 빚게 됐다. 의대 정원 2000명 증원을 골자로 하는 의료개혁이 대표적이다. 윤 대통령은 총선 패배 메시지를 통해 의료개혁을 계속하겠다는 입장을 드러냈지만 추진력에 대해서는 의문부호가 붙는다. ‘카르텔 타파’라는 국정기조도 흔들릴 가능성이 높다. 윤 대통령은 지난 16일, 총선 결과와 관련해 첫 육성 메시지를 내놨다. 총선 참패 후 엿새 만이다. 민정수석실 폐지 대선공약 민심 청취 명분 부활 예고 윤 대통령은 “총선을 통해 나타난 민심을 우리 모두 겸허하게 받아들여야 한다”고 밝혔다. 이어 “올바른 국정의 방향을 잡고 이를 실천하기 위해 최선을 다했음에도 국민들께서 체감하실 만큼의 변화를 만드는 데 모자랐다”며 “큰 틀에서 국민을 위한 정책이라 해도 세심한 영역서 부족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도 윤석열정부서 추진하고 있던 개혁은 계속하겠다는 입장을 드러냈다. 윤 대통령은 “노동, 교육, 연금 등 3대 개혁과 의료개혁을 계속 추진하되, 합리적인 의견을 더 챙기고 귀 기울이겠다”고 말했다. 국회와의 긴밀한 협력을 말했지만 야당을 명시적으로 언급하진 않았다. 윤 대통령의 메시지에 야권에서는 비판의 목소리가 터져 나왔다. 민주당 홍익표 원내대표는 윤 대통령의 메시지에 대해 “개탄스럽다”며 “오만, 독선, 불통 정치를 계속하겠다는 마이웨이 선언”이라고 표현했다. 그는 “이번 총선서 확인한 민심은 국정기조 전면 전환과 민생경제를 실질적으로 해결할 방안을 제시해 달라는 주문”이라며 “윤 대통령은 국정 실패 자체를 인정하지 않았다. 민생경제의 잘못을 인정하고 실질적 대책과 대안을 제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윤 대통령이 총선 패배에 대한 목소리를 내면서 이후 내놓을 쇄신안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이미 국무총리와 대통령비서실장 인선과 관련한 하마평이 나오는 중이다. 지난 17일에는 대통령실서 국무총리로 박영선 전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을, 비서실장에 양정철 전 민주연구원장을 고려하고 있다는 언론 보도가 나오기도 했다. 일단 대통령실에서는 “검토한 바 없다”고 대응한 상태다. 3대 개혁 밀어붙인다 눈길을 끄는 대목은 현재 비서실장 아래에 있는 공직기강비서관실과 법률비서관실을 관장할 ‘법률수석비서관실(가칭)’이 신설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는 점이다. 민심 청취 기능을 강화하겠다는 취지다. 민정수석이 존재할 당시 폐해로 여겨졌던 사정 기능은 제한하고 민심을 읽는 방향의 조직을 만들 것이라는 구체적인 언급도 나오고 있다. 이 과정서 사실상 민정수석실이 부활하는 게 아니냐는 의견이 나왔다. 민정수석실 폐지는 윤 대통령의 대선공약 중 하나였다. 윤 대통령은 당선인 시절 “앞으로 대통령실 업무서 사정, 정보 조사 기능을 철저히 배제하고 민정수석실을 폐지하겠다”고 약속했다. 이어 “과거 사정기관을 장악한 민정수석실은 합법을 가장해 정적, 정치적 반대 세력을 통제하는 경우가 비일비재했고 세평 검증을 위장해 국민 신상 털기와 뒷조사를 벌여왔는데 이런 잔재를 청산하겠다”고 말했다. 실제 윤석열정부 출범 직전 대통령실은 2실(비서실·국가안보실) 5수석(경제·사회·정무·홍보·시민사회) 체제로 개편됐다. 당시 당선인 신분이었던 윤 대통령이 제왕적 대통령제의 폐해를 청산하겠다는 의지를 드러냈다는 평가를 받았다. 이후 윤석열정부 출범 3개월 만에 정책기획수석이 신설되면서 2실6수석 체제가 됐다. 민정수석실서 맡고 있던 공직기강 업무와 인사검증 업무는 법률비서관, 법무부 등으로 이관됐다. 특히 법무부에 공직자 검증 업무를 전담하는 인사정보관리단이 신설되면서 당시 법무부 장관이었던 한동훈 전 비대위원장에 권력이 지나치게 집중되는 게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기도 했다. 사정 기능 제한한다? 지난해 11월 윤 대통령은 정책실장을 신설하는 등 대통령실 직제를 3실6수석 체제로 개편했다. 개편 과정서 기존 수석들을 물갈이하면서 대통령실 2기 체제의 출범을 알렸다. 이때도 민정수석실 관련 언급은 나오지 않았다. 하지만 총선 패배 이후 대통령실 쇄신안에 법률수석이 거론되면서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야당은 즉각 반발했다. 민심 청취는 표면용일 뿐 결국 윤 대통령이 사정정국을 조성하려는 의도를 드러냈다고 지적했다. ‘민정수석실 폐지’라는 대선공약을 파기하고 여소야대 정국을 돌파하기 위한 자구책이라는 설명이다. 여기에 야당서 예고한 특검을 방어하려는 선제적 조치가 아니냐는 비판도 나왔다. 당초 민정수석실은 민심 청취 기능과 무관하게 운영됐다. 오히려 폐지 가능성이 나오고 있는 시민사회수석실이 민심을 듣는 역할을 해왔다. 민정수석은 고위공직자 인사 검증, 국정 관련 여론 수렴, 고위공직자 복무 동향 점검, 대통령 친인척 관리, 사정기관과 소통 등의 업무를 주로 했다. 하지만 역대 정부서 가장 부각됐던 기능은 국가정보원, 검찰, 경찰, 국세청, 감사원 등 5대 사정기관을 관리하는 것이었다. 실제 2000년 김대중정부서 폐지되기 전까지 이른바 ‘사직동팀’이 청와대 하명수사를 전담했다. 사직동팀은 경찰청 형사국 조사과를 일컫는 말이다. 윤 대통령 역시 당선인 시절 대통령 인수위원회 첫 과제로 민정수석실 폐지를 밀어붙이며 “사직동팀은 있을 수 없다”고 강조한 바 있다. 대통령실은 법률수석을 신설하더라도 사정 기능은 제한하겠다는 뜻을 비쳤지만 의심의 눈초리는 여전하다. 김건희·채 상병 특검법 대기 신임 수석 검찰 출신 될 듯 민주당 고민정 최고위원은 지난 16일 MBC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에 출연해 “법률수석 신설은 앞으로 들이닥칠 영부인에 대한 특검 등을 방어하겠다는 것으로 해석된다”며 “이제 와서 법률수석비서관실을 신설한다는 것은 사법 리스크 방어 차원”이라고 주장했다. 21대 국회에 이어 22대 국회서도 여소야대 정국이 유지되면서 민주당 등 범야권은 ‘해병대 채 상병 사망사건 수사외압 의혹 특별검사법(채 상병 특검법)’과 ‘김건희 여사 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 의혹 특별검사법(김건희 여사 특검법)’ 등을 예고했다. 국민의힘서도 채 상병 특검법 수용과 관련해 의견이 갈리는 만큼 국회 통과 가능성이 제기된다. 윤 대통령은 채 상병 특검법에 대해 한 차례 거부권을 행사한 상태다. 192석을 확보한 범야권은 21대 국회서 채 상병 특검법이 좌절된다고 해도 22대 국회서 재추진한다는 뜻을 보이고 있다. 고민정 최고위원도 라디오 프로그램에 출연해 “채 상병의 죽음 앞에 정치권이 더는 부끄럽지 않았으면 좋겠다”며 “민주당서도 의지가 충분히 있고 국회서 당장 할 수 있는 여건이 조성돼있기에 가능하다고 생각한다”고 언급했다. 김건희 여사 특검법도 22대 국회 개원 전후로 다시 도마에 오를 전망이다. 12석을 확보한 조국혁신당은 아예 22대 국회 1호 법안으로 김건희 여사 특검법을 공언했다. 민주당과 개혁신당 등이 조국혁신당에 동의한다는 뜻을 보인 만큼 추진 가능성은 어느 때보다 높다. 국민의힘 내부서도 수용 여부에 대한 의견이 갈리고 있어 향후 상황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사정기관 잡고 흔드나 범야권이 다수 의석을 무기로 특검 정국을 예고하면서 윤 대통령과 여당에 대한 압박 수위가 높아지는 모양새다. 법률수석을 새로 만들려는 의도가 ‘방어’로 읽히는 분위기도 윤 대통령이 처한 상황이 녹록지 않기 때문으로 보인다. 심지어 총선이 마무리되면서 국민의힘에 대한 윤 대통령의 지배력 역시 작아진 상태라는 점도 법률수석 신설의 배경으로 꼽히고 있다. 이미 시작된 것으로 보이는 레임덕을 최대한 늦추기 위한 궁여지책이라는 말도 나온다. 신임 법률수석을 누가 맡게 될지를 두고 정치권에서는 벌써부터 하마평이 돌고 있다. 검찰 출신들로 채워질 것이라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jsjang@ilyosisa.co.kr>